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감화설로 해석하며 개척자요 모범자로 본다.
·자유주의의 회개는 공로(merit)이며, 공로의 댓가가 용서이다. 즉, 참회가 우리를 용서받을 만한 상태로 되게한다.
ㅇ자유주의는 인간을 "선을 가진 존재"로 보았으며, 교육통해 역사 상향발전하여 이상적 지상나라를 건설할 수 있다는 낙관주의 허상이 1914년 1차 세계대전시 인류의 양육강식, 피바다로 인해 드러남
ㅇ당시 칼바르트의 실존주의적 성경주의(전적타자: 자유주의의 내재적 신관 전적 부정)로 주도권이 넘어 간후, 2차 세계대전후 바르트에 반하여 신자유주의가 등장하는데, 자유주의의 본질은 변하지 않음
ㅇ불트만(Bultmann)의 「신약성경의 비신화화」는 동정녀, 부활, 물 위 걷는 것 등을 비신화적인 것으로 오늘날 자연주의 과학에 맞추어 믿어야 함을 주장
·자유주의의 회개는 공로(merit)이며, 공로의 댓가가 용서이다. 즉, 참회가 우리를 용서받을 만한 상태로 되게한다.
ㅇ자유주의는 인간을 "선을 가진 존재"로 보았으며, 교육통해 역사 상향발전하여 이상적 지상나라를 건설할 수 있다는 낙관주의 허상이 1914년 1차 세계대전시 인류의 양육강식, 피바다로 인해 드러남
ㅇ당시 칼바르트의 실존주의적 성경주의(전적타자: 자유주의의 내재적 신관 전적 부정)로 주도권이 넘어 간후, 2차 세계대전후 바르트에 반하여 신자유주의가 등장하는데, 자유주의의 본질은 변하지 않음
ㅇ불트만(Bultmann)의 「신약성경의 비신화화」는 동정녀, 부활, 물 위 걷는 것 등을 비신화적인 것으로 오늘날 자연주의 과학에 맞추어 믿어야 함을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