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회복실 간호란?
1. 회복실 간호의 목적
2.회복실 환자 사정
Ⅱ. 마취 종류
1.국소마취
2. 전신마취
3. 흡입마취
4. 정맥마취
5. 근이완제
6. 척추마취
7. 경막외마취
1. 회복실 간호의 목적
2.회복실 환자 사정
Ⅱ. 마취 종류
1.국소마취
2. 전신마취
3. 흡입마취
4. 정맥마취
5. 근이완제
6. 척추마취
7. 경막외마취
본문내용
근육병증, 근육쇠약, 두개 외상, 대뇌 부종, 바이러스성 뇌염, 저산소성 뇌병증, 요독증, 발적, 전신홍반, 두드러기, 호흡곤란, 후두연축, 천명
④ rocuronium
- 효능: 기관 내 삽관을 촉진하고 수술하는 동안 골겨근 이완을 유도하기 위한 전신마취 시의 보조제, 일반 또는 응습 시 기관 내 삽관
- 부작용: 부정맥, 비정상적인 심전도, 빈맥, 구역, 구토, 발진, 부종, 가려움증, 천식, 저혈압
6. 척추마취
국소마취제를 지주막하강 내에 주입하여 척추신경의 전근과 후근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① tetracaine
- 효능: 척추마취(요추마취), 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 부작용: 쇼크, 진정, 불안, 구토, 과민증
② lidocaine
- 효능: 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및 사지의 정맥국소마취
- 부작용: 쇼크, 악성고열, 과민증, 구토, 어지러움 등
③ bupivacaine
- 효능: 전달마취, 경막외마취
- 부작용: 쇼크, 경련, 두드러기, 부종, 구역
7. 경막외마취
spinal canal 내에 있는 epidural space에 sacrococcygeal hiatus를 통하여 국소마취제를 주입하는 방법이다.
④ rocuronium
- 효능: 기관 내 삽관을 촉진하고 수술하는 동안 골겨근 이완을 유도하기 위한 전신마취 시의 보조제, 일반 또는 응습 시 기관 내 삽관
- 부작용: 부정맥, 비정상적인 심전도, 빈맥, 구역, 구토, 발진, 부종, 가려움증, 천식, 저혈압
6. 척추마취
국소마취제를 지주막하강 내에 주입하여 척추신경의 전근과 후근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① tetracaine
- 효능: 척추마취(요추마취), 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 부작용: 쇼크, 진정, 불안, 구토, 과민증
② lidocaine
- 효능: 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및 사지의 정맥국소마취
- 부작용: 쇼크, 악성고열, 과민증, 구토, 어지러움 등
③ bupivacaine
- 효능: 전달마취, 경막외마취
- 부작용: 쇼크, 경련, 두드러기, 부종, 구역
7. 경막외마취
spinal canal 내에 있는 epidural space에 sacrococcygeal hiatus를 통하여 국소마취제를 주입하는 방법이다.
추천자료
수술실 실습 보고서
수술실 간호
스트레스성 요실금
흡입마취제의 특성, 흡인마취제 할로세인(HaloThane)의 흡수와 배설, 흡인마취제 할로세인(Ha...
[간호학]LC 복강경 담낭절제술
전신,척추,국소마취후간호 -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척수마취(지주막하차단) 및 경막외...
마취간호(수술전투약, 마취의종류, 마취의 합병증, 수술실에서의 응급사태, 회복실 간호)
수술실 사전학습 (1. 수술에 사용되는 주요 진료 재료 2. 소독과 멸균 3. 마취의 종류와 마취...
성인간호학 유방암 수술 전중후 간호
[A+]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 기흉 Pneumothorax 수술보고서 Wedge Resection of Lung with V...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