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균약 (antibacterial agents)
2. 항생물질 (Antibiotics)
3. 항산성균 치료약
4. 항 virus약
5. 항암약 (anticancer agents)
6. Taxol : 난소암
7. 항원충약
2. 항생물질 (Antibiotics)
3. 항산성균 치료약
4. 항 virus약
5. 항암약 (anticancer agents)
6. Taxol : 난소암
7. 항원충약
본문내용
독성 : 결핌시 - (소아) 크레틴 병 : 성장지연, 저능, 피부, 머리털이 건조
(성인 ) 점액수종 : 피로, 저혈압, 저체온, 기초대사억제, 피부건조
과량시 ; Basedow 씨 병 : 안구돌출, 갑상선 비대, 정신 불안, 체중감소, 피로
(Graves병)
응용 : 갑상선 기능저하증 (크레틴 병, 점액수종), TSH 분비억제 목적
제제 : (천연)thyroxine(T4), triiodotyronine(T#)
* calcitonin : Ca++을 뼈 속에 저장시켜 주므로서 혈중 농도를 감소초래
응용 : Paget병, 고Ca++ 혈증, 골다공증
2. 항갑상선제제
작용 : thyroxine합성 억제
응용 : 갑상선기능 항진증 (basedow씨 병)
제제 : a. 갑상선에서 유리 I-의 농축을 억제 :thiocyanate, perchlorate
b. 유리 I-가 I2염으로 산화되는 것을 억제 : propylthiouracil, methimaxole
c. T3,T4 호르몬 유리 억제 : iodine, 131 I
4. 부갑상선 호르몬
* Ca++ 대사 ( Ca++ homeostasis)
1. 부갑상선 호르몬
작용 : 뼈에서 Ca++ 의 우리 촉진, 장관에서 Ca++의 흡수 촉진 - 혈중 Ca++농도 증가
신장에서 인산 배설 촉진
응용 : 저 Ca++혈증
2. vitamine D
작용 : 장관에서 Ca++ 의 흡수 촉진 (부갑상선 H의 기능을 촉진), 장관에서 인산 흡수 촉진
응용 : 구루병 치료
5.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 8개의 amino acid를 함유하는 환상의 polypeptide(6개의 amino acid는 공통)
1. Vasopressin(ADH: antodiuretic H)
작용 : 혈관 수축작용 - 혈압상승
항이뇨 작용 -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서 수부을 재흡수
응용 : 요붕증 (다뇨, 다음)
2. Oxytocin
작용 :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수축을 나타내며 특히 자궁수축작용, 산후 유즙분비
응용 : 분만시 진통촉진, 분만후 자궁출혈 억제
6.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화학구조
호르몬
분류
작용
peptide
GH
호르몬
성장, 발육
peptide
prolactin
호르몬
유즙분비
당단백
TSH
자극호르몬
갑상선에서 thyroxine 합성 및 분비촉진
peptide
ACTH
자극호르몬
부신피질에서 glucocorticoid 생성 및 분비촉진
당단백
FSH
성선자극호르몬
(여) 난소에서 estrogen분비 → 여성성선발육
(난포) 난자성숙
(남) 정소발육 → 정자생성
당단백
LH
성선자극호르몬
(여) 난소에서 progestrerone 분비
(황체) → 자궁내 분비 -- 착상
당단백
(ICSH)
(남) 정소에서 testosterone 분비
→ 남성성선 발육, 단백동화작용
*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기원 : 수정된 난자 세포막에서 분비 → 임신부 뇨에서 채취
작용 : 성선자극 호르몬 (LH 활성)
응용 : 배란촉진 - 불임치료
임신진단시약
7. 성호르몬
1. 여성 호르몬
* 여성의 생리주기
(1) estrogen류
작용 : 난소발육 촉진, 자궁내막 증식, 여성의 2차 성선 발달
응용 : 난소발육 부전, 전립선암, 여성 갱년기 장해
제제 : (천연) esrtadiol, estrone, estiol(steroid 구조)
(합성) diethylstilbestrol, ethinylestradiol,, mestranol, hexestrol
* estrogen길항약
clomiphene : estrogen의 gonadotropin분비에 대한 negative feedback기전 억제
- gonadotropin 분비촉진 - 난소 발육부전증, 불임증 치료
tamoxifen : 유방암 치료
(2) progesterone류
작용 : 자궁내막 분비증가(착상), 체온상승, 임신시 prolactin 분비억제, 감소시 월경초래
독성 : 자궁내막 과증식 초래
으용 : 무월경, 경구용 피임제
제제 : (천연) progesterone ; (합성) norethisterone, norgestrel
* progesterone 길항약
RU-486 (프랑스 Russel사, 1988)- 임신 10주 이내 사용할 때 낙태제
* 경구용 피임제
작용 : progesterone : 시상하부의 LRF분비를 억제 → 뇌하수체의 LH분비 억제
→ 배란이 안됨 (임신과 유사효과)
# 임신시 : 수정란에서 HCG분비 - progesterone분비 → 무월경
estrogen분비 → 자궁비후(수정란 착상)
# 분만후 : estrogen, progesteron 분비감소 → prolactin분비 → 유즙분비
독성 : 유방암, 오심, 구토, 혈압상승, 출혈, 두통
제제 : progesteron - esterogen 복합제
: 월경 5일째부터 1일 1정씩 21일간 복용후 7일간 휴약
마베론 : desogesterol 0.15mg + ethinylsetradiol 0.03mg
미니보라 : 1-norgestrel 0.15mg + ethinylestradiol 0.05mg
린디올 : lynestrenol 2.50mg + ethinylestradiol 0.05mg
노리놀 : norethindrone 1.0mg + mestranol 0.05mg
아니보라 : norethindrone 1.0mg + ethinylestradiol 0.05 mg
2. 남성 호르몬
(1) 남성 H
화학 : testosterone - 정소의 Leydig 세포에서 생성
작용 : androgenic 작용 (남성의 2차 성선 발달)
anabolic 작용 (단백동화 작용)
응용 : 남성의 성선발달 부전증, 갱년기 장해
제제 : (천연) testosterone(i.m.)
(합성) methyltestosterone(p.o.)
androsterone
(2) 단백동화 (anabolic) H
작용 : testosterone 유도체이나 androgen 작용은 약하고 anabolic 작용이 강한 것
응용 : 허약한 환자의 체중 증가, 근육발달
제제 : (합성) oxymetholone, fluoxymesterone, nandrolone
(성인 ) 점액수종 : 피로, 저혈압, 저체온, 기초대사억제, 피부건조
과량시 ; Basedow 씨 병 : 안구돌출, 갑상선 비대, 정신 불안, 체중감소, 피로
(Graves병)
응용 : 갑상선 기능저하증 (크레틴 병, 점액수종), TSH 분비억제 목적
제제 : (천연)thyroxine(T4), triiodotyronine(T#)
* calcitonin : Ca++을 뼈 속에 저장시켜 주므로서 혈중 농도를 감소초래
응용 : Paget병, 고Ca++ 혈증, 골다공증
2. 항갑상선제제
작용 : thyroxine합성 억제
응용 : 갑상선기능 항진증 (basedow씨 병)
제제 : a. 갑상선에서 유리 I-의 농축을 억제 :thiocyanate, perchlorate
b. 유리 I-가 I2염으로 산화되는 것을 억제 : propylthiouracil, methimaxole
c. T3,T4 호르몬 유리 억제 : iodine, 131 I
4. 부갑상선 호르몬
* Ca++ 대사 ( Ca++ homeostasis)
1. 부갑상선 호르몬
작용 : 뼈에서 Ca++ 의 우리 촉진, 장관에서 Ca++의 흡수 촉진 - 혈중 Ca++농도 증가
신장에서 인산 배설 촉진
응용 : 저 Ca++혈증
2. vitamine D
작용 : 장관에서 Ca++ 의 흡수 촉진 (부갑상선 H의 기능을 촉진), 장관에서 인산 흡수 촉진
응용 : 구루병 치료
5.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 8개의 amino acid를 함유하는 환상의 polypeptide(6개의 amino acid는 공통)
1. Vasopressin(ADH: antodiuretic H)
작용 : 혈관 수축작용 - 혈압상승
항이뇨 작용 -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서 수부을 재흡수
응용 : 요붕증 (다뇨, 다음)
2. Oxytocin
작용 :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수축을 나타내며 특히 자궁수축작용, 산후 유즙분비
응용 : 분만시 진통촉진, 분만후 자궁출혈 억제
6.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화학구조
호르몬
분류
작용
peptide
GH
호르몬
성장, 발육
peptide
prolactin
호르몬
유즙분비
당단백
TSH
자극호르몬
갑상선에서 thyroxine 합성 및 분비촉진
peptide
ACTH
자극호르몬
부신피질에서 glucocorticoid 생성 및 분비촉진
당단백
FSH
성선자극호르몬
(여) 난소에서 estrogen분비 → 여성성선발육
(난포) 난자성숙
(남) 정소발육 → 정자생성
당단백
LH
성선자극호르몬
(여) 난소에서 progestrerone 분비
(황체) → 자궁내 분비 -- 착상
당단백
(ICSH)
(남) 정소에서 testosterone 분비
→ 남성성선 발육, 단백동화작용
*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기원 : 수정된 난자 세포막에서 분비 → 임신부 뇨에서 채취
작용 : 성선자극 호르몬 (LH 활성)
응용 : 배란촉진 - 불임치료
임신진단시약
7. 성호르몬
1. 여성 호르몬
* 여성의 생리주기
(1) estrogen류
작용 : 난소발육 촉진, 자궁내막 증식, 여성의 2차 성선 발달
응용 : 난소발육 부전, 전립선암, 여성 갱년기 장해
제제 : (천연) esrtadiol, estrone, estiol(steroid 구조)
(합성) diethylstilbestrol, ethinylestradiol,, mestranol, hexestrol
* estrogen길항약
clomiphene : estrogen의 gonadotropin분비에 대한 negative feedback기전 억제
- gonadotropin 분비촉진 - 난소 발육부전증, 불임증 치료
tamoxifen : 유방암 치료
(2) progesterone류
작용 : 자궁내막 분비증가(착상), 체온상승, 임신시 prolactin 분비억제, 감소시 월경초래
독성 : 자궁내막 과증식 초래
으용 : 무월경, 경구용 피임제
제제 : (천연) progesterone ; (합성) norethisterone, norgestrel
* progesterone 길항약
RU-486 (프랑스 Russel사, 1988)- 임신 10주 이내 사용할 때 낙태제
* 경구용 피임제
작용 : progesterone : 시상하부의 LRF분비를 억제 → 뇌하수체의 LH분비 억제
→ 배란이 안됨 (임신과 유사효과)
# 임신시 : 수정란에서 HCG분비 - progesterone분비 → 무월경
estrogen분비 → 자궁비후(수정란 착상)
# 분만후 : estrogen, progesteron 분비감소 → prolactin분비 → 유즙분비
독성 : 유방암, 오심, 구토, 혈압상승, 출혈, 두통
제제 : progesteron - esterogen 복합제
: 월경 5일째부터 1일 1정씩 21일간 복용후 7일간 휴약
마베론 : desogesterol 0.15mg + ethinylsetradiol 0.03mg
미니보라 : 1-norgestrel 0.15mg + ethinylestradiol 0.05mg
린디올 : lynestrenol 2.50mg + ethinylestradiol 0.05mg
노리놀 : norethindrone 1.0mg + mestranol 0.05mg
아니보라 : norethindrone 1.0mg + ethinylestradiol 0.05 mg
2. 남성 호르몬
(1) 남성 H
화학 : testosterone - 정소의 Leydig 세포에서 생성
작용 : androgenic 작용 (남성의 2차 성선 발달)
anabolic 작용 (단백동화 작용)
응용 : 남성의 성선발달 부전증, 갱년기 장해
제제 : (천연) testosterone(i.m.)
(합성) methyltestosterone(p.o.)
androsterone
(2) 단백동화 (anabolic) H
작용 : testosterone 유도체이나 androgen 작용은 약하고 anabolic 작용이 강한 것
응용 : 허약한 환자의 체중 증가, 근육발달
제제 : (합성) oxymetholone, fluoxymesterone, nandro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