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25] 우수 독후감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트렌드 코리아 2025] 우수 독후감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문
2025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

1 2024 대한민국
초효율주의
불황기 생존 전략
지리한 정체의 시간을 보내는 방법
시그니처의 힘
요즘가족
〈트렌드 코리아〉 선정 2024년 대한민국 10대 트렌드 상품

2 2025 트렌드
옴니보어 Savoring a Bit of Everything: Omnivores
#아보하 Nothing Out of the Ordinary: Very Ordinary Day
토핑경제 All About the Toppings
페이스테크 Keeping It Human: Face Tech
무해력 Embracing Harmlessness
그라데이션K Shifting Gradation of Korean Culture
물성매력 Experiencing the Physical: the Appeal of Materiality
기후감수성 Need for Climate Sensitivity
공진화 전략 Strategy of Coevolution
원포인트업 Everyone Has Their Own Strengths: One-Point-Up

본문내용

감을 쌓아가고자 한다. 이처럼 지금 도달 가능한 한 가지 목표를 세워 실천함으로써, 나다움을 잃지 않는 자기계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원포인트업’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과거에는 누구나 다 인정하는 성공의 공식 같은 것이 있었다. 학생은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취업준비생은 전문직 자격증을 따거나 큰 회사에 취직하는 것을 당연한 목표로 세웠다. 취업 후에도 조직 안에서 동기보다 빨리 높이 승진하는 것이 성공이었다. 그래서 ‘롤모델’이 중요했다. 다들 성공했다고 인정하는 특정인을 롤모델 삼아 그의 성공 공식을 따르는 것이 트렌드였다. 이 시기에는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같은 류의 책이 베스트셀러를 차지하곤 했다.
요즘의 자기계발 코드는 다르다. 첫째, 성공의 기준이 사람마다 천차만별이다. 모두가 롤모델의 성공 공식을 일률적으로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가장 ‘나다운’ 성공이 따로 있다. 예전의 성공이 답이 정해져 있는 객관식 문제의 정답을 찾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자신이 생각하는 성공이란 무엇인가?”라는 주관식 문제의 답을 서술하는 일과 비슷해졌다. 이제 자기계발은 ‘정답’을 찾는 과정이 아니다. 나는 그저 ‘나의 답’을 낼 뿐이다.
둘째, 실천 가능한 한 가지에 집중한다. 예전에는 장기적이고 총체적인 삶의 변화를 목표로 했지만 요즘은 다르다. 그렇게 ‘끊임없이 쇄신하여 나를 완전히 바꾸는 일’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통해 깨달았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작더라도 단기간에 도달 가능한 목표를 선호한다. 단 하나라도 좋으니, 내가 이뤄낼 수 있는 자기계발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일상의 노력을 기록하고 그것을 주변 사람과 공유한다. 소셜미디어에 나의 성취를 올려 과시하고 ‘좋아요’를 받기 위해서가 아니다. 오늘 실천한 작은 노력을 내 눈으로 확인하고,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나누며 서로 응원하고 격려하는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 전망 및 시사점: 그렇다면 원포인트업 시대에 이러한 흐름은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 조직과 개인 차원에서 원포인트업 자기계발 트렌드를 어떻게 적용하고 대응할 것인지 살펴보자.
우선 조직마다 인재 육성 방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개인 맞춤형 성장 지원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대다. 획일적인 교육 프로그램보다는 개인의 역량과 목표에 맞는 맞춤형 멘토링 및 코칭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직원들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노력해서 임원이 되는 것이 곧 성공이었으므로, 개인과 집단의 의욕을 북돋고 정해진 목표를 향해 이끄는 리더십이 중요했다. 그러나 원포인트업 시대에는 승진보다는 개인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제 조직은 단순히 열심히 일하도록 독려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고 작은 변화들을 격려하며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줘야 한다.
그동안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세상 속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앞만 보고 달려왔다. 하지만 이제는 잠시 멈춰 서서 나 자신에게 온전히 집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원포인트업은 단순히 기술이나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의 나를 인정하는 과정이다. 작은 성공에도 기뻐하고, 실패에도 좌절하지 않으며,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는 것, 이것이 바로 원포인트업이다.
원포인트업은 지금 현재 상태에 1퍼센트의 변화를 모색하는 일이다. 1퍼센트는 작은 숫자지만 꾸준히 1퍼센트의 노력을 쌓아간다면 그 결과물은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아주 작은 노력이라도 꾸준히 계속한다면, 그 결과는 천지 차이다. 실천 가능한 나만의 밸류업을 지금 바로 시작하라.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10.15
  • 저작시기202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64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