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 임상양상 (Clinical Manifestation)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6. 참고문헌
Ⅱ. 간호과정
1. 기관지 분비물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 청결
2.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1. 정의 (Definition)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 임상양상 (Clinical Manifestation)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6. 참고문헌
Ⅱ. 간호과정
1. 기관지 분비물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 청결
2.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본문내용
제의 사용을 제한하고 꼭 필요한 경우 즉, 예를 들면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로 심한 기침을 할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 노인은 인플루엔자백신을 어린이는 백일해 예방주사를 맞는다.
- 간호
방문객의 수를 줄이고 감염되지 않은 다른 아이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환아를 안정시키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하며 빠른 회복을 위한 영양섭취를 잘 하도록 격려한다.
분비물 액화를 위한 적절한 수분섭취를 해준다.
분비물 제거를 위해 공기의 가습화, 흉부 물리요법을 시행한다.
아동에게 열이 없다면 적당한 활동은 기관지로부터의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해준다.
흉부에 더운 물수건을 놓아주어 통증을 완화하고 더운물을 먹어 충혈을 감소시킨다.
빈호흡, 견축, 비익확장, 청색증, 불안정에 대한 잦은 사정한다.
호흡음과 심음, 잡음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심부전 증상이므로 빠른 치료를 위해 즉시 보고하고 빈 호흡으로 인한 불감성 체액소실, 섭취량 감소는 탈수를 발생시키므로 주의한다.
호흡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침대 머리 부분을 30~40도 정도 올려서 편안한 자세로 앉도록 하거나 머리와 가슴을 약간 올려 목이 젖혀지도록 한다. (반좌위, 좌위)
심한 호흡곤란이 있는 대상자의 부모는 질병의 결과에 공포를 갖게 되므로 간호사는 부모에게 안정과 지지를 제공해준다.
아동-부모의 접촉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부모들이 영아를 안아주고 쓰다듬어 주어서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한다.
6. 참고문헌
김영혜 외 (2018). 『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아동청소년간호학Ⅰ(신광출판사), 하영수 외, 2014
간호진단1
기관지 분비물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목표
단기목표 -환아는 1일 이내에 객담이 묽어질 것이다.
-환아는 1일 이내에 기침 횟수가 감소할 것이다.
장기목표 -환아는 퇴원 시 까지 정상적인 호흡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4시간마다 호흡양상을 사정하여 비정상적인 징후가 없는지 확인한다.
②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③ 흉부물리요법 후 객담 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④ 비효율적인 호흡 시 호흡을 증진시키기 위해 반좌위를 취해준다.
⑤ 흉부물리요법(타진법)을 3-5분 동안 수행하여 객담을 배출할 수 있도록 돕고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⑥ nebulizer 치료를 한다.
⑦ 물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금기가 아닐시 하루에 700cc 이상 마실 것을 격려한다.
간호중재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① 4시간마다 호흡양상을 사정하여 비정상적인 징후가 없는지 확인함.
②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함.(PO: 아이코솔 시럽, 아제토건조시럽, 에르도스테인, 투브롤패취, 세포탁심, Nacl, 판비콤프주, 덱사메타손)
③ 객담양상 (색깔,양,점성도)을 관찰하였다.
④ 기침이 심하거나 호흡이 불안정할 때 환아 침상에서 등 뒤에 베개를 받치고 반좌위를 취해주었다.
⑤ 보호자에게 시범을 보여주며 타진법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⑥ nebulizer치료 방법을 교육하고 시행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nebulizer 약물(살부롤, 부데코트) 을 나눠주며 nebulizer치료를 하도록 격려하였다.
⑦ 미지근한 온도의 물을 하루 5컵 이상 마실 것을 격려하였다.
호흡양상을 사정하면 비정상적 징후가 있을 경우 즉각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② 염증을 완화시켜 기침과 가래를 완화시키게 하기 위함이다.
③ 객담 양상(색깔, 양, 점성도)을 사정하여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④ 반좌위는 횡격막의 이완과 수축을 용이하게 하여 폐를 최대한 확장할 수 있으므로 비효율적인 호흡을 완화 시킨다.
⑤ 흉부물리요법은 기관지 벽에 붙어있는 분비물을 떨어뜨려 배출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또한 기도 내에 분비물 축적을 막아 호흡을 완화 시킨다.
⑥ nebulizer는 고농도의 많은 용량의 약물을 폐에 직접 투여하여 기도를 습윤화 하여 호흡곤란을 완화시킨다.
⑦ 수분을 충분히 섭취함으로써 분비물을 묽게 하여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평가
환아는 퇴원 시 까지 정상적인 호흡을 유지하였다.
환아는 1일 이내에 기침 횟수가 줄어들었고, 객담이 묽어졌다.
간호진단 2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단기목표: 환아는 2시간 이내로 체온이 정상범위를 돌아올 것이다.
장기목표: 환아는 퇴원 시 까지 체온을 36.4~37.2℃ 범위 내로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1시간 간격으로 TPR을 측정한다.
정확한 시간에 PRN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도록 하며, 보호자들에게 이를 교육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처방된 약의 부작용에 대해 설명 교육하고, 증상을 관찰한다.
③Body open & Tepid Water Massage를 시행한다.
④병실을 환기시켜 통풍이 잘되는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⑤수분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⑥휴식을 가질 것을 교육하며 안위를 도모한다. IV로 판비콤브, nacl mix하여 40mm/h 로 주입할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처방된 해열제 맥스프로펜시럽을 PRN PO 복용하였다.
③미지근한 물수건으로 피부를 닦아주었다.
④병실을 환기시켜 통풍이 잘되는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⑤수분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⑥휴식을 가질 것을 교육하며 안위를 도모한다. IV로 판비콤브, nacl mix하여 40mm/h 로 주입하였다.
TPR 사정은 간호진단을 규명하고, 계획된 간호중재를 수행하며, 간호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해열제는 체온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체온을 하강 시킨다.
③미온수 마사지는 대류에 의한 증발열을 이용해 체온을 내려준다.
④주위환경의 온도를 낮추고 의복을 제거하여 환기를 유도하고 신체활동을 감소시키는 것은 체온을 낮추는 것을 도울 수 있다.
⑤적절한 수분섭취는 체액을 증가시켜 체온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⑥에너지를 보존하는 휴식을 통해 면역체계에 필요한 영양소와 산소를 보존하게 된다.
평가
-환아는 해열제를 투여한 후 2시간 이내로 체온이 36.8 로 정상범위가 유지되었고, 퇴원일 까지 정상체온을 유지하였다.
예방을 위해서 노인은 인플루엔자백신을 어린이는 백일해 예방주사를 맞는다.
- 간호
방문객의 수를 줄이고 감염되지 않은 다른 아이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환아를 안정시키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하며 빠른 회복을 위한 영양섭취를 잘 하도록 격려한다.
분비물 액화를 위한 적절한 수분섭취를 해준다.
분비물 제거를 위해 공기의 가습화, 흉부 물리요법을 시행한다.
아동에게 열이 없다면 적당한 활동은 기관지로부터의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해준다.
흉부에 더운 물수건을 놓아주어 통증을 완화하고 더운물을 먹어 충혈을 감소시킨다.
빈호흡, 견축, 비익확장, 청색증, 불안정에 대한 잦은 사정한다.
호흡음과 심음, 잡음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심부전 증상이므로 빠른 치료를 위해 즉시 보고하고 빈 호흡으로 인한 불감성 체액소실, 섭취량 감소는 탈수를 발생시키므로 주의한다.
호흡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침대 머리 부분을 30~40도 정도 올려서 편안한 자세로 앉도록 하거나 머리와 가슴을 약간 올려 목이 젖혀지도록 한다. (반좌위, 좌위)
심한 호흡곤란이 있는 대상자의 부모는 질병의 결과에 공포를 갖게 되므로 간호사는 부모에게 안정과 지지를 제공해준다.
아동-부모의 접촉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부모들이 영아를 안아주고 쓰다듬어 주어서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한다.
6. 참고문헌
김영혜 외 (2018). 『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아동청소년간호학Ⅰ(신광출판사), 하영수 외, 2014
간호진단1
기관지 분비물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목표
단기목표 -환아는 1일 이내에 객담이 묽어질 것이다.
-환아는 1일 이내에 기침 횟수가 감소할 것이다.
장기목표 -환아는 퇴원 시 까지 정상적인 호흡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4시간마다 호흡양상을 사정하여 비정상적인 징후가 없는지 확인한다.
②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③ 흉부물리요법 후 객담 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④ 비효율적인 호흡 시 호흡을 증진시키기 위해 반좌위를 취해준다.
⑤ 흉부물리요법(타진법)을 3-5분 동안 수행하여 객담을 배출할 수 있도록 돕고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⑥ nebulizer 치료를 한다.
⑦ 물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금기가 아닐시 하루에 700cc 이상 마실 것을 격려한다.
간호중재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① 4시간마다 호흡양상을 사정하여 비정상적인 징후가 없는지 확인함.
②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함.(PO: 아이코솔 시럽, 아제토건조시럽, 에르도스테인, 투브롤패취, 세포탁심, Nacl, 판비콤프주, 덱사메타손)
③ 객담양상 (색깔,양,점성도)을 관찰하였다.
④ 기침이 심하거나 호흡이 불안정할 때 환아 침상에서 등 뒤에 베개를 받치고 반좌위를 취해주었다.
⑤ 보호자에게 시범을 보여주며 타진법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⑥ nebulizer치료 방법을 교육하고 시행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nebulizer 약물(살부롤, 부데코트) 을 나눠주며 nebulizer치료를 하도록 격려하였다.
⑦ 미지근한 온도의 물을 하루 5컵 이상 마실 것을 격려하였다.
호흡양상을 사정하면 비정상적 징후가 있을 경우 즉각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② 염증을 완화시켜 기침과 가래를 완화시키게 하기 위함이다.
③ 객담 양상(색깔, 양, 점성도)을 사정하여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④ 반좌위는 횡격막의 이완과 수축을 용이하게 하여 폐를 최대한 확장할 수 있으므로 비효율적인 호흡을 완화 시킨다.
⑤ 흉부물리요법은 기관지 벽에 붙어있는 분비물을 떨어뜨려 배출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또한 기도 내에 분비물 축적을 막아 호흡을 완화 시킨다.
⑥ nebulizer는 고농도의 많은 용량의 약물을 폐에 직접 투여하여 기도를 습윤화 하여 호흡곤란을 완화시킨다.
⑦ 수분을 충분히 섭취함으로써 분비물을 묽게 하여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평가
환아는 퇴원 시 까지 정상적인 호흡을 유지하였다.
환아는 1일 이내에 기침 횟수가 줄어들었고, 객담이 묽어졌다.
간호진단 2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단기목표: 환아는 2시간 이내로 체온이 정상범위를 돌아올 것이다.
장기목표: 환아는 퇴원 시 까지 체온을 36.4~37.2℃ 범위 내로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1시간 간격으로 TPR을 측정한다.
정확한 시간에 PRN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도록 하며, 보호자들에게 이를 교육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처방된 약의 부작용에 대해 설명 교육하고, 증상을 관찰한다.
③Body open & Tepid Water Massage를 시행한다.
④병실을 환기시켜 통풍이 잘되는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⑤수분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⑥휴식을 가질 것을 교육하며 안위를 도모한다. IV로 판비콤브, nacl mix하여 40mm/h 로 주입할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처방된 해열제 맥스프로펜시럽을 PRN PO 복용하였다.
③미지근한 물수건으로 피부를 닦아주었다.
④병실을 환기시켜 통풍이 잘되는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⑤수분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⑥휴식을 가질 것을 교육하며 안위를 도모한다. IV로 판비콤브, nacl mix하여 40mm/h 로 주입하였다.
TPR 사정은 간호진단을 규명하고, 계획된 간호중재를 수행하며, 간호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해열제는 체온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체온을 하강 시킨다.
③미온수 마사지는 대류에 의한 증발열을 이용해 체온을 내려준다.
④주위환경의 온도를 낮추고 의복을 제거하여 환기를 유도하고 신체활동을 감소시키는 것은 체온을 낮추는 것을 도울 수 있다.
⑤적절한 수분섭취는 체액을 증가시켜 체온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⑥에너지를 보존하는 휴식을 통해 면역체계에 필요한 영양소와 산소를 보존하게 된다.
평가
-환아는 해열제를 투여한 후 2시간 이내로 체온이 36.8 로 정상범위가 유지되었고, 퇴원일 까지 정상체온을 유지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