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자기이해
1. 나의 강점 및 약점
2. Johari 창문 분석
3. 나의 의사소통 분석
4. 자신의 방어기전(긍정적, 부정적)
B. 대상자 이해
1. 대상자 자료수집 및 상호작용을 계획
2. 대상자에 대한 편견, 선입견 등을 확인
3. 이론적 정보와 과거의 임상경험 고찰
4. 치료적 관계의 일반적 목표를 검토하고 대상자에게 해 줄 수 있는 것에 대해 검토
5. 대상자와의 언어적 비언어적 면담내용
1. 나의 강점 및 약점
2. Johari 창문 분석
3. 나의 의사소통 분석
4. 자신의 방어기전(긍정적, 부정적)
B. 대상자 이해
1. 대상자 자료수집 및 상호작용을 계획
2. 대상자에 대한 편견, 선입견 등을 확인
3. 이론적 정보와 과거의 임상경험 고찰
4. 치료적 관계의 일반적 목표를 검토하고 대상자에게 해 줄 수 있는 것에 대해 검토
5. 대상자와의 언어적 비언어적 면담내용
본문내용
56/F
조현병
(Schizophrenia)
불면증, 피해망상
일시
19.8.27.화요일
장소
6W 복도
대상자 및 간호 학생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치료적 의사소통기법)
Sn1 : 안녕하세요, 구미대학교에서 실습 온 간호학생 이민경이라고 합니다. (자기노출-> 치)
Ct1 : 반가워요. 저는 이○○이라고 해요.
Sn2 : (반갑게 웃으며) 어제 같이 오목두고 재밌었어요. 인상이 너무 좋으셔서 앞으로 실습하는 일주일동안 이○○님과 이야기 해보고 싶어서 찾아뵈었어요! (비언어적 의사소통, 종결날짜 노출-> 치)
Ct2 : 인상이 좋다고 말해줘서 고마워요.
Sn3 : 매일 이○○님 찾아뵙고 이야기 하고 싶은데 불편하시지는 않으시겠죠? (폐쇄적 질문-> 비)
→ 이○○님과 자주 이야기 나누고 싶은데요. 시간 괜찮으시겠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3 : (웃으시며)저는 좋죠. 사실 여기 병동에 있는 간호사들보다 학생들이 이야기하기 더 편해요.
Sn4 : 그렇게 말씀해주시니까 편하게 대화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복도에서 대화를 나누려고 하는 데요 혹시 불편하실까요? (폐쇄적 질문-> 비)
→ 이제 대화를 나누려고 하는 데요. 이○○님은 어디서 하는 게 편하세요? (개방적 질문-> 치)
Ct4: 아니에요. 복도에 사람도 별로 없고 좋죠.
Sn5: 혹시 대화를 하다가 대답하시기 힘드신 부분은 안 해주셔도 됩니다. 너무 부담 갖지 않으셔도 됩니다.
Ct5: 네 알겠습니다. 그래도 답변은 열심히 해드릴게요.
Sn6: 감사합니다. 잠은 잘 주무셨어요? (폐쇄적 질문-> 비)
→ 어제 잠은 어떠셨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6: 아니요. 자주 깨서 지금도 피곤하네요.
Sn7: 아 그러셨어요? 몇 번 정도 깨셨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7: 한 3~4번 깬 것 같아요. 그렇게 깨면 잠도 안와서 좀 앉아있다가 다시 자고 그랬어요.
Sn8: 아 그러셨구나. 그러면 총 몇 시간 정도 주무신 것 같나요? (공감, 개방적 질문-> 치)
Ct8: 음... 한 4시간 정도 잔 것 같아요.
Sn9: 별로 못 주무셨네요. 낮에는 따로 주무시거나 하시진 않으셨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9: 네. 피곤하기만하고 따로 자거나 하지는 않았어요.
Sn10: 잠을 별로 못 주무셔서 몸이 무거우시겠어요. (공감-> 치)
Ct10: 네. 뭐 그렇죠.
Sn11: 식사는 잘 하셨나요? (개방적 질문-> 치)
Ct11: 밥은 잘 먹어요.
Sn12: 공기밥 다 드시고 반찬도 골고루 드시는 거세요? (폐쇄적 질문-> 비)
→ 얼마나 드셨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12: 그럼요.
Sn13: 아까 보니까 친하신 2분이랑 자주 있으신 것 같은 데, 방에 있는 분들이랑은 어떻게 지내시나요? (개방적 질문-> 치)
Ct13: 방에는 잘 때나 들어가고, 계속 밖에 있어요. (바닥을 보시며) 방에 있는 사람들이랑 별로 안 친해서.. 친해지고 싶지도 않고요.
Sn14: 무슨 이유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개방적 질문-> 치)
Ct14: 그냥 사람을 사귀는 게 힘들어서요.. 관계가 지친다고 할까나...
Sn14: 저도 그런 적이 있어요. 가끔 계산적인 사람을 만나거나 상처를 주는 사람을 만날 때 그랬어요. 그때는 혼자 있는 게 편하더라고요. (자기노출-> 치)
Ct14: 맞아요. 그냥 사람들이랑 많이 부딪혀서 그런 지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을 피하게 되네요. 여기까지만 해도 될까요? 이제 곧 약 먹을 시간이여서요.
Sn14: 네 알겠습니다. 다음에 뵙겠습니다
* 치료적 의사소통기법 : 개방적 질문, 공감, 초점 맞추기, 수용, 명료화, 현실감 제공, 반영(느낌, 경험, 내용), 직면, 정보제공 등
조현병
(Schizophrenia)
불면증, 피해망상
일시
19.8.27.화요일
장소
6W 복도
대상자 및 간호 학생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치료적 의사소통기법)
Sn1 : 안녕하세요, 구미대학교에서 실습 온 간호학생 이민경이라고 합니다. (자기노출-> 치)
Ct1 : 반가워요. 저는 이○○이라고 해요.
Sn2 : (반갑게 웃으며) 어제 같이 오목두고 재밌었어요. 인상이 너무 좋으셔서 앞으로 실습하는 일주일동안 이○○님과 이야기 해보고 싶어서 찾아뵈었어요! (비언어적 의사소통, 종결날짜 노출-> 치)
Ct2 : 인상이 좋다고 말해줘서 고마워요.
Sn3 : 매일 이○○님 찾아뵙고 이야기 하고 싶은데 불편하시지는 않으시겠죠? (폐쇄적 질문-> 비)
→ 이○○님과 자주 이야기 나누고 싶은데요. 시간 괜찮으시겠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3 : (웃으시며)저는 좋죠. 사실 여기 병동에 있는 간호사들보다 학생들이 이야기하기 더 편해요.
Sn4 : 그렇게 말씀해주시니까 편하게 대화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복도에서 대화를 나누려고 하는 데요 혹시 불편하실까요? (폐쇄적 질문-> 비)
→ 이제 대화를 나누려고 하는 데요. 이○○님은 어디서 하는 게 편하세요? (개방적 질문-> 치)
Ct4: 아니에요. 복도에 사람도 별로 없고 좋죠.
Sn5: 혹시 대화를 하다가 대답하시기 힘드신 부분은 안 해주셔도 됩니다. 너무 부담 갖지 않으셔도 됩니다.
Ct5: 네 알겠습니다. 그래도 답변은 열심히 해드릴게요.
Sn6: 감사합니다. 잠은 잘 주무셨어요? (폐쇄적 질문-> 비)
→ 어제 잠은 어떠셨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6: 아니요. 자주 깨서 지금도 피곤하네요.
Sn7: 아 그러셨어요? 몇 번 정도 깨셨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7: 한 3~4번 깬 것 같아요. 그렇게 깨면 잠도 안와서 좀 앉아있다가 다시 자고 그랬어요.
Sn8: 아 그러셨구나. 그러면 총 몇 시간 정도 주무신 것 같나요? (공감, 개방적 질문-> 치)
Ct8: 음... 한 4시간 정도 잔 것 같아요.
Sn9: 별로 못 주무셨네요. 낮에는 따로 주무시거나 하시진 않으셨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9: 네. 피곤하기만하고 따로 자거나 하지는 않았어요.
Sn10: 잠을 별로 못 주무셔서 몸이 무거우시겠어요. (공감-> 치)
Ct10: 네. 뭐 그렇죠.
Sn11: 식사는 잘 하셨나요? (개방적 질문-> 치)
Ct11: 밥은 잘 먹어요.
Sn12: 공기밥 다 드시고 반찬도 골고루 드시는 거세요? (폐쇄적 질문-> 비)
→ 얼마나 드셨어요? (개방적 질문-> 치)
Ct12: 그럼요.
Sn13: 아까 보니까 친하신 2분이랑 자주 있으신 것 같은 데, 방에 있는 분들이랑은 어떻게 지내시나요? (개방적 질문-> 치)
Ct13: 방에는 잘 때나 들어가고, 계속 밖에 있어요. (바닥을 보시며) 방에 있는 사람들이랑 별로 안 친해서.. 친해지고 싶지도 않고요.
Sn14: 무슨 이유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개방적 질문-> 치)
Ct14: 그냥 사람을 사귀는 게 힘들어서요.. 관계가 지친다고 할까나...
Sn14: 저도 그런 적이 있어요. 가끔 계산적인 사람을 만나거나 상처를 주는 사람을 만날 때 그랬어요. 그때는 혼자 있는 게 편하더라고요. (자기노출-> 치)
Ct14: 맞아요. 그냥 사람들이랑 많이 부딪혀서 그런 지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을 피하게 되네요. 여기까지만 해도 될까요? 이제 곧 약 먹을 시간이여서요.
Sn14: 네 알겠습니다. 다음에 뵙겠습니다
* 치료적 의사소통기법 : 개방적 질문, 공감, 초점 맞추기, 수용, 명료화, 현실감 제공, 반영(느낌, 경험, 내용), 직면, 정보제공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