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와 장면정권의 태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956. 9.28일에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
1)원인
2) 4·19와 사건
▣ 학생들의 봉기에 대한 국가의 대응
▣ 군부의 역할
▣ 미국의 역할
▣ 4.19 정신은 무엇인가?

본문내용

그를 방문하였던 4월 26일 아침 이전에 이미 내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美國이 韓國의 정치 과정에 미친 影響이 매우 컸음에도 불구하고, 4월 蜂起의 發生과 進行 과정은 外部의 힘보다는 一次的으로 國內 政治 勢力들 간의 힘의 鬪爭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4.19라는 힘 鬪爭의 여러 側面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그것은 國家와 民間 사회 사이의 수준에서 일어났다. 그것은 組織이나 制度를 통한 것이 아니라 自然 發生的인 大衆 蜂起의 有形을 띠고 있었다. 方法은 적나라한 힘의 鬪爭에 의한 것이었고, 土臺는 自由 民主主義와 權威主義 獨裁의 對決이라는 政治 理念的인 性格을 띠고 있었다. 따라서 爭點은 政治的 民主化를 核心으로 하고, 統一, 自立 經濟 確立 등의 民族主義的 要求가, 이 政權이 瓦解된 뒤, 여기에 添加되었다. 도전의 주도 勢力은 조직화되지 않은 學生 大衆과, 都市 周邊 階層과 一般 市民들도 大擧 加擔하였다.
힘 鬪爭의 결과 이루어진 政治 變動은 이승만 政府로부터 민주당 政府로의 政府 交替, 家父長的 權威主義 政權으로부터 自由 民主主義的 政權으로의 政權 交替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政治 社會의 構成員과 게임의 規則이 어느 정도 바뀌었으나 本質的인 變化는 없었다. 國歌와 民間 社會의 本質 즉, 構造的 變化는 同伴되지 않았으나, 民間 社會의 힘으로 政府가 執權할 수 있었기 때문에 國歌의 社會 勢力에 대한 자율성이 크게 萎縮당하게 되었다.
▣ 4.19 정신은 무엇인가?
4.19는 韓國 歷史上 가장 大規模的인 學生의 蜂起였고, 政治 變革을 가져오는데 成功한 唯一한 學生 集團의 抗拒 運動이었으며, 또한 知識人들의 重要性을 誇示하는 생생한 實證이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4.19는 完成된 "革命"이 아니었다. 그렇게 되고만 숱한 이유 가운데 한 가지는 4.19 勢力에 主體的인 集團이 없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점과 관련하여 4.19 리더들의 變質 과정을 들 수 있다.
반독재.민주.민족이라는 4.19 이념은 그 후에 있은 5.16과 는 결코 融合될 수 없는 성질의 것이었다. 특히 "維新 體制"는 4.19理念에 대한 거의 완전한 反動이라고 評價될 수 있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4.19주역 가운데 상당한 수가 維新 지지를 表明했고, 또 維新 體制에 參與했다. 이 저에 대해 교수단 데모에 參加했던 김성식교수(현 경희대 名譽敎授)는 "5.16은 4.19 주역들을 腐敗시키기 시작했다. 그것은 國家의 귀중한 훈장을 수여한 일이다. 주역들은 훈장을 타고 좋아했다. 그 밖에 무슨 去來가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淸算하고 愛國的인 4.19 정신이 차차 빛이 바래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모두 變節하고 말았다. 여기서 變節이란 뜻은 돈과 權力과 불의와 부정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는 이야기다. 그 때문에 學生運動이 一般 社會로부터 不信을 사게 되고 말았다. 이런 關係로 自由 民主 運動으로서의 4.19는 제대로 전승되지 못했다. 다시 말하면 집권자의 공략과 學生 運動 주역들의 腐敗로 4.19는 전설화해 가고 있다는 이야기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김성식 교수가 이야기하는 '4.19 주역들의 변절'이란 무엇을 意味하는가? 그것은 4.19계승을 굳이 내세웠던 세력의 매수 결과였다고 말할 수도 있고, 특정 5.16 세력의 權力慾을 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쪽이 되었건, '4.19 주역들의 變質'은 결코 '4.19의 變質'로 통하지는 않는다. 4.19는 特定 그룹이나 個人의 成果가 아니라 그 世代의 理念이었으며, 그 당시 民衆의 의지였다. 그리고 그 理念과 意志는 주역들의 變質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未完의 革命 課題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 "한국 현대 정치사" 김영명 저 -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1.10.27
  • 저작시기200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