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록
1. 서론
2. 본론
2.1 식민지 역사
2.2 식민주의의 붕괴
2.3 탈식민주의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2.1 식민지 역사
2.2 식민주의의 붕괴
2.3 탈식민주의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경제적, 기술적, 문화적으로 월등한 수준을 가진 열강들에 식민지를 통해 고등의 모든 것을 전수 하며 근대화 시기를 앞당겼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주장은 서구 유럽, 식민지 제국의 시선에 불과하며 그 당시 식민지국이었던 나라를 무시하는 발언이다. 유럽의 식민지 제국이 없었다면 식민지국들은 더 평화적인 방법으로 근대화를 이루었을 수도 있으며 더 이른 시기에 선진적인 문명으로 발전했을 수도 있다. 즉, 식민지가 식민지국의 근대화를 오히려 억제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이 일본의 도움으로 우리나라가 빠르게 근대화를 이루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식민지 역사를 그저 근대화와 기술 발전 면에서만 인식하고 나머지 극악무도하고 잔인한 면모는 보지 않으려 하는 것이다. 그와 유사하게 식민지 제국이었던 나라들은 그들의 비인간적인 역사적 사실들은 모든 면을 축소 시키려고 한다.
또한 식민지 제국들은 식민지국을 수월하게 통치하기 위해 그들에게 문화를 강제 주입하고 자국의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며 강제 이주시키기도 했다. 이 강제 이주를 통한 식민지 유산이 아직도 전 세계 곳곳에 남아있다. 한 지역에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 같은 민족이 모여 살다가 그에 반하는 민족이 식민지 제국에 의해 이주하게 되면 당연히 그 지역에는 내전이 끊일 수가 없을 것이다. 식민지 제국들은 이들의 역사와 문화적인 면을 고려하여 통치했어야 했지만, 그들의 단순한 이익에 따른 부작용이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이와 유사한 문제는 아프리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프리카의 나라 영토 구분을 보면 마치 자로 그어 놓은 듯한 모습을 보인다. 이는 식민지 제국들이 철수하면서 행한 만행이며 그로 인한 내전과 인접국 간의 분쟁은 멈추지 않으며 아프리카의 기아와 가난 문제는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식민지가 결코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고 주장할 수 없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미국 역사, 식민지 시대, 미국 국무부 | 주한 미국대사관 공보과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한림학사. 청서출판. 2007.
-, 대단한 바다여행, 신항로 개척, 윤경철. 푸른길. 2009
-, 두산백과 두피디아
-,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국학자료원. 2006
-식민주의, 왜 지금까지도 문제인가, 프레시안, 강철구, 2008.08.15.,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56752
또한 식민지 제국들은 식민지국을 수월하게 통치하기 위해 그들에게 문화를 강제 주입하고 자국의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며 강제 이주시키기도 했다. 이 강제 이주를 통한 식민지 유산이 아직도 전 세계 곳곳에 남아있다. 한 지역에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 같은 민족이 모여 살다가 그에 반하는 민족이 식민지 제국에 의해 이주하게 되면 당연히 그 지역에는 내전이 끊일 수가 없을 것이다. 식민지 제국들은 이들의 역사와 문화적인 면을 고려하여 통치했어야 했지만, 그들의 단순한 이익에 따른 부작용이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이와 유사한 문제는 아프리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프리카의 나라 영토 구분을 보면 마치 자로 그어 놓은 듯한 모습을 보인다. 이는 식민지 제국들이 철수하면서 행한 만행이며 그로 인한 내전과 인접국 간의 분쟁은 멈추지 않으며 아프리카의 기아와 가난 문제는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식민지가 결코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고 주장할 수 없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미국 역사, 식민지 시대, 미국 국무부 | 주한 미국대사관 공보과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한림학사. 청서출판. 2007.
-, 대단한 바다여행, 신항로 개척, 윤경철. 푸른길. 2009
-, 두산백과 두피디아
-,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국학자료원. 2006
-식민주의, 왜 지금까지도 문제인가, 프레시안, 강철구, 2008.08.15.,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56752
추천자료
역사란 무엇인가
[동성 결혼]레즈비언 커플의 현황, 법적실태, 복지서비스 실태, 외국사례, 문제점, 법, 정책,...
일본군‘위안부’에대한 양국의 법적 책임과 도의적 책임의 재조명 - 버려진 꽃을 줍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패러다임 쉬프트(Paradigm Shift)와 노사정의 대응전략, 원인, 특징, 전...
복지국가와 신 보수주의 (대처리즘), 신자유주의와 제3의 길 (영국 복지국가 형성)
역사란 무엇인가 서평
[세계사 기말] 동서양의 문화교류와 현대사회 (서구의 세계사 왜곡)
[냉전, 냉전 개념, 냉전 특성, 냉전 기원, 냉전 촉발요인, 냉전 본질, 냉전 해체]냉전의 개념...
[국어국문학과 E형]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를 보고 감상평을 쓰되, 아프리카인의 시각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