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수술실 **
## 수술실내관리
## 수술 전 간호
## 수술중 간호
### 참고문헌 ###
## 수술실내관리
## 수술 전 간호
## 수술중 간호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의 어는 한 부분이 파괴되면 전체 봉합선이 붕괴되는 단점이 있다. 연속봉합에 소요되는 시간은 결절 봉합에 비해 적다. 방법에 따라 continuous blanket suture, continuous horizontal mattness suture, continuous subcuticular closure suture, continuous running suture 등이 있다.
2) Dexon suture (Polyglylic acid)
: 흡수성이며 꼬아서 만든 합성봉합사인 polyglycolic acid(Dexon)는 catgut 보다 항장력 (tenile strength)이 더 크다, 창상의 회복기 동안 가수분해되어 체내로 흡수되는데 대개 수술후 60-90알 사이에 완전히 흡수된다. 따라서 인체조직에 영구히 붙어있어야 할 인공판막이나 혈관계 보조물품의 봉합에는 이용할수 없다. Dexon은 콜라겐 단백질 항원과 화농원(pyrogen)을 가지고 있지 않아 조직에 대한 자극반응이 거의 없다. Dexon은 대개 근육, 근막, 복막, 활막(capsule), 인대, 건과 피하조직의 봉합에 주로 이용된다.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봉합사에 관계없이 여러개의 단사를 꼬아 만든 봉합사는 세균이 번식하고 성장할수 있는 공간을 허용하여 세균의 성장과 증식이 용이하게 하게 된다. 꼬아 만든 봉합사의 사이사이 공간에 세균이 머무르면서 조직의 식균작용을 피해가며 잠복해 있다가 만성적인 염증, 육아종과 누공형성을 유발시키므로 꼬아 만든 봉합사를 피부에 사용할 경우 농양이 형성될 가능성은 높다. 시판되고 있는 흡수성 봉합사중 Dexon은 염증반응이 가장 적고 plain catgut이나 chromic catgut에 비교했을 때 감염률 보다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Dexon S suture는 uncoated polyglycolic acid로 초록색으로 염색되어 있으며 NO. 2에서 8-0 크기가 있으며 염색하지 않은 베지색의 Deton S suture는 NO. 2에서 9-0의 크기가 있다. Dexon plus suture는 coated polyglycolic acid로 인체조직을 매끄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Poloxamer 188로 표면처리를 하여 조직손상을 막아주고 있다.
3) 결정봉합 또는 단속봉합 (interrupted suture)
: 모든 봉합의 기본형으로 봉합의 코(suture)가 하나씩 완전히 독립적으로 매듭지어지는 것으로 근막, 피부봉합에 많이 이용하는데 봉합사 silk를 사용할 때 결절봉합이 효과적이다. 하나의 봉합이 터져도 다른 봉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하나하나의 봉합에 장력이 크게 작용하여 흉터를 남기고 봉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결절봉합의 종류로는 interrupted on-end mattress stitch, interrapted horizontal mattress stitch, interrupted vertical on-end mattress stitch 등이 있다.
4)함몰봉합 (buried suture)
: 함몰봉합(buried suture)은 Continuous subcuticular closure 또는 American suture라고도 하는데 봉합선이 피부의 외피층 아래로 완전히 파묻히게 되어 피부 밖으로 바늘구멍이 전혀 나오지 않게 되므로 절개선 이외의 흉터는 없게 된다. 주로 Prannesteil incison의 봉합에 이용된다. 결절봉합의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5) 쌈지봉합 (Purse string suture)
: 관(lumen) 또는 개구된 부위의 주위조직을 연속적으로 봉합한 후 봉합사를 잡아당기면서 절단면 끝의 조직을 함몰시켜 개구부(opening)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절단면(surface of stump)이 주위조직에 유착되거나 이물질(foreign body)로 작용하는 것을 막아줄수 있다. 주로 충수돌기 절제술(appendectomy) 담낭, 방광에 배농관이나 배액관 등을 삽입하게 직전에 쌈지 봉합을 하고 배농란이나 배액관(drain tube)을 삽입하는데 이용한다.
6)유치봉합 (retention suture or stay suture)
: 유치봉합은 복막,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거나 복막을 1차적으로 닫은 후 근막,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기도 한다. 또 하나의 방법은 피부봉합을 보통의 봉합방법으로 한 후 그 위에다 간격을 넑게 해서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는 방법이 있다. 유치봉합은 봉합조직에 염증이 있을 때 염증조직의 긴장감을 감소시키고 사강(dead space)을 제서하여 상처부위가 융합될 때까지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주로 굵은 Silk, Dafilon, Nylon, Wire등의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봉합이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유치봉합에 이용되는 봉합사에 의해 깊은 흉터가 남는 것을 막기 위해 고무관(rubber tube)또는 I. V. line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7) stapling(Auto suture)
: sliver, titanium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stape을 stapler에 끼워 조직의 봉합에 이용하는 것을 stapling 또는 auto suture 라고 한다. 대개 사용부위는 피부 봉합, 식도, 위와 장의 문합이나 절단부 처리 게실 절제술과 폐조직의 생검시에 이용하고 있다. 기계적인 stapling instrument가 청결, 섬세함, 무손상적인 절제와 완벽한 지혈을 가져다주지만 혈액 공급과 생체 조직의 생존력 등을 무시하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다른 외과적인 기구와 마찬가지로 위험의 가능성이 있다. stapler에는 TA instrument, GIA instrument, EEA instrument, LDS instrument 등이 있다. stapling을 이용한 내장 기관이 소요 시간, 조직의 손상, 혈액 손실 등을 감소시켜주고 궁극적으로는 입원 기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고금자외 1999년 정담
노영희교수님 성인간호학 print
2) Dexon suture (Polyglylic acid)
: 흡수성이며 꼬아서 만든 합성봉합사인 polyglycolic acid(Dexon)는 catgut 보다 항장력 (tenile strength)이 더 크다, 창상의 회복기 동안 가수분해되어 체내로 흡수되는데 대개 수술후 60-90알 사이에 완전히 흡수된다. 따라서 인체조직에 영구히 붙어있어야 할 인공판막이나 혈관계 보조물품의 봉합에는 이용할수 없다. Dexon은 콜라겐 단백질 항원과 화농원(pyrogen)을 가지고 있지 않아 조직에 대한 자극반응이 거의 없다. Dexon은 대개 근육, 근막, 복막, 활막(capsule), 인대, 건과 피하조직의 봉합에 주로 이용된다.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봉합사에 관계없이 여러개의 단사를 꼬아 만든 봉합사는 세균이 번식하고 성장할수 있는 공간을 허용하여 세균의 성장과 증식이 용이하게 하게 된다. 꼬아 만든 봉합사의 사이사이 공간에 세균이 머무르면서 조직의 식균작용을 피해가며 잠복해 있다가 만성적인 염증, 육아종과 누공형성을 유발시키므로 꼬아 만든 봉합사를 피부에 사용할 경우 농양이 형성될 가능성은 높다. 시판되고 있는 흡수성 봉합사중 Dexon은 염증반응이 가장 적고 plain catgut이나 chromic catgut에 비교했을 때 감염률 보다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Dexon S suture는 uncoated polyglycolic acid로 초록색으로 염색되어 있으며 NO. 2에서 8-0 크기가 있으며 염색하지 않은 베지색의 Deton S suture는 NO. 2에서 9-0의 크기가 있다. Dexon plus suture는 coated polyglycolic acid로 인체조직을 매끄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Poloxamer 188로 표면처리를 하여 조직손상을 막아주고 있다.
3) 결정봉합 또는 단속봉합 (interrupted suture)
: 모든 봉합의 기본형으로 봉합의 코(suture)가 하나씩 완전히 독립적으로 매듭지어지는 것으로 근막, 피부봉합에 많이 이용하는데 봉합사 silk를 사용할 때 결절봉합이 효과적이다. 하나의 봉합이 터져도 다른 봉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하나하나의 봉합에 장력이 크게 작용하여 흉터를 남기고 봉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결절봉합의 종류로는 interrupted on-end mattress stitch, interrapted horizontal mattress stitch, interrupted vertical on-end mattress stitch 등이 있다.
4)함몰봉합 (buried suture)
: 함몰봉합(buried suture)은 Continuous subcuticular closure 또는 American suture라고도 하는데 봉합선이 피부의 외피층 아래로 완전히 파묻히게 되어 피부 밖으로 바늘구멍이 전혀 나오지 않게 되므로 절개선 이외의 흉터는 없게 된다. 주로 Prannesteil incison의 봉합에 이용된다. 결절봉합의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5) 쌈지봉합 (Purse string suture)
: 관(lumen) 또는 개구된 부위의 주위조직을 연속적으로 봉합한 후 봉합사를 잡아당기면서 절단면 끝의 조직을 함몰시켜 개구부(opening)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절단면(surface of stump)이 주위조직에 유착되거나 이물질(foreign body)로 작용하는 것을 막아줄수 있다. 주로 충수돌기 절제술(appendectomy) 담낭, 방광에 배농관이나 배액관 등을 삽입하게 직전에 쌈지 봉합을 하고 배농란이나 배액관(drain tube)을 삽입하는데 이용한다.
6)유치봉합 (retention suture or stay suture)
: 유치봉합은 복막,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거나 복막을 1차적으로 닫은 후 근막,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기도 한다. 또 하나의 방법은 피부봉합을 보통의 봉합방법으로 한 후 그 위에다 간격을 넑게 해서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는 방법이 있다. 유치봉합은 봉합조직에 염증이 있을 때 염증조직의 긴장감을 감소시키고 사강(dead space)을 제서하여 상처부위가 융합될 때까지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주로 굵은 Silk, Dafilon, Nylon, Wire등의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봉합이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유치봉합에 이용되는 봉합사에 의해 깊은 흉터가 남는 것을 막기 위해 고무관(rubber tube)또는 I. V. line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7) stapling(Auto suture)
: sliver, titanium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stape을 stapler에 끼워 조직의 봉합에 이용하는 것을 stapling 또는 auto suture 라고 한다. 대개 사용부위는 피부 봉합, 식도, 위와 장의 문합이나 절단부 처리 게실 절제술과 폐조직의 생검시에 이용하고 있다. 기계적인 stapling instrument가 청결, 섬세함, 무손상적인 절제와 완벽한 지혈을 가져다주지만 혈액 공급과 생체 조직의 생존력 등을 무시하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다른 외과적인 기구와 마찬가지로 위험의 가능성이 있다. stapler에는 TA instrument, GIA instrument, EEA instrument, LDS instrument 등이 있다. stapling을 이용한 내장 기관이 소요 시간, 조직의 손상, 혈액 손실 등을 감소시켜주고 궁극적으로는 입원 기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고금자외 1999년 정담
노영희교수님 성인간호학 print
추천자료
담석증 담낭절제술 수술실 케이스
수술실 케이스스터디 (신절제술)
수술실 갑상선 절제술 case
수술실 실습(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무균술개념과 수술실무균술
백내장 수술실 케이스
[수술실][갑상선 절제술][Total Thyroidectom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수술실
PLIF ORCASE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spondylolisthesis)
[수술실 실습] A+받은 Total Abdominal Hysterectomy(자궁절제술) 케이스
[수술실 실습] thyroidectomy(갑상선 제거) 케이스
수술실 CASE STUDY : Pediatric Right Inguinal Hernia(우측 서혜부 탈장)
[수술실실습] Total Abdominal Hysterectomy(복식자궁절제술)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