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그람 염색법
2.그람 양성균
3.그람 음성균
4.광학 현미경
2.그람 양성균
3.그람 음성균
4.광학 현미경
본문내용
게 닦아내는 것이다. 운반할 때는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 다리를 받쳐 들고 운반한다. 현미경의 조작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순서를 따른다.
① 배율을 정하고(저배율로부터 시작하여 고배율로 한다), 경통을 높이 올려 먼저 접안렌즈를, 다음 대물렌즈를 장치한다(이 순서를 반대로 하면 대물렌즈의 윗면에 먼지가 끼기 쉽다).
② 경통을 조절하여 표준 통길이로 한다.
③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며 반사경을 움직여 시야가 가장 밝고 그리고 밝기가 균일하게 조절한다(자연광을 광원으로 할 때에는 직사태양광을 피하도록 한다).
④ 옆에서 보면서 경통을 내려 대물렌즈의 아래끝의 렌즈를 가능한 한 시료에 가까이 놓고, 다음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며 경통을 조금씩 올리며 상이 선명한 곳에서 정지한다(접안렌즈를 들여다보지 않는 눈도 뜬 채로 행한다).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증가해서 해상력을 높이기 위해 굴절률이 공기보다도 큰 액체로 대물렌즈의 끝렌즈와 시료 사이를 채우는 방법을 액침법(液浸法)이라 하는데, 여기에는 특별히 만든 액침용 대물렌즈를 사용한다. 물을 사용하는 수첨법(水添法)과 기름을 사용하는 유침법(油浸法)이 있으며, 보통 굴절률이 렌즈의 굴절률에 가까운(1.515) 시더유(cedar 油:미국산 붉은삼나무에서 짜낸 기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병원미생물학 /이종훈 저 / 1997. 1. 15 / 수문사
병원미생물학 / 김영권 외 11명 저 / 1996. 9. 10 / 수문사
미생물학 / 하대유 저 / 1997. 3. / 신일상사
인터넷 사이트 : http://kr.encycl.yahoo.com
① 배율을 정하고(저배율로부터 시작하여 고배율로 한다), 경통을 높이 올려 먼저 접안렌즈를, 다음 대물렌즈를 장치한다(이 순서를 반대로 하면 대물렌즈의 윗면에 먼지가 끼기 쉽다).
② 경통을 조절하여 표준 통길이로 한다.
③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며 반사경을 움직여 시야가 가장 밝고 그리고 밝기가 균일하게 조절한다(자연광을 광원으로 할 때에는 직사태양광을 피하도록 한다).
④ 옆에서 보면서 경통을 내려 대물렌즈의 아래끝의 렌즈를 가능한 한 시료에 가까이 놓고, 다음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며 경통을 조금씩 올리며 상이 선명한 곳에서 정지한다(접안렌즈를 들여다보지 않는 눈도 뜬 채로 행한다).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증가해서 해상력을 높이기 위해 굴절률이 공기보다도 큰 액체로 대물렌즈의 끝렌즈와 시료 사이를 채우는 방법을 액침법(液浸法)이라 하는데, 여기에는 특별히 만든 액침용 대물렌즈를 사용한다. 물을 사용하는 수첨법(水添法)과 기름을 사용하는 유침법(油浸法)이 있으며, 보통 굴절률이 렌즈의 굴절률에 가까운(1.515) 시더유(cedar 油:미국산 붉은삼나무에서 짜낸 기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병원미생물학 /이종훈 저 / 1997. 1. 15 / 수문사
병원미생물학 / 김영권 외 11명 저 / 1996. 9. 10 / 수문사
미생물학 / 하대유 저 / 1997. 3. / 신일상사
인터넷 사이트 : http://kr.encycl.yah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