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개요
2.동기
Ⅱ.자료 및 방법
Ⅲ.문헌고찰
1.정의
2.원인
3.증상
4.종류
5.치료법
Ⅳ.수술과정
Ⅴ.수술실 실습 소감
*사용했던 약물과 기구들
1.개요
2.동기
Ⅱ.자료 및 방법
Ⅲ.문헌고찰
1.정의
2.원인
3.증상
4.종류
5.치료법
Ⅳ.수술과정
Ⅴ.수술실 실습 소감
*사용했던 약물과 기구들
본문내용
, 혹은 작은 용종의 제거 등에 사용한다. 고온이기 때문에 시술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소독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Mosquito
압박할 때 사용하는 기구
-scissors : Metzenbaum, cutting, iris
조직을 박리하는데 사용되는 가위이다.
가볍고 가위날이 예리하며 날 끝이 부드럽다
-iris scissor
안과수술용 미세가위이다.
-IOL
백내장 낭외적출술 후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인공수정체
-ethilon
polyamide 재질의 비흡수성 합성 단선사이다. monofilament로서 박테리아의 기생 가능성이 없어 감염 위험이 아주 적으며 in-vivo 상태에서 인장 강도가 아주 뛰어나다. 이러한 특성으로 skin에 많이 사용되며 polyamide의 탄성을 가지고 잇어 1% 정도의 가는 봉합사로도 생산이 가능하다. 안과 수술이나 미세 수술에도 많이 사용된다.
-Prolene
단선으로 된 합성 비흡수성 봉합사이다. propylene의 중합체로 매우 강하고 부드러우며 굵기가 균일하다. 단선이기에 감염 부위에 사용해도 감염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으며 피에 희해 젖지 않고 효소에 의해 강도가 약해지지 않아 오염된 부위에도 인장장도를 지닌다.
-FML forte liquifilm
인공수정체 삽입으로 인한 불편감의 완하시키기 위해 사용
1.봉합용어
1)매듭: 내강을 막기 위해 혈관을 묶는 것
2)봉합: 상처가 치유될 때까지 조직을 당겨서 붙잡아 바느질하는 행위
3)장력: 매듭을 지을 때 실이 끊어지기 전에 저항하는 실 가닥에 대해서 힘을 가하고 잡아당기는 힘
4)인장강도: 상처가 서로 봉합사의 힘을 빌리지 않고 붙어 있을 수 있는 힘
5)흡수기간: 봉합사가 흡수되는 기간
6)봉합사 size: 봉합사의 직경을 말함. size가 작을수록 인장강도가 약하다
2.봉합사(Suture)
1)이상적인 봉합사의 조건
ㆍ조직 손상이 적고 조직반응이 적어야 한다.
ㆍ흡수시기가 적절해야 한다.
ㆍ조작이 쉽고 부드러워야 한다.
ㆍ인장강도가 높아야 한다.
ㆍ매듭이 강하고 잘 풀리지 않아야 한다.
2)봉합사의 사용길이
ㆍ한겹실 : 바늘에 실을 꿸 때 한 쪽이 길게 끼워지는 일반적인 방법. 길이는 봉합주위에 따 라 틀리며 짧은 쪽이 긴 쪽의 1/6 정도
ㆍ두겹실 : 봉합부위에 따라 길이를 정하여 양측 똑같은 길이로 바늘 뀀
ㆍ고정하여 사용하는 실
ㆍ귀가 없는 바늘 : 눈이나 혈관, 세뇨관 등 수술부위에 대한 상처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실 끝에 바늘이 달림
3)봉합사로써의 특징
ㆍ소독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함
ㆍ상처가 완전히 치유될 때까지 남아서 환부를 지지해주어야 한다.
ㆍ굵기 일정. 각 조직에 따른 굵기를 정해서 사용함. 실이 길이, 크기 일정.
ㆍ흡수성 봉합사는 흡수력 일정해야 함.
ㆍ비흡수성 봉합사는 상처에 대해 이물작용이 없어야 함
ㆍ실의 매듭이 상처가 치유될 때까지 남아 있어야 함
참고문헌
현문사 성인간호 하권 p.898~902
8동 수술실의 procedure
http://www.shineye.co.kr/sub04.html
-Mosquito
압박할 때 사용하는 기구
-scissors : Metzenbaum, cutting, iris
조직을 박리하는데 사용되는 가위이다.
가볍고 가위날이 예리하며 날 끝이 부드럽다
-iris scissor
안과수술용 미세가위이다.
-IOL
백내장 낭외적출술 후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인공수정체
-ethilon
polyamide 재질의 비흡수성 합성 단선사이다. monofilament로서 박테리아의 기생 가능성이 없어 감염 위험이 아주 적으며 in-vivo 상태에서 인장 강도가 아주 뛰어나다. 이러한 특성으로 skin에 많이 사용되며 polyamide의 탄성을 가지고 잇어 1% 정도의 가는 봉합사로도 생산이 가능하다. 안과 수술이나 미세 수술에도 많이 사용된다.
-Prolene
단선으로 된 합성 비흡수성 봉합사이다. propylene의 중합체로 매우 강하고 부드러우며 굵기가 균일하다. 단선이기에 감염 부위에 사용해도 감염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으며 피에 희해 젖지 않고 효소에 의해 강도가 약해지지 않아 오염된 부위에도 인장장도를 지닌다.
-FML forte liquifilm
인공수정체 삽입으로 인한 불편감의 완하시키기 위해 사용
1.봉합용어
1)매듭: 내강을 막기 위해 혈관을 묶는 것
2)봉합: 상처가 치유될 때까지 조직을 당겨서 붙잡아 바느질하는 행위
3)장력: 매듭을 지을 때 실이 끊어지기 전에 저항하는 실 가닥에 대해서 힘을 가하고 잡아당기는 힘
4)인장강도: 상처가 서로 봉합사의 힘을 빌리지 않고 붙어 있을 수 있는 힘
5)흡수기간: 봉합사가 흡수되는 기간
6)봉합사 size: 봉합사의 직경을 말함. size가 작을수록 인장강도가 약하다
2.봉합사(Suture)
1)이상적인 봉합사의 조건
ㆍ조직 손상이 적고 조직반응이 적어야 한다.
ㆍ흡수시기가 적절해야 한다.
ㆍ조작이 쉽고 부드러워야 한다.
ㆍ인장강도가 높아야 한다.
ㆍ매듭이 강하고 잘 풀리지 않아야 한다.
2)봉합사의 사용길이
ㆍ한겹실 : 바늘에 실을 꿸 때 한 쪽이 길게 끼워지는 일반적인 방법. 길이는 봉합주위에 따 라 틀리며 짧은 쪽이 긴 쪽의 1/6 정도
ㆍ두겹실 : 봉합부위에 따라 길이를 정하여 양측 똑같은 길이로 바늘 뀀
ㆍ고정하여 사용하는 실
ㆍ귀가 없는 바늘 : 눈이나 혈관, 세뇨관 등 수술부위에 대한 상처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실 끝에 바늘이 달림
3)봉합사로써의 특징
ㆍ소독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함
ㆍ상처가 완전히 치유될 때까지 남아서 환부를 지지해주어야 한다.
ㆍ굵기 일정. 각 조직에 따른 굵기를 정해서 사용함. 실이 길이, 크기 일정.
ㆍ흡수성 봉합사는 흡수력 일정해야 함.
ㆍ비흡수성 봉합사는 상처에 대해 이물작용이 없어야 함
ㆍ실의 매듭이 상처가 치유될 때까지 남아 있어야 함
참고문헌
현문사 성인간호 하권 p.898~902
8동 수술실의 procedure
http://www.shineye.co.kr/sub04.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