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
1.1 교사 질문에 대답하기
1.2 시각 자료 이용하기
1.3 관련 어휘 예측하기
2. 정보 강화 활동
2.1 어휘(표현) 학습하기
2.2 화자 정보 파악하기
2.3 빈칸 미리 채워보기
2.4 관련 자료 읽기
2.5 교사의 이야기 듣기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
1.1 교사 질문에 대답하기
1.2 시각 자료 이용하기
1.3 관련 어휘 예측하기
2. 정보 강화 활동
2.1 어휘(표현) 학습하기
2.2 화자 정보 파악하기
2.3 빈칸 미리 채워보기
2.4 관련 자료 읽기
2.5 교사의 이야기 듣기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제공하는 활동이다. 또한 학습자는 모든 내용을 다 들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게 중심내용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듣기 이해력을 향상시켜 주는 의도도 있다. 수업 방법은 날씨 관련 사진 자료와 읽기 자료를 충분히 제시하였기에 교사의 설명을 따로 하지 않아도 된다고 본다. 추상적이거나 모호한 내용일 경우 사진 자료나 읽기 자료가 준비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교사가 듣기 내용에 관련 정보를 설명이나 이야기 형식으로 해주어야 할 것이다.
Ⅲ. 결 론
외국어 습득의 목표는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최근에는 이해 영역인 듣기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보조적 역할을 하던 듣기 영역이 중요한 영역으로 대두하기 시작하면서 수업 방안도 듣기 전 활동, 듣기 활동, 듣기 후 활동으로 체계적으로 구성된 교수방안이 나오고 있다. 이 중 듣기 전 활동은 실제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듣기 단서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업으로 이끌게 하는 활동이다. 세종한국어 3 ‘11과. 날씨’의 듣기부분에서 듣기 전 활동을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과 정보 강화 활동으로 나누어 방안을 제시하였다.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으로 교사 질문에 대답하기, 시각 자료 이용하기, 관련 어휘 예측하기 그리고 정보 강화 활동으로 어휘(표현) 학습하기, 화자 정보 파악하기, 빈칸 미리 채워보기, 관련 자료 읽기, 교사의 이야기 듣기로 분류 작성하여 보았다.
학습자에게 다양한 실제 상황의 자료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하게끔 유도할 수 있는 구성 방안으로 작성해 보았고 이를 통해 듣기에 대한 불안감 해소하고 학습자의 듣기 이해능력을 높이면서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듣기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진행되었으면 한다.
Ⅳ. 참고문헌
세종학당. 2014. 세종한국어3 증보판. 하우출판사
오지민. 2018. 한국어 듣기교재에 나타난 듣기 전 활동 유형분석 연구. 경북대석사논문
안정호. 2024. 한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교육론. 배론교육원
천혜영. 2009. 듣기 전 활동이 한국어학습자의 듣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영남대석사논문
평가의견
1.전체적으로 과제의 주제를 잘 이해하셨습니다. 다만 제출하신 과제를 훑어보니 몇 가지 짚어볼 부분이 있습니다.
2.듣기 전 활동은 각각 세종한국어3의 듣고 말하기 1번, 2번, 3번에 대응하는 3개를 구성하셔야 합니다. 제출하신 과제의 듣기 전 활동 9개를 모두 진행한 다음 세종한국어3 듣고 말하기(듣기 중 활동) 지문 3개를 내리 듣는 것이 아니라, 세종한국어3 듣고 말하기 지문 1개를 듣기 전에 듣기 전 활동 1개씩 진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3.관련 어휘 예측하기는 교사가 시각 자료를 제시하거나 들을 내용의 제목을 알려주거나 질문을 던져서 관련된 어휘를 예측하게 하는 활동입니다. 따라서 ‘어휘를 자유롭게 써 보거나 말해보는’ 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더구나 학습자들이 서로 대화를 나누거나 역할극을 하는 등의 짝 활동이나 모둠 활동은 듣기 전 활동이 아니라 듣기 후 활동으로 적절합니다.
Ⅲ. 결 론
외국어 습득의 목표는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최근에는 이해 영역인 듣기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보조적 역할을 하던 듣기 영역이 중요한 영역으로 대두하기 시작하면서 수업 방안도 듣기 전 활동, 듣기 활동, 듣기 후 활동으로 체계적으로 구성된 교수방안이 나오고 있다. 이 중 듣기 전 활동은 실제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듣기 단서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업으로 이끌게 하는 활동이다. 세종한국어 3 ‘11과. 날씨’의 듣기부분에서 듣기 전 활동을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과 정보 강화 활동으로 나누어 방안을 제시하였다.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으로 교사 질문에 대답하기, 시각 자료 이용하기, 관련 어휘 예측하기 그리고 정보 강화 활동으로 어휘(표현) 학습하기, 화자 정보 파악하기, 빈칸 미리 채워보기, 관련 자료 읽기, 교사의 이야기 듣기로 분류 작성하여 보았다.
학습자에게 다양한 실제 상황의 자료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하게끔 유도할 수 있는 구성 방안으로 작성해 보았고 이를 통해 듣기에 대한 불안감 해소하고 학습자의 듣기 이해능력을 높이면서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듣기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진행되었으면 한다.
Ⅳ. 참고문헌
세종학당. 2014. 세종한국어3 증보판. 하우출판사
오지민. 2018. 한국어 듣기교재에 나타난 듣기 전 활동 유형분석 연구. 경북대석사논문
안정호. 2024. 한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교육론. 배론교육원
천혜영. 2009. 듣기 전 활동이 한국어학습자의 듣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영남대석사논문
평가의견
1.전체적으로 과제의 주제를 잘 이해하셨습니다. 다만 제출하신 과제를 훑어보니 몇 가지 짚어볼 부분이 있습니다.
2.듣기 전 활동은 각각 세종한국어3의 듣고 말하기 1번, 2번, 3번에 대응하는 3개를 구성하셔야 합니다. 제출하신 과제의 듣기 전 활동 9개를 모두 진행한 다음 세종한국어3 듣고 말하기(듣기 중 활동) 지문 3개를 내리 듣는 것이 아니라, 세종한국어3 듣고 말하기 지문 1개를 듣기 전에 듣기 전 활동 1개씩 진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3.관련 어휘 예측하기는 교사가 시각 자료를 제시하거나 들을 내용의 제목을 알려주거나 질문을 던져서 관련된 어휘를 예측하게 하는 활동입니다. 따라서 ‘어휘를 자유롭게 써 보거나 말해보는’ 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더구나 학습자들이 서로 대화를 나누거나 역할극을 하는 등의 짝 활동이나 모둠 활동은 듣기 전 활동이 아니라 듣기 후 활동으로 적절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듣기의 특성에 대하여 여러 가지를 뽑아 본 후, 듣기교육에서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읽기수업 계획해보기(학습대상자를 정하여 그에 따른 수업목적...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실제성’있는 듣기 자료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한국어 숙달...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 학습 대상(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비즈니스 한국어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 듣기의 특성에 대하여 여러 가지를 뽑아 본 후 듣기교육에서...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읽기수업 계획해보기(학습대상자를 정하여 그에 따른 수업목적...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_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에는 무엇...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읽기 텍스트 유형을 2개 이상 선정하여 그 유형에 해당하는 텍스트 예시 1개씩을 제시 - 외국...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