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쓰기 )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표지 제외), 좋은 글의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한 단락(대략 5-6줄, 요약 A4 1쪽에 포함되지 않음)으로 설명하시오.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느라고‘와 ’노라고‘
(2) ’-데‘와 ’-대‘
(3) ’알맞은‘과 ’알맞는‘
(4) ’어떻게‘와 ’어떡해‘
(5) ’것‘과 ’거‘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 \'거\': \"그거 들었어? 정말 놀라운 거야!\"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작다‘와 ’적다‘
\'작다\'는 크기나 부피가 일정 기준보다 작을 때 사용하는 형용사이다. 반면, \'적다\'는 수량이나 빈도가 일정 기준보다 적을 때 사용하는 형용사이다. \'작다\'는 물리적인 차원에서, \'적다\'는 양적인 차원에서 사용된다.
예문: \'작다\': \"그 상자는 너무 작아서 모든 책을 담을 수 없어.\" / \'적다\': \"이 파티에 온 사람들이 예상보다 적다.\"
(2) ’틀리다‘와 ’다르다‘
\'틀리다\'는 주로 정답이나 올바른 것과 비교했을 때 잘못되었거나 오류가 있음을 나타낸다. \'다르다\'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않고 차이가 있음을 객관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한다. \'틀리다\'는 오류를 지적할 때, \'다르다\'는 단순한 차이를 설명할 때 쓰인다.
예문: \'틀리다\': \"답이 틀렸으니 다시 풀어보세요.\" / \'다르다\': \"우리의 의견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야 해.\"
(3) ’돋구다‘와 ’돋우다‘
‘돋우다’는 감정, 욕구, 흥미 등을 자극하여 더욱 높이거나 강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흥미나 욕구를 자극해서 더욱 강하게 만들 때 이 단어를 사용한다. 반면, ‘돋구다’는 주로 안경의 도수를 높이는 등의 매우 구체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며, 감정이나 욕구를 자극하는 맥락에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예문: \"영화의 긴장감 넘치는 음악이 관객의 흥미를 돋우었다. / 반면, 친구는 눈이 점점 더 나빠져 안경 도수를 돋구어야 할 상황에 이르렀다고 털어놓았다.\"
(4) ‘임신부’와 ‘임산부’
‘임신부’는 임신한 여성을 의미하는 반면, ‘임산부’는 임신 중이거나 출산 직후의 여성을 포괄하는 표현이다. 따라서 ‘임산부’는 임신 기간 전체와 출산 직후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를 가지며, ‘임신부’보다 더 포괄적인 단어이다. ‘임신부’는 임신 상태에 초점을 맞춘 단어로, 임신한 여성을 직접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된다.
예문: \"지하철에서 임산부 좌석은 임신 중이거나 출산 직후의 여성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5) ’척하다‘와 ’체하다‘
\'척하다\'는 자신이 실제로는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태도나 성격, 상태 등을 일부러 흉내 내거나 꾸며서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적 상황에서의 대인 관계나 태도에 주로 사용된다. 반면, \'체하다\'는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거나 몸에 맞지 않아 불편함을 겪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주로 건강 상태와 관련된 문제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예문: \"그는 모임에서 자신이 전문가인 척하며 사람들 앞에서 자랑했다. 하지만, 집에 돌아온 후 그는 과식으로 인해 체하고 말았다.\" 고성환, 이상진. 글쓰기, KNOUPRESS, 2019, pp. 60-76
4. 출처 및 참고문헌
고성환, 이상진. 글쓰기, KNOUPRESS, 2019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7.02
  • 저작시기202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5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