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간(Brain stem)
2. 소뇌
3. 기저핵 Basal ganglia
2. 소뇌
3. 기저핵 Basal ganglia
본문내용
손상. 흑질의 역할이 운동 촉진이었지? 증상은
1) 운동마비 (akinesia, bradykinesia)
2) 근육경직 (rigidity)
3) 안정시 진전 (resting tremor)
표정이 없고, 걸을 때 팔안흔들고, 굴근쪽의 경직이 현저하고, 일정한 근육 저항.
cf) 여기서 약리학을 도입해보자. Parkinson's disease가 substantia nigra의 문제였지? Dopamine이 부족해서 간접로 억제가 잘 아니된다 -> 운동실조. 이걸 보상하기 위해 부교감을 항진시켜 간접로를 억제하려고 한다. 따라서 Ach가 넘쳐나게 되고 이게 여러 증상들을 일으킨다. 따라서 Dopamine 투여하여 간접로 억제가 잘되게 하든지, anticholinergic agent들을 투여해서 과다한 Ach에 의한 증상을 막으면 되겠지. 그 대표적 약이 Benztropine
◇ Huntington's disease
선상체 손상으로 억제성 기능의 결핍. 수의 운동에서 무의미한 운동이 나타남. 깨어있는 동안 연속.
◇ athetosis : 렌즈핵 손상. 손이 꼬임. ballism : 하시상핵 손상. 다리를 던지는 듯한 동작. hemiballismus : 반쪽에만.
1) 운동마비 (akinesia, bradykinesia)
2) 근육경직 (rigidity)
3) 안정시 진전 (resting tremor)
표정이 없고, 걸을 때 팔안흔들고, 굴근쪽의 경직이 현저하고, 일정한 근육 저항.
cf) 여기서 약리학을 도입해보자. Parkinson's disease가 substantia nigra의 문제였지? Dopamine이 부족해서 간접로 억제가 잘 아니된다 -> 운동실조. 이걸 보상하기 위해 부교감을 항진시켜 간접로를 억제하려고 한다. 따라서 Ach가 넘쳐나게 되고 이게 여러 증상들을 일으킨다. 따라서 Dopamine 투여하여 간접로 억제가 잘되게 하든지, anticholinergic agent들을 투여해서 과다한 Ach에 의한 증상을 막으면 되겠지. 그 대표적 약이 Benztropine
◇ Huntington's disease
선상체 손상으로 억제성 기능의 결핍. 수의 운동에서 무의미한 운동이 나타남. 깨어있는 동안 연속.
◇ athetosis : 렌즈핵 손상. 손이 꼬임. ballism : 하시상핵 손상. 다리를 던지는 듯한 동작. hemiballismus : 반쪽에만.
추천자료
청소년 운동 프로그램(건강)- 운동프로그램
고유수용기 및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태권도]정리운동과 보강운동
[물리치료운동] core exercise[코어 운동]에 대해서
<감각 &#8228; 지각 &#8228; 운동 기능> 감각 &#8228; 운동 기능/특성, 감각 기...
04.운동생리학 {에너지 대사 및 근수축, 순환계&#8226;호흡계&#8226;내분비계, 훈련 ...
[영아기 운동발달]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운동능력발달
노인 운동 프로그램 (노년기 특성)
운동과 영양관리(탄수화물과 운동, 지방질과 운동, 단백질과 운동, 무기질과 운동, 비타민과 ...
[노화와 운동] 노화와 체력, 노인의 운동처방
[운동생리학] 운동생리
[영아기 신체-운동발달] 영아의 신체발달 및 운동발달
[유아신체운동발달] 유아기 신체발달 및 운동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