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호르몬 복용
⑤ 정기적으로 갑상선 자극 호르몬을 검사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일 때 충분한 양의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 방사성 요오드를 이용한 전신 촬영을 통해 재발의 가능성과 전이 여부 검사
* 종류에 따른 수술 후 치료 차이
① 유두암, 수질암, 여포암의 경우 수술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 - 수술 후 수술 자리에 남이 있을 수 있는 암세포나 정상 갑상선 세포를 완전히 없애기 위함
② 미분화암은 요오드 섭취를 하지 않아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할 수 없다.
* 갑상선 절제술 후의 처방 및 간호 행위
⑴ 입원시의 체크와 간호계획
① 입원시까지의 진단 - 양성인지 악성인지의 조직 검사의 진단이 되어 있는가의 유무
② 입원시의 임상 증상의 파악
갑상선종의 크기 및 형태 - 압박 증상의 유무(쉰 목소리, 기도 협착 증상)
갑상선기능의 항진 또는 저하의 증상
=> 항진 증상 - 안구 돌출증, 전반적인 갑상선 비대, 곤봉모양의 손가락
저하 증상 - 전신 권태감과 피로감, 정신활동의 둔화, 말과 생동의 느림, 기면,
식욕부진, 변비, 서맥, 피부건조, 하지부종
수술 전의 갑상선 기능 조절을 위한 약물 투여의 유무
항진증 - 방사선 요오드 치료(131I 사용), 항갑상선 약물(propythiouracil, methimazole)
저하증 - 호르몬 투여( levothyroxine)
갑상선종 - 방사선 요오드 치료(131I 사용), 호르몬 투여( levothyroxine)
⑵ 악성 종양의 경우는 전신의 전이 유무가 검진
⑶ 수술 전 처치
① 마취
환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urine bag을 연결한다.
전신마취를 시킨다.
기도유지를 위하여 후두경을 사용하여 endotracheal intubation을 한다.
② 체위
체위는 supine으로 취하여 준다.
③ 수술 준비단계
환자의 머리는 아주 딱 맞는 거즈와 망사조직의 캡을 씌워서 오염되는 것을 막는다
환자의 피부는 미리 준비되어야 한다.
환자의 수술부위를 긁어 상처내어 표시하기 전에 피부를 단단한 실크로 경계선을 압박해야 한다. 절개한다.
♠ 수술 후 간호
수술 절개 부위의 상처의 회복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데 배액관은 대개 수술 후 24시간이 지나면 제거해주며, suture remove는 수술 후 2~3일에 행해진다. 수술 후에도 1주일 이상은 lugol's iodine을 계속해서 투여한다.
수술 후 처방
근 거
간호 행위
V/S는 q15분, 안정시 12시간 동안에는 q30분 check
수술후 출혈과 호흡기계폐쇄 증상 여부 check
맥박↑& 저혈압: 출혈, 쇼크
호흡곤란,호흡음의 시끄려움,목 조직의 함몰: 호흡기 폐쇄
V/S 측정후 출혈 여부는 드레싱을 전후로 check
의식이 돌아오면
semi-fowler`s position, 베개, 모래주머니로 머리 지지 상태가 좋으면 다음날부터 운동 가능
수술 부위의 긴장감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 목과 머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 위함
모래주머니로 환자의 목을 움직이지 못하게 지지함
목의 긴장감 완화를 위해 목 뒤를 부드럽게 마사지함
기도 협착의 증상 여부
경부 종창의 증대
고열, 빈맥, 의식 상태
손가락과 손발 저림
호흡곤란,부정호흡. 천명
출혈
갑상선 증상 발현
테타니
구강으로 수분 공급
오심, 구토여부 알림
다음날 유동식 줌
환자의 의식이 돌아온 후 gag reflex가 있으면 구강으로 수분 공급
2~3일간 I/O 기록
gag reflex 여부
WT CHECK
Meperidine(Demerol) 50~100mg을 통증 완화를 위해 prn으로 3~4시간간격으로 투여
수술 후 초기 Demerol과 몰핀은 통증완화와 안정증진
호흡이 12회/min↓이면 마약성진통제를 주지 않는다.
심호흡과 기침은 매 30분마다
전액이 기도나 기관지, 폐에 차면 호흡기 폐쇄로 무기폐나 폐렴을 야기
수술전에 심호흡과 기침 방법을 교육, 기침으로 분비물을 배설하지 못할 경우 부드럽게 흡인
기관절개세트, 산소는 방안에 준비
출혈이나 성문의 부종, 후두신경 손상시 급성 호흡기 폐쇄가 올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기도 확보를 위함
안절부절하거나 빈맥이 있고 불안해하며 청색증이 있으면 호흡기 폐쇄 징후
폐가 깨끗해질 때까지 계속 증기 흡입
습도가 높으면 호흡이 쉽고 점액을 액화하여 배설이 쉽다
문을 잘 닫아서 방안의 습도가 빠져 나가지 않오록
24시간 동안 4시간마다 액와 및 직장 체온 측정하고 다음 에는 구강으로 측정
갑상선 위기의 척 징후는 체 온 상승
갑상선 위기의 증상인 체온 상승, 심한 안절부절, 빈맥 을 주의깊게 관찰
직장:37.7℃ 구강: 37.2℃↑
그외에도
배액관는 배액량을 확인한 후 수술 후 2~3일에 제거하고 3~5일에 봉합사 제거
수술 후 1주일간을 Ca.P등을 자주 점검, 1주일 이후에는 T3, T4, TSH등 확인
수술 후 테타니 - 부갑상선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혈청Ca이온의 급격한 저하(신경과 근육의 흥분성을 항진)로 인해 유발.
※ 참고문헌
생리학. Stuart Ira Fox. 라이프 사이언스. 2003.
성인간호학 4. 서문자 이향련 외. 수문사. 2004.
성인간호 하Ⅱ(2000)서문자외 수문사
성인간호학 下2(2001)전시자외 현문사
전시자외(2001) 제3판 성인간호학 上(2), 현문사
Ⅲ. 결 론
이번 대상자 사례연구를 통해서 갑상선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알게 되었고, 갑상선이 우리 몸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며 얼마나 필요한 기관인지를 깨달았다. 수술과정을 관찰할 때는 어떻게 돌아가는 상황인지 잘 몰랐지만 케이스를 하면서 그때 그때의 상황을 떠올리면서 생각하니조금은 이해가 되었다. 처음에 대상자가 수술시작 전에 심한 몸부림도 치고, 다른 수술 대상자들보다 더욱 불안감을 표현하여 걱정이 많이 되었는데, 수술이 끝나고 회복실에서 V/S 도 괜찮고, 심한 통증도 호소하지 않고, 수술이 잘 되었다는 의사 선생님의 말에 그제서야 안도하는 모습이 떠오른다. 병실로 옮겨가는 모습은 보지 못했지만 좋은 상태로 가셨다는 선생님 말에 마음이 놓였다. 퇴원하는 모습을 지켜볼 수 없지만 병동에서 간호 받고 빨리 호전되어 집으로 돌아가셨으면 좋겠다는 바램으로 사례연구를 마친다.
⑤ 정기적으로 갑상선 자극 호르몬을 검사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일 때 충분한 양의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 방사성 요오드를 이용한 전신 촬영을 통해 재발의 가능성과 전이 여부 검사
* 종류에 따른 수술 후 치료 차이
① 유두암, 수질암, 여포암의 경우 수술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 - 수술 후 수술 자리에 남이 있을 수 있는 암세포나 정상 갑상선 세포를 완전히 없애기 위함
② 미분화암은 요오드 섭취를 하지 않아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할 수 없다.
* 갑상선 절제술 후의 처방 및 간호 행위
⑴ 입원시의 체크와 간호계획
① 입원시까지의 진단 - 양성인지 악성인지의 조직 검사의 진단이 되어 있는가의 유무
② 입원시의 임상 증상의 파악
갑상선종의 크기 및 형태 - 압박 증상의 유무(쉰 목소리, 기도 협착 증상)
갑상선기능의 항진 또는 저하의 증상
=> 항진 증상 - 안구 돌출증, 전반적인 갑상선 비대, 곤봉모양의 손가락
저하 증상 - 전신 권태감과 피로감, 정신활동의 둔화, 말과 생동의 느림, 기면,
식욕부진, 변비, 서맥, 피부건조, 하지부종
수술 전의 갑상선 기능 조절을 위한 약물 투여의 유무
항진증 - 방사선 요오드 치료(131I 사용), 항갑상선 약물(propythiouracil, methimazole)
저하증 - 호르몬 투여( levothyroxine)
갑상선종 - 방사선 요오드 치료(131I 사용), 호르몬 투여( levothyroxine)
⑵ 악성 종양의 경우는 전신의 전이 유무가 검진
⑶ 수술 전 처치
① 마취
환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urine bag을 연결한다.
전신마취를 시킨다.
기도유지를 위하여 후두경을 사용하여 endotracheal intubation을 한다.
② 체위
체위는 supine으로 취하여 준다.
③ 수술 준비단계
환자의 머리는 아주 딱 맞는 거즈와 망사조직의 캡을 씌워서 오염되는 것을 막는다
환자의 피부는 미리 준비되어야 한다.
환자의 수술부위를 긁어 상처내어 표시하기 전에 피부를 단단한 실크로 경계선을 압박해야 한다. 절개한다.
♠ 수술 후 간호
수술 절개 부위의 상처의 회복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데 배액관은 대개 수술 후 24시간이 지나면 제거해주며, suture remove는 수술 후 2~3일에 행해진다. 수술 후에도 1주일 이상은 lugol's iodine을 계속해서 투여한다.
수술 후 처방
근 거
간호 행위
V/S는 q15분, 안정시 12시간 동안에는 q30분 check
수술후 출혈과 호흡기계폐쇄 증상 여부 check
맥박↑& 저혈압: 출혈, 쇼크
호흡곤란,호흡음의 시끄려움,목 조직의 함몰: 호흡기 폐쇄
V/S 측정후 출혈 여부는 드레싱을 전후로 check
의식이 돌아오면
semi-fowler`s position, 베개, 모래주머니로 머리 지지 상태가 좋으면 다음날부터 운동 가능
수술 부위의 긴장감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 목과 머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 위함
모래주머니로 환자의 목을 움직이지 못하게 지지함
목의 긴장감 완화를 위해 목 뒤를 부드럽게 마사지함
기도 협착의 증상 여부
경부 종창의 증대
고열, 빈맥, 의식 상태
손가락과 손발 저림
호흡곤란,부정호흡. 천명
출혈
갑상선 증상 발현
테타니
구강으로 수분 공급
오심, 구토여부 알림
다음날 유동식 줌
환자의 의식이 돌아온 후 gag reflex가 있으면 구강으로 수분 공급
2~3일간 I/O 기록
gag reflex 여부
WT CHECK
Meperidine(Demerol) 50~100mg을 통증 완화를 위해 prn으로 3~4시간간격으로 투여
수술 후 초기 Demerol과 몰핀은 통증완화와 안정증진
호흡이 12회/min↓이면 마약성진통제를 주지 않는다.
심호흡과 기침은 매 30분마다
전액이 기도나 기관지, 폐에 차면 호흡기 폐쇄로 무기폐나 폐렴을 야기
수술전에 심호흡과 기침 방법을 교육, 기침으로 분비물을 배설하지 못할 경우 부드럽게 흡인
기관절개세트, 산소는 방안에 준비
출혈이나 성문의 부종, 후두신경 손상시 급성 호흡기 폐쇄가 올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기도 확보를 위함
안절부절하거나 빈맥이 있고 불안해하며 청색증이 있으면 호흡기 폐쇄 징후
폐가 깨끗해질 때까지 계속 증기 흡입
습도가 높으면 호흡이 쉽고 점액을 액화하여 배설이 쉽다
문을 잘 닫아서 방안의 습도가 빠져 나가지 않오록
24시간 동안 4시간마다 액와 및 직장 체온 측정하고 다음 에는 구강으로 측정
갑상선 위기의 척 징후는 체 온 상승
갑상선 위기의 증상인 체온 상승, 심한 안절부절, 빈맥 을 주의깊게 관찰
직장:37.7℃ 구강: 37.2℃↑
그외에도
배액관는 배액량을 확인한 후 수술 후 2~3일에 제거하고 3~5일에 봉합사 제거
수술 후 1주일간을 Ca.P등을 자주 점검, 1주일 이후에는 T3, T4, TSH등 확인
수술 후 테타니 - 부갑상선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혈청Ca이온의 급격한 저하(신경과 근육의 흥분성을 항진)로 인해 유발.
※ 참고문헌
생리학. Stuart Ira Fox. 라이프 사이언스. 2003.
성인간호학 4. 서문자 이향련 외. 수문사. 2004.
성인간호 하Ⅱ(2000)서문자외 수문사
성인간호학 下2(2001)전시자외 현문사
전시자외(2001) 제3판 성인간호학 上(2), 현문사
Ⅲ. 결 론
이번 대상자 사례연구를 통해서 갑상선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알게 되었고, 갑상선이 우리 몸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며 얼마나 필요한 기관인지를 깨달았다. 수술과정을 관찰할 때는 어떻게 돌아가는 상황인지 잘 몰랐지만 케이스를 하면서 그때 그때의 상황을 떠올리면서 생각하니조금은 이해가 되었다. 처음에 대상자가 수술시작 전에 심한 몸부림도 치고, 다른 수술 대상자들보다 더욱 불안감을 표현하여 걱정이 많이 되었는데, 수술이 끝나고 회복실에서 V/S 도 괜찮고, 심한 통증도 호소하지 않고, 수술이 잘 되었다는 의사 선생님의 말에 그제서야 안도하는 모습이 떠오른다. 병실로 옮겨가는 모습은 보지 못했지만 좋은 상태로 가셨다는 선생님 말에 마음이 놓였다. 퇴원하는 모습을 지켜볼 수 없지만 병동에서 간호 받고 빨리 호전되어 집으로 돌아가셨으면 좋겠다는 바램으로 사례연구를 마친다.
추천자료
위절제술 케이스
위절제술 케이스 스터디
부갑상샘의 구조과 특징 (PARATHYROID GLANDS)
내분비성 피부질환(Endocrine dermatopathy )과 갑상선기능저하증(Hypothyroidism),Hyperadre...
[성인간호학] 갑상선 기능저하증
[성인간호학]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신부전환자의 근골격계질횐
[간호학]내분비계 호르몬의 종류와 특징(시상하부호르몬,뇌하수체호르몬,갑상선호르몬,성호르...
방사선옥소치료
[유방 갑상선 산부인과 병동] case study <자궁경부암> (+5일일지,소감,평가)
[간수술, 간수술과 수술장비, 간수술과 간절제술, 간수술과 간이식수술, 간수술과 간동맥 화...
nontoxic goiter thyroidectomy case
[내분비질환] 내분비계 질환 - 내분비계의 종류와 특성, 내분비계 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치...
[내분비계 질환] 내분비질환의 이해(뇌하수체기능장애, 갑상선 기능장애, 부신기능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