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환자의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격리환자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격리의 정의와 목적
2. 병실의 격리 관리
3. 격리 병실의 쓰레기 처리
4. 격리의 종류와 방법
5. 질병별 격리 지침

본문내용

물 격리)
-전파양식 : 주로 비말감염, 또는 보균자의 분비물과 직접 접촉에 의해 전파되나 드물게 식품을 통해서도 전파된다.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많이 발생한다.
-증상 및 징후 : 인두통에 동반되는 갑작스런 발열(39도 이상), 두통, 구토, 복통, 인두염 등을 보인다.
-격리 관리 : 배액 및 분비물 격리를 철저히 한다. 항생제치료 시작 후 24시간까지 격리한다. 환자 배액 및 분비물과 이에 오염된 물품을 소독한다.
③ 결핵 (호흡기 격리)
-전파양식 :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비말핵을 통해 전파된다.
-증상 및 징후 : 발열, 전신 피로감, 식은땀, 체중감소 등이다. 폐결핵의 경우에는 발열, 기침, 가래, 혈담, 흉통, 심한 경우 호흡 곤란을 보이기도 한다.
-격리 관리 : 철저한 호흡기 격리가 필요하다. 특히 활동성 폐결핵인 경우이다.
4) 기타
① HIV
- 일단 HIV 감염자로 밝혀지면 모든 병상기록지, 검사지 및 검사물에는 즉시 [H+] 라는 표시를 하여 주위의 의료인이나 병원직원이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 손씻기: 접촉 전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특히 손에 상처가 있는 의료인이나 병원직원은 필히 장갑을 착용해야 하며 장갑을 벗은 후에도 손을 씻어야 한다.
- 가운은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으나 노출된 피부나 옷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을 때는 입어야 한다. 특히 침습성 시술(invasive procedure)중 감염자의 혈액이나 체액이 튀거나 묻을 가능성이 예상될 때에는 반드시 가운, 보안경, 마스크, 모자를 착용해야 한다.
- 감염자의 혈액 또는 체액이 피부에 묻었을 때에는 즉시 비누물로 씻은 후, 베타딘 용액으로 소독해야 한다.
- 의료인은 HIV 감염자의 처치 시 주사바늘, 수술 칼, 기타 예리한 기구로 부터 상처를 입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주사기 조작 후에는 그대로 표면이 견고한 붉은색의 일회용 지정용기에 버린다.
- HIV 감염자의 모든 검사물은 물이 새지 않는 붉은 색의 비닐에 넣어야 하며, 만약에 용기표면이 오염되었을 때에는 다시 새로운 용기에 넣어서 이중으로 한다.
② MRSA
_ 손을 통한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공기감염의 가능성은 매우 적으나 환자의 가래 등이 튀길 경우 감염원이 될 수도 있다.
- 손씻기 : 대부분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며 감염된 환자와 접촉한 후에 소독제를 이용한 철저한 손씻기가 요구된다.
- 방 : 1인실이 가능 할 경우에는 접촉격리를 실시하고 다인실 병실 사용시에는 되도록 MRSA출현 환자끼리 모아 격리한다.
- 장갑 : 환자의 분비물을 만질 때는 반드시 장갑을 낀다.
- 마스크, 가운 : MRSA호흡기 감염이나 창상감염 등으로 분비물이 다량 분비되는 경우,suction이나 catheter care, 창상처치 등을 할 땐 분비물이 튈 수 있으므로 착용한다.
- 객담관리 :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이 환경에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을 닦은 휴지 등은 뚜껑 달린 쓰레기통에 잘 모으도록 한다.
- 사용한 기구 및 환경관리 : 재사용 기구들은 병동에서 소독제에 30분간 침전시킨 후 중앙부로 소독을 의뢰한다.
③ VRE
-vancomycin에 내성을 보이는 균으로 감염되면 치료가 매우 어렵고 보통 장기입원이 요구되는 쇠약한 환자에게 나타난다. VRE는 의료진의 손, 병원내 환경이나 의료기구에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으므로 환자간 또는 의료기관 간의 전파가 쉽게 일어나며 병원내에 이들이 일단 출현하면 장기간 병원에 입원하고 있거나, 수술 후 요로 또는 혈관내 카테타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와 중환자실과 같은 각종 조작이 시행되는 장소에 입원하고 있는 경우 등의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신속하게 전파될 수 있다.
- 손씻기 : 손씻기는 항생제 내성균 전파를 예방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치료전후엔 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가 필요하다.
- 장갑 : 환자나 오염가능성이 있는 환경과 접촉할 때에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한다. 이때 환자마다 장갑을 바꿔 사용해야 하며, 같은 환자라 하더라도 각 시술마다 장갑을 바꾼다.
- 가운 : 눈에 보일 정도의 오염인 경우 피부나 의복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운 등을 착용 한다
- 방 :독방 또는 VRE에 감염된 다른 대상자들과 공동으로 방을 사용할 수 있다.
- 일반적인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직원의 손에 의해 환자에게서 다른 환자에게로 옮겨질 수 있으므로 기구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키워드

격리,   환자 ,   간호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2.27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