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하나를 골라, A4지 0.5페이지에 그 견해의 핵심을 요약하고, 0.5 페이지에 본인이 그 견해를 옹호하는 이유를 기술합니다.
1) 칸트의 인간관
2) 칸트의 인간관을 옹호하는 이유
2. 이번에는 가장 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하나를 골라, A4지 0.5페이지에 그 견해의 핵심을 요약하고, 0.5페이지에 본인이 그 견해를 수긍할 수 없는 이유를 기술합니다.
1) 플라톤의 인간관
2) 플라톤의 인간관을 수긍할 수 없는 이유
3. 참고문헌
1) 칸트의 인간관
2) 칸트의 인간관을 옹호하는 이유
2. 이번에는 가장 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하나를 골라, A4지 0.5페이지에 그 견해의 핵심을 요약하고, 0.5페이지에 본인이 그 견해를 수긍할 수 없는 이유를 기술합니다.
1) 플라톤의 인간관
2) 플라톤의 인간관을 수긍할 수 없는 이유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철학자인 국왕이 다스리는 나라이다. 철학자는 진리를 찾고, 이데아를 알고 있으므로 나라를 운영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둘째, 국민들은 저마다의 능력에 따라 지배자, 군인, 생산자로 분류되며, 각자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나라는 뛰어난 철학자를 기르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넷째, 지배자와 군인은 사유재산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재산을 공유해야 한다고 보았다.
2) 플라톤의 인간관을 수긍할 수 없는 이유
플라톤의 인간관은 다양한 면에서 철학적인 기여를 했지만, 수긍하기 어려운 부분이 몇 가지 있다. 다음은 본인이 플라톤의 인간관의 문제점을 분석한 내용이다.
① 이원론적 인간관 : 플라톤은 영혼과 육체를 나누어 생각하는 이원론적 인간관을 주장했다. 이런 관점은 인간의 외면적인 경험과 감정을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인간의 전체적인 삶을 설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인간의 내면에 영혼이 존재한다고 믿었으나 현재는 의학기술을 발달로 인간의 뇌가 정신을 작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만큼 더 이상 플라톤의 이원론적 인간관으로 인간을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
② 계급주의적 사회관 : 플라톤은 국가에서 국민들의 계급을 세 가지 등급으로 나누어 각자가 맡아야 할 역할을 규정했다. 이러한 계급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할 위험성이 있으며,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어서 현대의 민주주의 국가의 이념에 적용하기가 힘들다. 또한 인간이 사는 세상을 세 가지 등급으로 분류하여 단조롭게 역할을 부여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③ 정적인 인간관 : 플라톤은 인간의 본성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고 여겼다. 하지만 인간은 유전적환경적인 영향 외에도 자신의 노력과 의지로 본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어렸을 때 심성이 악한 경우에도 개인의 노력에 따라서 선하게 변화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플라톤의 인간관은 이러한 본성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④ 여성과 노예에 대한 차별 : 플라톤은 여성과 노예에 대한 차별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뛰어나고, 자유민이 노예보다 뛰어나다고 여긴 것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남녀는 성별만 다를 뿐 능력에서 큰 차이가 없고, 노예제도는 민주주의의 평등권에 어긋난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플라톤의 차별적인 태도는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⑤ 이상주의적 경향 : 플라톤은 뛰어난 철학자가 이상적인 국가를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실현이 어렵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므로 한 명의 뛰어난 정치인이 국가를 완벽하게 경영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그의 주장대로 한명의 철학자가 국가를 경영한다면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할 위험성이 생긴다. 또한 완벽한 철학자가 국가의 올바름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으나 민주주의의 정치는 대통령이 혼자 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분업과 협력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상주의 국가는 현대 민주주의의 가치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플라톤의 인간관의 문제점을 보여주며, 현대 사회에서는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문성학, 철학, 삶 그리고 윤리, 형설출판사, 1998.
문성학, 칸트 윤리학과 형식주의, 경북대학교출판부, 2006.
서강식 외, 도덕과 교육의 실제, 인간사랑, 2005.
이상준, 인성교육에 있어서 철학교육의 역할,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11.
이정호 외,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진인성, 플라톤의 \'파이돈\' 편에 나타난 신체관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2.
2) 플라톤의 인간관을 수긍할 수 없는 이유
플라톤의 인간관은 다양한 면에서 철학적인 기여를 했지만, 수긍하기 어려운 부분이 몇 가지 있다. 다음은 본인이 플라톤의 인간관의 문제점을 분석한 내용이다.
① 이원론적 인간관 : 플라톤은 영혼과 육체를 나누어 생각하는 이원론적 인간관을 주장했다. 이런 관점은 인간의 외면적인 경험과 감정을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인간의 전체적인 삶을 설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인간의 내면에 영혼이 존재한다고 믿었으나 현재는 의학기술을 발달로 인간의 뇌가 정신을 작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만큼 더 이상 플라톤의 이원론적 인간관으로 인간을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
② 계급주의적 사회관 : 플라톤은 국가에서 국민들의 계급을 세 가지 등급으로 나누어 각자가 맡아야 할 역할을 규정했다. 이러한 계급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할 위험성이 있으며,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어서 현대의 민주주의 국가의 이념에 적용하기가 힘들다. 또한 인간이 사는 세상을 세 가지 등급으로 분류하여 단조롭게 역할을 부여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③ 정적인 인간관 : 플라톤은 인간의 본성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고 여겼다. 하지만 인간은 유전적환경적인 영향 외에도 자신의 노력과 의지로 본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어렸을 때 심성이 악한 경우에도 개인의 노력에 따라서 선하게 변화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플라톤의 인간관은 이러한 본성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④ 여성과 노예에 대한 차별 : 플라톤은 여성과 노예에 대한 차별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뛰어나고, 자유민이 노예보다 뛰어나다고 여긴 것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남녀는 성별만 다를 뿐 능력에서 큰 차이가 없고, 노예제도는 민주주의의 평등권에 어긋난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플라톤의 차별적인 태도는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⑤ 이상주의적 경향 : 플라톤은 뛰어난 철학자가 이상적인 국가를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실현이 어렵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므로 한 명의 뛰어난 정치인이 국가를 완벽하게 경영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그의 주장대로 한명의 철학자가 국가를 경영한다면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할 위험성이 생긴다. 또한 완벽한 철학자가 국가의 올바름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으나 민주주의의 정치는 대통령이 혼자 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분업과 협력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상주의 국가는 현대 민주주의의 가치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플라톤의 인간관의 문제점을 보여주며, 현대 사회에서는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문성학, 철학, 삶 그리고 윤리, 형설출판사, 1998.
문성학, 칸트 윤리학과 형식주의, 경북대학교출판부, 2006.
서강식 외, 도덕과 교육의 실제, 인간사랑, 2005.
이상준, 인성교육에 있어서 철학교육의 역할,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11.
이정호 외,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진인성, 플라톤의 \'파이돈\' 편에 나타난 신체관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2.
추천자료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교재와 강의 2장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
2024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 교재와 강의 2장에서는 여러 철학자들의 인간관이 소개...
2024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과제물- 먼저 인간과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대...
(2024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철학의이해, 공통형) 교재와 강의 2장에서는 여러 철학자들...
철학의이해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교재와 강의 2장에서는 여러 철학자들의 인간관이 소개...
(인간과사회)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15장 (커뮤니케이션, 문화, ...
[철학의이해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
(철학의이해 2024년 2학기 중간] 교재와 강의 2장에서는 여러 철학자들의 인간관이 소개됩니...
[철학의이해] 2024년 중간과제물, 철학자들의 인간관, 1.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이라...
[2024년 2학기 간호학특론 중간과제물) 보건의료에서 시장정의와 사회정의의 차이점을 비교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