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2. 수술준비
3. 마취방법 및 마취제
4. 수술과정
5. 수술에 사용된 기계 및 기구
6. 문헌고찰
2. 수술준비
3. 마취방법 및 마취제
4. 수술과정
5. 수술에 사용된 기계 및 기구
6. 문헌고찰
본문내용
이의 별현이다.
2~3 퍼센트의 환자에서 적혈구증다증이 올 수 있다. 이는 원발 신 종양을 적출한 후 전이 병변에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을 분비하기 때문에 오는 경우도 있다. 방사선학적으로 신장 종양은 경정맥요로조영술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분명한 종괴가 보이는 것은 물론 집합관의 이상을 볼 수 있다.
추가적인 테크니슘을 이용한 섬광카메라 촬영도 양성종양과 선암의 구별에 도움이 된다. 만일 선암이며 괴사에 빠져 있지 않다면 즉시 테크니슘이 앞의 주사에서 냉점으로 보이던 지역에 모여들 것이다.
그 외에 역행적신우조영술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동맥조영술과 신장단층조영술등이 도움이 된다. 동맥 조영술은 과혈관조양의 소견을 보여줄 수 있으며 종양 내 비정상 혈관에 의한 소위 종양 - 염색의 모습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혈관수축제의 주사도 동맥조영술에 추가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이는 종양의 혈관들은 수축이 되지 않은 채 일반 혈관들만 수축되기 때문이다. 신장단층조영술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신낭종들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투과성으로 보이지만 신생물은 대체로 진한 음영을 만들어 주변 신 조직보다 좀더 비투과성으로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비뇨기과 의사들은 낭종으로 생각되더라도 신장의 종괴는 수술적으로 들어가서 확인 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위험성이 높은 환자일 경우 수술전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우연히 발견되는 낭종의 벽에 있는 작고 단단한 암종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물론 경피적 천자로 낭종액을 뽑아 검사함으로써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 조영제를 직접 낭종 안에 주사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이런 식의 진단적인 절차를 통해 95%~98%의 진단적 정확성을 보일 수 있다.
경피적 생검이 종종 바늘의 진행을 따라 암종을 퍼뜨릴 수 있다는 반증이 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사용을 줄여야 한다. 하지만 종괴에 대한 경피적세침천자는 이런 위험성이 높지 않다고 하며, 아마 큰 위험성이 없을 수도 있다.
신 선암은 혈행성으로 전이함이 일반적이나 림프계를 통한 전이도 없지 않다. 전이의 특별한 증거가 없고 신세포암으로 확진되거나 확진될 듯 하면 근치적 신절제술의 준비도 겸하여 수술적으로 전이를 찾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신 주정맥이나 그 지류에 침범을 발견하는 경우는 절대 드물지 않다. 그러므로 수술시에 신정맥을 열고 종양 색전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신절제술(Nephrectomy)
CVP : Central Venous Pressure 중심정맥압 측정
준비 물품
정맥압 tray, 정맥절개 tray, 수액/수액세트와 CVP압력계
Heparin은 flush system/압력백(transducer를 사용시)
IV pole, Arm board
멸균 드레싱/반창고
가운, 마스크, 캡과 멸균장갑
ECG monitoring
Carpenter's level(0 point를 설정하기 위해)
CVP 측정 시행 전 간호
1. 물품을 준비한다. 환자의 PT, PTT, CBC를 평가한다.
2. 절차를 설명하고 동의서를 얻는다.
a. Valsalva maneuver에 대해 설명한다.
b. 삽입 전 6시간 동안 금식한다.
3. 앙아위로 눕힌다.
a. 팔의 정맥 - 팔을 펴고 지지한다.
b. 경정맥 - Trendelenbuerg 체위를 취하고 어깨 밑에 작게 말은 수건을 놓는다.
4. IV수액으로 수액세트와 압력계를 통과하거나 transducer 사용을 위해 헤파린을 통과시켜 준비한다. 색전과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연결부위를 확인한다.
a. IV pole에 압력계를 부착하고 압력계의 0지점을 환자의 우심방 높이에 맞춘다.
b. transducer와 환자의 우심방 높이를 0으로 맞춘다.
5. ECG 모니터를 부착한다.
CVP 측정하기
1. 편안한 체위를 취해준다.
2. 우심방 높이에 압력계의 눈금을 0으로 맞춘다.
3. IV수액이 압력계의 약 20~25cm 높이까지 차면 마개를 잠근 후 환자에게 흐르도록 마개를 돌린다.
4. 압력계에 있는 수액의 높이 하강을 관찰한다. 수액이 안정되거나 밑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단될 때의 높이를 기록한다. CVP와 체위를 기록한다.
5. CVP 카테터를 transducer와 디지털 또는 조절된 CVP파 판독기가 있는 전기적 감지기에 연결 할 수 있다.
6. CVP의 범위는 5~12cmH₂O이거나 2~6mmHg이다.
7. 환자의 상태를 사정한다. 수치의 잦은 변화는 수액량의 결정과 저혈량 또는 고혈량 상태를 파악하는 지침으로 사용된다.
*중심정맥압 결과
CVP의 정상수치 : 5-10 cmH2O
5 cmH2O ↓: 출혈이나 기타 원인으로 순환혈량이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
15 cmH2O ↑: 과중한 수액주입으로 인한 과혈량, 울혈성 심부전 발생
8. 환자에게 수액이 공급되도록 마개를 돌린다.
추후간호
1. 합병증을 관찰한다.
a. 카테터 삽입 : 기퓽, 혈흉, 공기색전, 혈종, 심장압전
b. 카테터 유치: 감염, 공기색전
c. 공기색전이 의심되면 즉시 환자를 좌측 Trandelenbuerg 체위로 눕히고 산소를 투여한 다. 이러한 체위는 공기가 폐로 움직이는 것을 예방하고 우심실 혈류내로 10~15분 내 로 흡수되게 한다.
2. 삽입부위를 관찰하며 멸균법을 지킨다.
a. 하루에 두 번 국소침윤, 정맥염에 대해 관찰한다.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면 카테터를 즉 시 제거한다.
b. 드레싱을 교환한다.
c. 교환일, 시간을 표시한다.
d. 카테터가 제거되면 박테리아 검사를 위해 카테터 끝을 검사실로 보낸다.
***************************************************************************************참고문헌
수술실 환자 간호 (현문사)
CIBA volume 6
최신 수술환자 간호 444~445
네이버 검색 : 수술도구 사진자료
CVP 자료 http://blog.naver.com/misun0?Redirect=Log&logNo=50002575185
2~3 퍼센트의 환자에서 적혈구증다증이 올 수 있다. 이는 원발 신 종양을 적출한 후 전이 병변에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을 분비하기 때문에 오는 경우도 있다. 방사선학적으로 신장 종양은 경정맥요로조영술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분명한 종괴가 보이는 것은 물론 집합관의 이상을 볼 수 있다.
추가적인 테크니슘을 이용한 섬광카메라 촬영도 양성종양과 선암의 구별에 도움이 된다. 만일 선암이며 괴사에 빠져 있지 않다면 즉시 테크니슘이 앞의 주사에서 냉점으로 보이던 지역에 모여들 것이다.
그 외에 역행적신우조영술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동맥조영술과 신장단층조영술등이 도움이 된다. 동맥 조영술은 과혈관조양의 소견을 보여줄 수 있으며 종양 내 비정상 혈관에 의한 소위 종양 - 염색의 모습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혈관수축제의 주사도 동맥조영술에 추가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이는 종양의 혈관들은 수축이 되지 않은 채 일반 혈관들만 수축되기 때문이다. 신장단층조영술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신낭종들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투과성으로 보이지만 신생물은 대체로 진한 음영을 만들어 주변 신 조직보다 좀더 비투과성으로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비뇨기과 의사들은 낭종으로 생각되더라도 신장의 종괴는 수술적으로 들어가서 확인 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위험성이 높은 환자일 경우 수술전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우연히 발견되는 낭종의 벽에 있는 작고 단단한 암종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물론 경피적 천자로 낭종액을 뽑아 검사함으로써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 조영제를 직접 낭종 안에 주사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이런 식의 진단적인 절차를 통해 95%~98%의 진단적 정확성을 보일 수 있다.
경피적 생검이 종종 바늘의 진행을 따라 암종을 퍼뜨릴 수 있다는 반증이 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사용을 줄여야 한다. 하지만 종괴에 대한 경피적세침천자는 이런 위험성이 높지 않다고 하며, 아마 큰 위험성이 없을 수도 있다.
신 선암은 혈행성으로 전이함이 일반적이나 림프계를 통한 전이도 없지 않다. 전이의 특별한 증거가 없고 신세포암으로 확진되거나 확진될 듯 하면 근치적 신절제술의 준비도 겸하여 수술적으로 전이를 찾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신 주정맥이나 그 지류에 침범을 발견하는 경우는 절대 드물지 않다. 그러므로 수술시에 신정맥을 열고 종양 색전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신절제술(Nephrectomy)
CVP : Central Venous Pressure 중심정맥압 측정
준비 물품
정맥압 tray, 정맥절개 tray, 수액/수액세트와 CVP압력계
Heparin은 flush system/압력백(transducer를 사용시)
IV pole, Arm board
멸균 드레싱/반창고
가운, 마스크, 캡과 멸균장갑
ECG monitoring
Carpenter's level(0 point를 설정하기 위해)
CVP 측정 시행 전 간호
1. 물품을 준비한다. 환자의 PT, PTT, CBC를 평가한다.
2. 절차를 설명하고 동의서를 얻는다.
a. Valsalva maneuver에 대해 설명한다.
b. 삽입 전 6시간 동안 금식한다.
3. 앙아위로 눕힌다.
a. 팔의 정맥 - 팔을 펴고 지지한다.
b. 경정맥 - Trendelenbuerg 체위를 취하고 어깨 밑에 작게 말은 수건을 놓는다.
4. IV수액으로 수액세트와 압력계를 통과하거나 transducer 사용을 위해 헤파린을 통과시켜 준비한다. 색전과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연결부위를 확인한다.
a. IV pole에 압력계를 부착하고 압력계의 0지점을 환자의 우심방 높이에 맞춘다.
b. transducer와 환자의 우심방 높이를 0으로 맞춘다.
5. ECG 모니터를 부착한다.
CVP 측정하기
1. 편안한 체위를 취해준다.
2. 우심방 높이에 압력계의 눈금을 0으로 맞춘다.
3. IV수액이 압력계의 약 20~25cm 높이까지 차면 마개를 잠근 후 환자에게 흐르도록 마개를 돌린다.
4. 압력계에 있는 수액의 높이 하강을 관찰한다. 수액이 안정되거나 밑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단될 때의 높이를 기록한다. CVP와 체위를 기록한다.
5. CVP 카테터를 transducer와 디지털 또는 조절된 CVP파 판독기가 있는 전기적 감지기에 연결 할 수 있다.
6. CVP의 범위는 5~12cmH₂O이거나 2~6mmHg이다.
7. 환자의 상태를 사정한다. 수치의 잦은 변화는 수액량의 결정과 저혈량 또는 고혈량 상태를 파악하는 지침으로 사용된다.
*중심정맥압 결과
CVP의 정상수치 : 5-10 cmH2O
5 cmH2O ↓: 출혈이나 기타 원인으로 순환혈량이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
15 cmH2O ↑: 과중한 수액주입으로 인한 과혈량, 울혈성 심부전 발생
8. 환자에게 수액이 공급되도록 마개를 돌린다.
추후간호
1. 합병증을 관찰한다.
a. 카테터 삽입 : 기퓽, 혈흉, 공기색전, 혈종, 심장압전
b. 카테터 유치: 감염, 공기색전
c. 공기색전이 의심되면 즉시 환자를 좌측 Trandelenbuerg 체위로 눕히고 산소를 투여한 다. 이러한 체위는 공기가 폐로 움직이는 것을 예방하고 우심실 혈류내로 10~15분 내 로 흡수되게 한다.
2. 삽입부위를 관찰하며 멸균법을 지킨다.
a. 하루에 두 번 국소침윤, 정맥염에 대해 관찰한다.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면 카테터를 즉 시 제거한다.
b. 드레싱을 교환한다.
c. 교환일, 시간을 표시한다.
d. 카테터가 제거되면 박테리아 검사를 위해 카테터 끝을 검사실로 보낸다.
***************************************************************************************참고문헌
수술실 환자 간호 (현문사)
CIBA volume 6
최신 수술환자 간호 444~445
네이버 검색 : 수술도구 사진자료
CVP 자료 http://blog.naver.com/misun0?Redirect=Log&logNo=50002575185
추천자료
수술실 case
수술실 case study(lavh)
간호전달체계
소독간호사(Scrub nurse)의 업무
관절경 수술 arthroscopy 반월상연골 절제술
갑상선절제술
충수절제술(충수절제염)
수술실-제왕절개(c/s)
(case study) SDH,경막하혈종
수술실과 관련된 case
수술 환자 사례 연구 ( CASE STUDY ) -위암수술 ▪ 수술명 : Subtotal gastrectomy ...
충수돌기 절제술 appendectomy 간호사례연구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study
RCI(회전근개파열) 정형외과 성인 간호학 CASE STUDY 자료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