방송대 기말과제 동서양고전의이해 신채호 마르크스 순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대 기말과제 동서양고전의이해 신채호 마르크스 순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가장 감명 깊게 읽은 동양의 고전(1~7장) 한 편을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을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4장, 신채호, 조선상고사
2)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

2)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서양의 고전(8~15장) 한 편을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을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13장, 마르크스, 자본
2)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

3) 가장 비판적으로 읽은 고전(1~15장)을 한 편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왜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이유’를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6장, 순자, 순자
2)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서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읽은 고전(1~15장)을 한 편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왜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이유’를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순자(荀子,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38년?)는 전국시대 말기의 유학 사상가이자 학자로, 유교 경전 중 하나인 \'순자\'를 저술했다. 그의 사상은 천리(天理)와 인의(仁義)를 중시하며, 엄격한 율법과 규범을 통해 사회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유명하다.
1) 선정 내용: 6장, 순자, 순자
2)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서술
1) \'순자\'의 주요 내용
(1) 천리
순자는 인간 위에 절대적인 규범으로 작용하는 천리를 강조했다. 그는 천리는 인간의 본성과 일치하며, 이성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2) 인의
순자는 인과 의를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겼다. 그는 인은 타인을 사랑하고 돕는 것을 의미하며, 의는 옳고 그름을 구분하고 정의를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의했다.
(3) 성악론
순자는 인간의 본성은 선과 악이 혼합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육과 노력을 통해 인간의 선한 본성을 발휘하고 악한 본성을 억누를 수 있다고 믿었다.
(4) 정치
순자는 엄격한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뛰어난 능력을 가진 지도자가 국가를 다스려야 하며, 백성들은 지도자에게 복종해야 한다고 믿었다.
(5) 교육
순자는 교육을 통해 인간의 능력을 개발하고 도덕성을 함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육은 국가 발전의 핵심 요소이며, 모든 사람들에게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믿었다.
2) \'순자\'에 대한 비판
첫째, 독단적인 천리 개념으로 순자의 천리 개념은 너무나 독단적이고 절대적이라는 비판이 있다. 그는 천리를 인간의 본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규정했지만, 이는 인간의 다양성을 무시하는 논리라는 지적이다.
둘째, 형식적인 인의로 순자의 인과 의 개념은 너무나 형식적이고 외부적인 규범에 치중한다는 비판이 있다. 그는 인간의 내면적인 마음과 감정보다는 외부적인 행동과 결과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이다.
셋째, 억압적인 성악론으로 순자의 성악론은 인간의 선한 본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악한 본성을 억압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이 있어 왔다. 그는 인간의 본성을 선과 악의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악한 본성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는 데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셋째, 전제주의적 정치사상으로 순자의 정치사상은 엄격한 법치와 강력한 지도자에 대한 복종을 강조하는 전제주의적 경향이 있다는 비판이 있다. 그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국가 권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지적이다.
넷째, 교육의 계급적 제한으로 순자의 교육 철학은 교육 기회가 지배 계층에게만 국한되는 계급적 제한성을 지닌다는 비판이 있다. 그는 모든 사람들에게 교육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당시 사회 현실에서는 교육 기회가 평등하게 제공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순자의 \'순자\'는 유교 계열 사상의 중요한 경전 중 하나라 할 수 있으며, 천리, 인의, 성악론, 정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그의 독창적인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다. 한나라에서는 정통적인 유가의 인물로 여겨졌으나, 송나라 시대 성리학의 학풍 속에서 사랑설이 비난받으면서부터 그 이래로 오랫동안 유가의 이단자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그의 사상은 위와 같은 비판들을 받기도 한다. \'순자\'를 평가할 때는 그의 사상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고려하고, 현대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의미를 탐구해야 한다.
참고문헌
동서양고전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류종렬 등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5.11
  • 저작시기202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0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