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타났다 해도 현재 사회의 성 역할에 대한 편견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구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칫 한국 사회에 성 역할이 구분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니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재 삽화에 성 역할에 대한 편견이 반영되어 있다. 예를 들면 쇼핑하는 삽화는 거의 다 여성들로 표현되고 있는 것에 반해, 수리하는 삽화는 거의 다 남성들로만 표현되고 있다. 의식적으로 이러한 편견을 수정해야 상대적으로 성 역할이 고정적이지 않은 국가의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한국보다 성 역할이 고정적인 국가의 학습자들에게도 부정적 감정이나 한국 사회에 대한 오해를 갖지 않게 할 것이므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재 표현에 부정적인 표현이 거의 기재되어 있지 않다. 각 단원에서 표현을 학습할 때 대체로 긍정적인 표현을 학습하게 되어 있다. 긍정적인 표현을 교수하는 것은 한국어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는 효과가 있지만, 정확하게 부정적인 표현도 할 줄 알아야 한다. 어휘를 학습할 때 정확히 절반으로 나눌 필요는 없지만 부정적인 표현도 교수해야만 학습자들이 실생활에 적용할 때 어려움을 겪지 않게 할 것이므로 반드시 함께 교수해야 한다.
다섯째, 교재 삽화에 성 역할에 대한 편견이 반영되어 있다. 예를 들면 쇼핑하는 삽화는 거의 다 여성들로 표현되고 있는 것에 반해, 수리하는 삽화는 거의 다 남성들로만 표현되고 있다. 의식적으로 이러한 편견을 수정해야 상대적으로 성 역할이 고정적이지 않은 국가의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한국보다 성 역할이 고정적인 국가의 학습자들에게도 부정적 감정이나 한국 사회에 대한 오해를 갖지 않게 할 것이므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재 표현에 부정적인 표현이 거의 기재되어 있지 않다. 각 단원에서 표현을 학습할 때 대체로 긍정적인 표현을 학습하게 되어 있다. 긍정적인 표현을 교수하는 것은 한국어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는 효과가 있지만, 정확하게 부정적인 표현도 할 줄 알아야 한다. 어휘를 학습할 때 정확히 절반으로 나눌 필요는 없지만 부정적인 표현도 교수해야만 학습자들이 실생활에 적용할 때 어려움을 겪지 않게 할 것이므로 반드시 함께 교수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