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표지 제외), 좋은 글의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한 단락(대략 5-6줄, 요약 A4 1쪽에 포함되지 않음)으로 설명하시오. (10점)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느라고‘와 ’노라고‘
(2) ’-데‘와 ’-대‘
(3) ’알맞은‘과 ’알맞는‘
(4) ’어떻게‘와 ’어떡해‘
(5) ’것‘과 ’거‘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예를 들어, 61쪽에 나오는 ’작다‘를 선택했다면 ’작다‘와 ’적다‘의 차이를 설명하고 ’작다‘나 ’적다‘가 들어간 적절한 예문을 작성하면 됨. 이러한 설명과 예문을 10개 작성하는 것임.)
(1) 김철수 박사와 박영진 박사는 우리 연구소가 자랑하는 재원이다.
(2) 염치 불구하고 한 말씀 여쭙겠습니다.
(3) 형이 지금 기분이 안좋으니까 화를 돋구지 않도록 주의해라.
(4) 그의 수석 합격은 어려운 가정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한 탓이다.
(5) 이번에 추천된 총리 후보자는 지난 정권에서 교육부총리를 역임했다.
(6) 행사장에서 친구가 먼저 나한테 아는 척 했다.
(7) 지금 수비수가 사람을 놓치니까 위험한 기회를 맞는 것이다.
(8) 내가 그 사람을 몰래 헐뜯고 다녔다고 하는데, 그것은 근거 없는 낭설이다.
(9) 이번 사고로 사망한 사람들의 넋을 기리고 남은 유족들을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10) 각 부서장은 내일 오전에 있는 임명장 수여식에 함께 배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참고문헌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표지 제외), 좋은 글의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한 단락(대략 5-6줄, 요약 A4 1쪽에 포함되지 않음)으로 설명하시오. (10점)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느라고‘와 ’노라고‘
(2) ’-데‘와 ’-대‘
(3) ’알맞은‘과 ’알맞는‘
(4) ’어떻게‘와 ’어떡해‘
(5) ’것‘과 ’거‘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예를 들어, 61쪽에 나오는 ’작다‘를 선택했다면 ’작다‘와 ’적다‘의 차이를 설명하고 ’작다‘나 ’적다‘가 들어간 적절한 예문을 작성하면 됨. 이러한 설명과 예문을 10개 작성하는 것임.)
(1) 김철수 박사와 박영진 박사는 우리 연구소가 자랑하는 재원이다.
(2) 염치 불구하고 한 말씀 여쭙겠습니다.
(3) 형이 지금 기분이 안좋으니까 화를 돋구지 않도록 주의해라.
(4) 그의 수석 합격은 어려운 가정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한 탓이다.
(5) 이번에 추천된 총리 후보자는 지난 정권에서 교육부총리를 역임했다.
(6) 행사장에서 친구가 먼저 나한테 아는 척 했다.
(7) 지금 수비수가 사람을 놓치니까 위험한 기회를 맞는 것이다.
(8) 내가 그 사람을 몰래 헐뜯고 다녔다고 하는데, 그것은 근거 없는 낭설이다.
(9) 이번 사고로 사망한 사람들의 넋을 기리고 남은 유족들을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10) 각 부서장은 내일 오전에 있는 임명장 수여식에 함께 배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었다’가 맞다.
(4) 그의 수석 합격은 어려운 가정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한 탓이다.
‘탓’은 어떤 일의 원인이나 까닭을 타나낸다. 사전적 의미로는 ‘부정적인 현상’ 혹은 ‘구실이나 핑계’ 등으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에 위의 문장은 노력한 덕분이다‘ 정도로 바꾸는게 좀 더 정확한 표현이다. ‘탓’의 정확한 예시로는 ‘네가 시험에서 떨어진 이유는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고 놀았던 탓이다’ 이다.
(5) 이번에 추천된 총리 후보자는 지난 정권에서 교육부총리를 역임했다.
‘역임’했다는 여러 직위 등 복수를 뜻하는 단어가 와야 정확하다. 하나의 직위에 대해서 ‘역임’를 쓰는 것은 의미상 맞지 않다. 교육부 총리를 지냈다, 정도가 정확하다. ‘역임’의 적절한 예시로는 ‘이번에 새로 부임한 팀장님은 주요 여러 부서의 책임자를 역임했다’ 이다.
(6) 행사장에서 친구가 먼저 나한테 아는 척 했다.
‘척하다’와 ‘체하다’는 ‘거짓으로 그럴 듯 하게 꾸미다’의 의미로 사용된다. 그렇기에 위 문장은 ‘행사장에서 나를 모르는 사람이 먼저 나에게 아는 체 했다.’ 정도로 바꾸는게 정확하다. 척하다의 올바는 예시는 ‘그는 한국사에 대해 전혀 모르면서 아는 체 했다.’ 이다.
(7) 지금 수비수가 사람을 놓치니까 위험한 기회를 맞는 것이다.
위 문장에서 위험한이라는 형용사와 ‘기회’라는 단어는 매우 어색하다. ‘기회’는 일반적으로 ‘어떤일을 하기에 알맞은 시기’의 뜻을 가지고 있다. 해서 정확한 표현은 ‘위험한 순간’ 혹은 ‘위기로 고쳐야 적절하다. 기회에 대한 정확한 예시는 ’우리는 지금 한단계 더 도약할 절호의 기회를 맞이했다‘이다.
(8) 내가 그 사람을 몰래 헐뜯고 다녔다고 하는데, 그것은 근거 없는 낭설이다.
한국인들이 자주 범하는 실수 중 하나인데, 바로 의미 중복이다. ’낭설‘이라는 단어에는 ’터무니 없는 헛소문‘ 혹은 ’근거 없다‘ 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해서 ’근거 없는‘과 ’낭설‘은 중복된 의미다. ’그것은 근거가 없다‘ 또는 ’그것은 그야말로 낭설이다‘ 정도로 바꾸는 게 적절하다.
(9) 이번 사고로 사망한 사람들의 넋을 기리고 남은 유족들을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보통 ’넋을 기리다‘라는 표현은 ’뛰어난 업적이나 바람직한 정신, 위대한 사람 등을 칭찬하고 기억하다‘여서 기리다라는 표현은 사고로 인한 사망에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불의의 사고로 인한 사망이기 때문에 기리다라는 표현보다는 ’위로하다‘ 혹은 ’달래다‘가 적합하다. 기리다의 적합한 예는 ’우리는 이순신 장군의 위대한 업적을 기려야 한다.‘ 이다.
(10) 각 부서장은 내일 오전에 있는 임명장 수여식에 함께 배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배석하다‘는 ’상급자와 함께 참석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함께‘라는 단어와 중복 의미가 있다. 해서 정확한 예시는 ’함께 착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혹은 ’임명장 수여식에 배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가 정확한 표현이다.
4. 참고문헌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4) 그의 수석 합격은 어려운 가정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한 탓이다.
‘탓’은 어떤 일의 원인이나 까닭을 타나낸다. 사전적 의미로는 ‘부정적인 현상’ 혹은 ‘구실이나 핑계’ 등으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에 위의 문장은 노력한 덕분이다‘ 정도로 바꾸는게 좀 더 정확한 표현이다. ‘탓’의 정확한 예시로는 ‘네가 시험에서 떨어진 이유는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고 놀았던 탓이다’ 이다.
(5) 이번에 추천된 총리 후보자는 지난 정권에서 교육부총리를 역임했다.
‘역임’했다는 여러 직위 등 복수를 뜻하는 단어가 와야 정확하다. 하나의 직위에 대해서 ‘역임’를 쓰는 것은 의미상 맞지 않다. 교육부 총리를 지냈다, 정도가 정확하다. ‘역임’의 적절한 예시로는 ‘이번에 새로 부임한 팀장님은 주요 여러 부서의 책임자를 역임했다’ 이다.
(6) 행사장에서 친구가 먼저 나한테 아는 척 했다.
‘척하다’와 ‘체하다’는 ‘거짓으로 그럴 듯 하게 꾸미다’의 의미로 사용된다. 그렇기에 위 문장은 ‘행사장에서 나를 모르는 사람이 먼저 나에게 아는 체 했다.’ 정도로 바꾸는게 정확하다. 척하다의 올바는 예시는 ‘그는 한국사에 대해 전혀 모르면서 아는 체 했다.’ 이다.
(7) 지금 수비수가 사람을 놓치니까 위험한 기회를 맞는 것이다.
위 문장에서 위험한이라는 형용사와 ‘기회’라는 단어는 매우 어색하다. ‘기회’는 일반적으로 ‘어떤일을 하기에 알맞은 시기’의 뜻을 가지고 있다. 해서 정확한 표현은 ‘위험한 순간’ 혹은 ‘위기로 고쳐야 적절하다. 기회에 대한 정확한 예시는 ’우리는 지금 한단계 더 도약할 절호의 기회를 맞이했다‘이다.
(8) 내가 그 사람을 몰래 헐뜯고 다녔다고 하는데, 그것은 근거 없는 낭설이다.
한국인들이 자주 범하는 실수 중 하나인데, 바로 의미 중복이다. ’낭설‘이라는 단어에는 ’터무니 없는 헛소문‘ 혹은 ’근거 없다‘ 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해서 ’근거 없는‘과 ’낭설‘은 중복된 의미다. ’그것은 근거가 없다‘ 또는 ’그것은 그야말로 낭설이다‘ 정도로 바꾸는 게 적절하다.
(9) 이번 사고로 사망한 사람들의 넋을 기리고 남은 유족들을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보통 ’넋을 기리다‘라는 표현은 ’뛰어난 업적이나 바람직한 정신, 위대한 사람 등을 칭찬하고 기억하다‘여서 기리다라는 표현은 사고로 인한 사망에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불의의 사고로 인한 사망이기 때문에 기리다라는 표현보다는 ’위로하다‘ 혹은 ’달래다‘가 적합하다. 기리다의 적합한 예는 ’우리는 이순신 장군의 위대한 업적을 기려야 한다.‘ 이다.
(10) 각 부서장은 내일 오전에 있는 임명장 수여식에 함께 배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배석하다‘는 ’상급자와 함께 참석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함께‘라는 단어와 중복 의미가 있다. 해서 정확한 예시는 ’함께 착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혹은 ’임명장 수여식에 배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가 정확한 표현이다.
4. 참고문헌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추천자료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
(글쓰기 1학년)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
2024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2024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2024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글쓰기] 2024년 중간과제물, 1. 교재 제1부 제1장에서 좋은 글의 요건을 요약하고, 좋은 글...
2024년 1학기 글쓰기 중간과제물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
글쓰기 )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