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대자동차 소개
2. 자동차 산업분석
3. 현대자동차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현대자동차 중국시장 진출전략
5. 디자인경영
6. 마케팅 및 광고전략
7. 생산관리전략
8. 미래전략 제시
2. 자동차 산업분석
3. 현대자동차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현대자동차 중국시장 진출전략
5. 디자인경영
6. 마케팅 및 광고전략
7. 생산관리전략
8. 미래전략 제시
본문내용
능하다.아바타를 통해 가상의 공간에서 소통하며 놀이, 쇼핑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제페토’를 통해서도 현대 차량 시승 경험을 할 수 있고, 각 모빌리티 체험 공간마다 다양한 아이템을 활용해 제약 없이 자유롭게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2) 광고전략
현대자동차는 20개의 주요 시장에 신차출시와 더불어 글로벌 리브랜딩을 위해 대표적 SNS 채널인 페이스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엑센트는 독점적인 매핑기술을 담은 동영상 광고를 제작하여 올려 동영상에 단 친구들의 댓글이 광고영상에 함께 실리는 방식을 통해 더 큰 관심을 이끌어냈다. 또한 벨로스터는 팬들에게 하나의 주제를 제시해 팬들이 직접 그 주제로 작업한 동영상을 업로드, 그 중 최고의 동영상을 투표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참여와 관심을 극대화하였다. 더불어, ‘New Thinking. New Possibilities.’를 간접 경험하게 함으로써 현대자동차의 팬들은 현대자동차를 더 좋아하게 되고 구매로까지 이어지도록 유도하였으며, 관심뿐이었던 소비자들에게는 좋아지게 되는 계기를 제공했다.
현대자동차와 마이크로소프트 애드버타이징(Microsoft Advertising)의 ‘뉴 씽커스 인덱스(New Thinker’s Index)’는 일반 소비자들에게 ‘자신이 곧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가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소유자’임을 일깨워주기 위하여 기획된 캠페인이다. 각계 각층을 대표하는 전 세계 유명 인사 및 연예인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진 도전과제를 전통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새로운 생각으로 해결해가는 모습이 동영상으로 공개되면, 테스트 참가자들 또한 동일한 상황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미션을 수행하는 형식이다. 그에 따라 테스트 참가자들은 유명인들과의 생각 차이, 나아가 자신이 일상생활을 해석하는 방식의 과학적 근거까지 알게 됨으로써 자신을 환기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계기를 얻게 된다. 현대자동차가 지향하는 ‘New thinking. New Possibilities.’를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통해 일반 소비자가 직접 체험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여는 힘이 소비자인 자신에게 있음을 느끼게 해준다.
7. 생산관리전략
현대자동차는 2000년말부터 공급사슬관리 시스템을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 최초로 가동했다. 현재자동차의 SCM은 전체 프로젝트인 ‘종합기획시스템(Advanced Planning System)’ 가운데 월간 생산계획과 완성차 물량관리를 담당하는 ‘캠프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국내 승용차 생산공장 6곳과 MIP(엔진·변속기)공장 2곳 등 생산부서와 내수 및 해외수출 관련 판매부서간 생산계획을 공유하고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2000년대 초부터 SCM 부문에 대한 혁신활동을 추진해 왔다. 협력업체와 원할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바츠(VAATZ)시스템을 구축하고 판매·생산계획 분야의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현대자동차는 공급망관리를 위한 새로운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이후 현대자동차는 2005년부터 연간 600만대 이상의 생산·판매가 가능한 체계를 지원하기 위해 전사적인 프로세스혁신(PI)활동을 시작했다 이러한 것들을 통해 현대자동차는 지난 2000년 이후 꾸준히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8. 미래전략 제시
현대자동차는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종합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을 2025년 전략적 지향점으로 설정하고 이에 맞춰 사업 구조를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즉,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과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 2대 사업 구조로 상호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2025년 글로벌 배터리 전기차, 수소전기차 시장에서 3대 자동차 제조 기업으로 도약하고, 플랫폼 서비스 사업에서도 수익 창출의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는 자동차는 물론 PAV(Personal Air Vehicle·개인용 비행체), 로보틱스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고, 여기에 새로운 성장 동력인 플랫폼 기반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더해 고객에게 끊김 없는 이동의 자유로움과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 경험을 모두 제공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의 혁신 전략을 담았다.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 사업에서는 균형적인 지속 성장, 고객가치 증대 및 원가구조 혁신,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 결합,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활용 등 4대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2) 광고전략
현대자동차는 20개의 주요 시장에 신차출시와 더불어 글로벌 리브랜딩을 위해 대표적 SNS 채널인 페이스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엑센트는 독점적인 매핑기술을 담은 동영상 광고를 제작하여 올려 동영상에 단 친구들의 댓글이 광고영상에 함께 실리는 방식을 통해 더 큰 관심을 이끌어냈다. 또한 벨로스터는 팬들에게 하나의 주제를 제시해 팬들이 직접 그 주제로 작업한 동영상을 업로드, 그 중 최고의 동영상을 투표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참여와 관심을 극대화하였다. 더불어, ‘New Thinking. New Possibilities.’를 간접 경험하게 함으로써 현대자동차의 팬들은 현대자동차를 더 좋아하게 되고 구매로까지 이어지도록 유도하였으며, 관심뿐이었던 소비자들에게는 좋아지게 되는 계기를 제공했다.
현대자동차와 마이크로소프트 애드버타이징(Microsoft Advertising)의 ‘뉴 씽커스 인덱스(New Thinker’s Index)’는 일반 소비자들에게 ‘자신이 곧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가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소유자’임을 일깨워주기 위하여 기획된 캠페인이다. 각계 각층을 대표하는 전 세계 유명 인사 및 연예인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진 도전과제를 전통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새로운 생각으로 해결해가는 모습이 동영상으로 공개되면, 테스트 참가자들 또한 동일한 상황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미션을 수행하는 형식이다. 그에 따라 테스트 참가자들은 유명인들과의 생각 차이, 나아가 자신이 일상생활을 해석하는 방식의 과학적 근거까지 알게 됨으로써 자신을 환기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계기를 얻게 된다. 현대자동차가 지향하는 ‘New thinking. New Possibilities.’를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통해 일반 소비자가 직접 체험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여는 힘이 소비자인 자신에게 있음을 느끼게 해준다.
7. 생산관리전략
현대자동차는 2000년말부터 공급사슬관리 시스템을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 최초로 가동했다. 현재자동차의 SCM은 전체 프로젝트인 ‘종합기획시스템(Advanced Planning System)’ 가운데 월간 생산계획과 완성차 물량관리를 담당하는 ‘캠프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국내 승용차 생산공장 6곳과 MIP(엔진·변속기)공장 2곳 등 생산부서와 내수 및 해외수출 관련 판매부서간 생산계획을 공유하고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2000년대 초부터 SCM 부문에 대한 혁신활동을 추진해 왔다. 협력업체와 원할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바츠(VAATZ)시스템을 구축하고 판매·생산계획 분야의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현대자동차는 공급망관리를 위한 새로운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이후 현대자동차는 2005년부터 연간 600만대 이상의 생산·판매가 가능한 체계를 지원하기 위해 전사적인 프로세스혁신(PI)활동을 시작했다 이러한 것들을 통해 현대자동차는 지난 2000년 이후 꾸준히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8. 미래전략 제시
현대자동차는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종합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을 2025년 전략적 지향점으로 설정하고 이에 맞춰 사업 구조를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즉,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과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 2대 사업 구조로 상호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2025년 글로벌 배터리 전기차, 수소전기차 시장에서 3대 자동차 제조 기업으로 도약하고, 플랫폼 서비스 사업에서도 수익 창출의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는 자동차는 물론 PAV(Personal Air Vehicle·개인용 비행체), 로보틱스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고, 여기에 새로운 성장 동력인 플랫폼 기반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더해 고객에게 끊김 없는 이동의 자유로움과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 경험을 모두 제공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의 혁신 전략을 담았다.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 사업에서는 균형적인 지속 성장, 고객가치 증대 및 원가구조 혁신,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 결합,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활용 등 4대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추천자료
소니코리아(SONY KOREA)의 전략분석과 위기극복방안
도요타,렉서스,수입자동차,자돌차시장,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
기아자동차 KIA 중국진출 마케팅전략 기획안 - 기아자동차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기아자동...
도요타 TOYOTA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도요타 마케팅전략과 생산관리,경영전략 사례연구및 도...
한국타이어 기업분석과 성공요인, 한국타이어 마케팅 SWOT,STP,4P전략, 한국타이어 향후전략...
현대자동차 기업분석과 SWOT분석마케팅전략글로벌전략분석및 현대자동차 미래대응전략 사례분...
현대자동차 기업개요와 SWOT분석 및 현대자동차 경영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및 미래전략방향제시
현대자동차 전략 성공사례 분석 및 현대자동차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현대자동차 미래전략...
현대자동차 기업분석과 4차산업혁명 대응전략 / 현대자동차 마케팅과 해외진출 성공사례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