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전염성 설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신생아 전염성 설사

2. 홍역

3. 풍진

4. 선천성 풍진 증후군

본문내용

에 처음으로 홍역 바이러스의 조직 배양이 성공한 이래, 백신에 대란 연구가 급속도로 진전되었으며, 1963년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독화 생백신이 개발된 이후로부터 홍역의 이환율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홍역 백신 예방 효과는 좋으며, 일반적으로 95% 내외인 것으로 보고 있다.
2) 수동 면역
예방 접종을 하지 못한 소아가 홍역 환자와 접촉된 경우 즉시 감마 글로불린을 주사하면 우선 홍역에 걸리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다소 늦게 감마 글로불린을 접종하거나 소량을 접종하면 임상 증상을 경하게 할 수 있다. 용량은 다음과 같다.
ⅰ) 예방량 - 접촉한 지 5일 이내에 0.25㎖/㎏을 근육 주사한다. 만성 질환을 가진 환아나 병원 내 또는 수용소에서 노출되었을 경우에 적용한다.
ⅱ) 경화량 - 접촉한 지 5일 이내에 0.05㎖/㎏을 근육 주사한다. 접촉한 소아가 면역 기전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0.5㎖/㎏을 주사한다. 수동면역을 받은 자는 백신 접종에 대한 금기 사항이 없으면 수동 면역 3개월 후에 백신을 접종 받아야 한다.
▶ 치 료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는 안정과 충분한 수분 공급과 기침, 고열에 대한 대증 요법을 한다. 중이염 및 폐렴 등 세균성 합병증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나,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쓰지는 않는다. 거대 세포성 폐렴, 뇌염, 아급성 경화성 전뇌염이 합병된 경우는 개별적으로 평가하여 대증 치료를 하여, 면역 글로불린이나, 부신 피질 호르몬의 역할은 제한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는 효과가 없다.
풍 진
(German measles, Rubella, Three day measles)
풍진은 미열과 홍반성 구진, 림프절 종창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특히 임신 초기에 감염도리 경우 선천성 기형아를 출산할 수 있다.
▶ 원 인
Rubella 바이러스는 Togavirus과에 속하는 Rubivirus속에 속하는 RNA바이러스이다.
▶ 역 학
기침이나 재채기, 또는 말할 때 튀어나오는 작은 비말로 전파되거나 또는 임신부가 풍진에 감염될 경우 태반을 통해서 태아에게 감염된다. 풍진은 발진이 나타나기 5일전부터 6일 후까지 가장 전염력이 높다. 예방 접종이 시행되기 이전에 5∼14세에 호발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10대 소아 및 젊은 성인층에서 호발한다.
▶ 임 상 증 상
대개 17일 정도(14∼21일)의 잠복기를 지나 가벼운 전구 증상을 보이게 된다. 귀 뒤, 목 뒤, 후두부의 림프절이 동통을 동반하며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진 출현 1주 전에 이미 커지기 시작하여 발진기에 가장 커진다. 발진은 처음에는 얼굴에 나타나고, 2∼3시간 내에 머리, 팔, 몸통 등 온몸에 급속히 퍼진다. 발진은 연분홍색의 홍반성 구진으로 수는 많으나 홍역처럼 형태가 불규칙하거나 서로 융합되지 않고, 색소 침착도 되지 않는다. 풍진의 발진은 첫날에는 홍영과 비슷하고, 둘째 날에는 성홍열과 비슷하나. 섯째 날에는 없어진다. 연구개에 소수의 출혈 반점이 보이기도 한다.
▶ 합 병 증 및 예 후
관절염이 사춘기나 성인에서 보일 수 있으며, 남자보다 여자에서 흔하다. 드물게 뇌염이 생기는 수가 있는데(1/6000) 대부분 발진이 나타난 후에 발생한다. 예후는 다른 감염 후에 생기는 뇌염보다는 좋다 . 혈소판 감소증으로 인한 자반증 및 출혈 경향을 보이는 경구가 있다.
▶ 진 단
풍진 바이러스 검출이 진단에 도움이 되나 최근에는 주로 EIA, latex 등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한다. 또 풍진 IgM 항체를 검사하시도 한다.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을 검사하여 풍진 IgG 항체가 4배 이상 상승하였거나 또는 풍진 IgM 항체가 검출될 경우에는 최근의 감염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예 방
임신 초기에 이환되면 선천성 풍진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예방 접종을 하며, 생후 15개월에 홍역, 풍진, 볼거리에 흔합 백신(MMR)으로 풍진 생백신을 접종한다. 예방접종후에 항체 생성률은 95%으로 이상으로 확실치는 않으나 항체는 아마도 평생 동안 지속한다. 예방접종의 부작용은 발진, 발열 및 림프절 종대가 접종 후 7∼10일경에 소수에서 관찰되며 일시적으로 관절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선천성 풍진 증후군 (Congenital rubella syndrome)
임신 초기 3개월, 특히 임신 첫달에 산모가 풍진에 이환되면 태내 감염을 일으켜서 신생아의 30∼60% 정도가 선천성 기형을 초래하기 쉽다.
▶ 임 상 증 상
가장 흔한 임상 증상으로는 자궁 내 발육 부전으로, 간비 종대, 전신적 림프절 종팡, 혈소판 감소증, 용혈성 빈혈, 간염, 황달, 뇌수막염 등이 동반되어 나타난다.
백내장이 출생시부터 나타날 수 있고, 귀머거리, 심장 질환, 특히 동맥관 개존, 폐동맥 협착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지능 박약을 동반하느 소두증이 발생한다.
▶ 진 단
임상증상과 바이러스 분리 및 신생아 혈청에서 풍진 IgM 항체를 검출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풍진 IgM 항체는 대부분 생후 6개월 까지 존재하며, 드물게 생후 2년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 감 별 진 단
임상 증상과 바이러스 분리 및 신생아 혈청에서 풍진 IgM 항체를 검출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풍진 IgM 항체는 대부분 생후 6개월까지 존재하며, 드물게 생후 2년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 치 료 및 예 방
선천성 풍진에 대한 치료는 대증 요법과 교정 치료를 필요로 한다. 임신부가 풍진에 노출된 경우에는 혈청 내 풍진 항체를 검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임신부가 풍진 항체를 가지고 있으면 위험이 없으므로 안심해도 된다. 풍진 항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3주 후에 다시 검사를 하여 풍진 항체가 검출되면 감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두 번째 검사에도 항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3주 후에 세 번째 검사를 하여 그 때에도 풍진 항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안심하고 임신을 지속시키고 검출되면 감염된 것으로 인정한다. 감염이 되었다고 인정되면 임신 중절을 유도하고, 임신 중절이 채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근육용 면역 글로불린을 즉시 주사하나 예방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1.07.06
  • 저작시기20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9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