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목차
1. 1~14주 핵심내용 요약 (총 26강)
2. 1~14주 동영상강의 퀴즈 정답+해설(총 52문제)
2. 1~14주 동영상강의 퀴즈 정답+해설(총 52문제)
본문내용
★★★★★★★★★★★★★★★1주 1강★★★★★★★★★★★★★★★
1. 상담의 정의와 원리 및 과제
● 상담의 정의는 학자마다 상이하나, 보편적으로 개인 간의 관계로 이루어지고, 언어적 수단에 의한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보인다는 공통점을 가짐
● 상담은 전문적인 조력을 주는 관계로 사적인 관계임과 동시에 학습의 과정으로 볼 수 있음
● 상담의 원리는 개별화의 원리, 의도적 감정표현의 원리, 통제된 정서관여의 원리, 수용의 원리, 비판단적 태도의 원리, 자기결정의 원리, 비밀보장의 원리 등을 들 수 있음
● 상담의 과제는 내담자가 와서 자기를 드러내고, 표현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내담자가 원하는 변화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규정하며, 성취방법과 변화가 성취되도록 도와주고, 언제 종료할 것인가를 아는 것을 의미함
2. 상담의 과정과 상담가의 자질
● 상담의 과정은 초기, 중기, 종결기로 구분되며, 초기에는 내담자가 자기를 충실히 공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 중기는 정해진 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작업을 하는 시기이고, 종결기에서는 합의된 목표와 비교하여 현재 내담자의 인지, 감정, 행동을 비교함으로써 성취된 목표와 그렇지 않은 목표를 확인하게 됨
● 상담가는 내담자가 보이는 문제나 약점으로 내담자를 전적으로 부적응적 내지 자생력이 결여된 환자와 같은 존재로 보아서는 안되며, 내담자를 일부 영역이 아닌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함
★★★★★★★★★★★★★★★1주 2강★★★★★★★★★★★★★★
1. 장애용어 및 패러다임의 변화
● 상담의 대상에는 특수교육대상자 뿐만 아니라, 정신장애와 법정 장애인이 아닌 준장애아동도 포함되어 있음
● 오늘날의 장애는 장애를 장애인 당사자의 개별문제로 치부하던 개인적 모델에서 사회의 책무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모델로 변화하고 있고, 이론적 체계 또한 재활의 관점에서 자립생활의 관점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
2. 장애편견 해소
● 루빈의 잔에서 알 수 있듯이 장애를 바라볼 때는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장애인에게 필요한 것은 불평등적, 동정적 배려가 아닌 동등성을 인정한 상식적인 배려임
1. 상담의 정의와 원리 및 과제
● 상담의 정의는 학자마다 상이하나, 보편적으로 개인 간의 관계로 이루어지고, 언어적 수단에 의한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보인다는 공통점을 가짐
● 상담은 전문적인 조력을 주는 관계로 사적인 관계임과 동시에 학습의 과정으로 볼 수 있음
● 상담의 원리는 개별화의 원리, 의도적 감정표현의 원리, 통제된 정서관여의 원리, 수용의 원리, 비판단적 태도의 원리, 자기결정의 원리, 비밀보장의 원리 등을 들 수 있음
● 상담의 과제는 내담자가 와서 자기를 드러내고, 표현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내담자가 원하는 변화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규정하며, 성취방법과 변화가 성취되도록 도와주고, 언제 종료할 것인가를 아는 것을 의미함
2. 상담의 과정과 상담가의 자질
● 상담의 과정은 초기, 중기, 종결기로 구분되며, 초기에는 내담자가 자기를 충실히 공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 중기는 정해진 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작업을 하는 시기이고, 종결기에서는 합의된 목표와 비교하여 현재 내담자의 인지, 감정, 행동을 비교함으로써 성취된 목표와 그렇지 않은 목표를 확인하게 됨
● 상담가는 내담자가 보이는 문제나 약점으로 내담자를 전적으로 부적응적 내지 자생력이 결여된 환자와 같은 존재로 보아서는 안되며, 내담자를 일부 영역이 아닌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함
★★★★★★★★★★★★★★★1주 2강★★★★★★★★★★★★★★
1. 장애용어 및 패러다임의 변화
● 상담의 대상에는 특수교육대상자 뿐만 아니라, 정신장애와 법정 장애인이 아닌 준장애아동도 포함되어 있음
● 오늘날의 장애는 장애를 장애인 당사자의 개별문제로 치부하던 개인적 모델에서 사회의 책무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모델로 변화하고 있고, 이론적 체계 또한 재활의 관점에서 자립생활의 관점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
2. 장애편견 해소
● 루빈의 잔에서 알 수 있듯이 장애를 바라볼 때는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장애인에게 필요한 것은 불평등적, 동정적 배려가 아닌 동등성을 인정한 상식적인 배려임
추천자료
(해커스)대인관계의심리학 1~14강 전체 핵심 요약본 및 퀴즈 정답과 해설
(해커스)사이버심리학 1~14강 전체 핵심 요약본 및 퀴즈 정답과 해설
(해커스)사회심리학 1~14강 전체 핵심 요약본 및 퀴즈 정답과 해설
(해커스)상담이론과실제 1~14강 전체 핵심 요약본 및 퀴즈 정답과 해설
(해커스)생활지도와상담 1~14강 전체 핵심 요약본 및 퀴즈 정답과 해설
(해커스)성격심리학 1~14강 전체 핵심 요약본 및 퀴즈 정답과 해설
(해커스)인지심리학 1~14강 전체 핵심 요약본 및 퀴즈 정답과 해설
(해커스)상담심리학 1~14강 전체 핵심 요약본 및 퀴즈 정답과 해설
(해커스)아동발달 1~14강 전체 핵심 요약본 및 퀴즈 정답과 해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