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인터넷의 접속유형
1. 일반전화를 이용한 방법
A). 일반 모뎀을 이용
B). SLIP/PPP를 이용
C). Shell Account를 이용
2. 전용선을 이용한 연결
3. ISDN을 이용한 연결
4.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연결
5. ADSL을 이용한 연결
6. 위성통신을 이용한 연결
Ⅲ. 결론
Ⅱ. 인터넷의 접속유형
1. 일반전화를 이용한 방법
A). 일반 모뎀을 이용
B). SLIP/PPP를 이용
C). Shell Account를 이용
2. 전용선을 이용한 연결
3. ISDN을 이용한 연결
4.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연결
5. ADSL을 이용한 연결
6. 위성통신을 이용한 연결
Ⅲ. 결론
본문내용
때 정보의 병목현상이 생기는 것 등이 대표적인 문제점이다.
국내 현황
한국통신과 한국전력이 각각 1996년 10월 18일과 20일 경쟁적으로 시범
서비스를 개시 한 'CATV망 인터넷'의 속도는 전화선을 이용할 때보다 400배 가량 빠른 10Mbps정도이다. CATV망을 통한 인터넷,PC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케이블 모뎀이외의 별다른 장비는 필요하지 않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케이블 모뎀의 가격은 30만~50만원정도. 하지만 한통은 서비스를 일반에게까지 확대할 경우 이 장비를 보증금 3만원 월 3,000원에 대여한다는 방침이다. 한전도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비슷한 수준에서 요금을 책정할 것으로 보인다. 월 이용료는 정액제로 한통의 경우 별도의 가입비 없이 월 5만~10만원의 받을 예정이다. 한전의 요금도 이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PC통신까지 이용하면 여기에 그 이용료가 추가된다.
5.ADSL을 이용한 연결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이란 비대칭형 디지털 가입자 선로라는 뜻의 약자이다. ASDL은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해서 이론상으로 6Mbps 에서 10Mbps까지의 전송속도가 가능한 데이타통신이 가능한 기술이다. ASDL이 일반화 될 수 있다면, 현재의 56Kbps의 전화모뎀의 전송속도를 견주어 볼때 가이 혁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은 관련장비가 비싸고 전송속도도 T1수준(1.544Mbps)정도가 가능하지만, 머지않아 장비가격이 적정수준으로 내리고 고속화될 전망이다. 현재, 미국, 영국, 캐나다, 이태리, 싱가포르, 등지의 수십개 전화회사가 시험서비스를 추진하고 있으며 모토롤라, AT&T 등이 ADSL 칩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곧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6.위성통신을 이용한 연결
고속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위성통신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위성통신 인터넷 서비스는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로 현재 미국 휴지즈네트웍시스템즈사에서 다이렉PC란 인터넷 서비스가 세계 처음으로 제공되고 있다. 위성을 통해 가입자와 인터넷접속서비스업체(ISP)를 연결하는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최소 4백kbps에서 최대 2Mbps의 속도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 다. 그러나 위성 인터넷 서비스는 정보를 전달받는(다운스트림은) 앞에서 말한 만큼 시간은 빠른 대신 데이터 송출의(업스트림) 속도는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가입자 정보를 전달하는 데는 기존 회선을 이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화상회의와 같은 쌍방향통신이 필요한 분야에 응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원격교육이나 주문형비디오 등 대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빠르게 전송받는 데에 활용한다면 매우 효율적일 것이다. 위성통신을 통해서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입자측의 PC에 위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소형 안테나와 위성수신카드를 장착해야 하는데, 현재 위성수신카드 가격은 30~40만원 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통신이 1997년부터 코넷 가입자들이 무궁화위성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통신에서 제공할 서비스는 이용자가 일단 일반 전화망을 통해 코넷에 접속, 필요한 인터넷자료를 요청하면 코넷 호스트컴퓨터에서 위성을 통해 각종 인터넷 데이터를 송출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 서비스는 전화망에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 단점이지 만, 인터넷의 각종 멀티미디어정보를 빠른 속도로 받아볼 수 있다는 점 에서 큰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이용요금은 기존 인터넷서비스보다 상당히 비싼 것이 현실이다.
Ⅲ.결론
이상으로 인터넷의 접속 유형에 대해 알아 보았다.
본인은 실제로 국내 PC통신사인 유니텔을 통하여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처음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여러 가지 환경 설정부분에 있어서 애를 먹은 기억이 있다. TCP/IP 설치에서부터 시작해서 전화접속 네트워킹 설치, 그리고 PPP환경 설정이라든지그밖에 다른 세부적인 설정등등 일련의 작업들은 그당시 나에게 있어 대단한 연구과제였음엔 틀림없었다.
그러한 기본적인 PC의 인터넷 접속 환경 설정에 대해서는 무진장 고생을 한 기억이 있어서 기필코 누구에게든 알려주고 싶은 마음이다. 그러나 이번 리포트의 주제가 '인터넷의 접속유형에 대해서' 이므로 주제에 벗어나는 것이 아닌가 싶어, 기회가 된다면 다음으로 설명을 미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한때 본인은 열렬한 섹티즌이었다.(^-^;) 봐도 봐도 끝이 없는 그 무궁무진함에 흠뻑 매료되곤 했다. 요즘들어 O양의 비디오라고 해서 호기심에 한동안 또 인터넷을 누빈적이 있다.
하지만 유즈넷의 뉴스그룹만 보더라도, '섹스'라는 분야는 수백 수천개의 정보 카테고리중 하나에 불과하다. 따라서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을 단지 흥미의 도구로만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제는 인터넷을 쓸모있게 사용할 줄 아는 지혜를 가져야 하겠다.
[참고]1. 국내 인터넷 접속방법의 도식화
[참고]2. 인터넷 이용형태와 인터넷 호스트 접속의 도식화
- 참조 사이트
: [http://www.cyberkorea.co.kr/edu/connect.htm]
: [http://www.cyberkorea.co.kr/edu/telephone.htm]
: [http://www.cyberkorea.co.kr/edu/shell.htm]
: [http://www.cyberkorea.co.kr/edu/slip.htm]
: [http://www.cyberkorea.co.kr/edu/lease.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FastAccess.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FastModem.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KrIsdn.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CableModem.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Adsl.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Satellite.html
국내 현황
한국통신과 한국전력이 각각 1996년 10월 18일과 20일 경쟁적으로 시범
서비스를 개시 한 'CATV망 인터넷'의 속도는 전화선을 이용할 때보다 400배 가량 빠른 10Mbps정도이다. CATV망을 통한 인터넷,PC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케이블 모뎀이외의 별다른 장비는 필요하지 않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케이블 모뎀의 가격은 30만~50만원정도. 하지만 한통은 서비스를 일반에게까지 확대할 경우 이 장비를 보증금 3만원 월 3,000원에 대여한다는 방침이다. 한전도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비슷한 수준에서 요금을 책정할 것으로 보인다. 월 이용료는 정액제로 한통의 경우 별도의 가입비 없이 월 5만~10만원의 받을 예정이다. 한전의 요금도 이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PC통신까지 이용하면 여기에 그 이용료가 추가된다.
5.ADSL을 이용한 연결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이란 비대칭형 디지털 가입자 선로라는 뜻의 약자이다. ASDL은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해서 이론상으로 6Mbps 에서 10Mbps까지의 전송속도가 가능한 데이타통신이 가능한 기술이다. ASDL이 일반화 될 수 있다면, 현재의 56Kbps의 전화모뎀의 전송속도를 견주어 볼때 가이 혁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은 관련장비가 비싸고 전송속도도 T1수준(1.544Mbps)정도가 가능하지만, 머지않아 장비가격이 적정수준으로 내리고 고속화될 전망이다. 현재, 미국, 영국, 캐나다, 이태리, 싱가포르, 등지의 수십개 전화회사가 시험서비스를 추진하고 있으며 모토롤라, AT&T 등이 ADSL 칩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곧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6.위성통신을 이용한 연결
고속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위성통신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위성통신 인터넷 서비스는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로 현재 미국 휴지즈네트웍시스템즈사에서 다이렉PC란 인터넷 서비스가 세계 처음으로 제공되고 있다. 위성을 통해 가입자와 인터넷접속서비스업체(ISP)를 연결하는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최소 4백kbps에서 최대 2Mbps의 속도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 다. 그러나 위성 인터넷 서비스는 정보를 전달받는(다운스트림은) 앞에서 말한 만큼 시간은 빠른 대신 데이터 송출의(업스트림) 속도는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가입자 정보를 전달하는 데는 기존 회선을 이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화상회의와 같은 쌍방향통신이 필요한 분야에 응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원격교육이나 주문형비디오 등 대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빠르게 전송받는 데에 활용한다면 매우 효율적일 것이다. 위성통신을 통해서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입자측의 PC에 위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소형 안테나와 위성수신카드를 장착해야 하는데, 현재 위성수신카드 가격은 30~40만원 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통신이 1997년부터 코넷 가입자들이 무궁화위성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통신에서 제공할 서비스는 이용자가 일단 일반 전화망을 통해 코넷에 접속, 필요한 인터넷자료를 요청하면 코넷 호스트컴퓨터에서 위성을 통해 각종 인터넷 데이터를 송출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 서비스는 전화망에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 단점이지 만, 인터넷의 각종 멀티미디어정보를 빠른 속도로 받아볼 수 있다는 점 에서 큰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이용요금은 기존 인터넷서비스보다 상당히 비싼 것이 현실이다.
Ⅲ.결론
이상으로 인터넷의 접속 유형에 대해 알아 보았다.
본인은 실제로 국내 PC통신사인 유니텔을 통하여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처음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여러 가지 환경 설정부분에 있어서 애를 먹은 기억이 있다. TCP/IP 설치에서부터 시작해서 전화접속 네트워킹 설치, 그리고 PPP환경 설정이라든지그밖에 다른 세부적인 설정등등 일련의 작업들은 그당시 나에게 있어 대단한 연구과제였음엔 틀림없었다.
그러한 기본적인 PC의 인터넷 접속 환경 설정에 대해서는 무진장 고생을 한 기억이 있어서 기필코 누구에게든 알려주고 싶은 마음이다. 그러나 이번 리포트의 주제가 '인터넷의 접속유형에 대해서' 이므로 주제에 벗어나는 것이 아닌가 싶어, 기회가 된다면 다음으로 설명을 미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한때 본인은 열렬한 섹티즌이었다.(^-^;) 봐도 봐도 끝이 없는 그 무궁무진함에 흠뻑 매료되곤 했다. 요즘들어 O양의 비디오라고 해서 호기심에 한동안 또 인터넷을 누빈적이 있다.
하지만 유즈넷의 뉴스그룹만 보더라도, '섹스'라는 분야는 수백 수천개의 정보 카테고리중 하나에 불과하다. 따라서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을 단지 흥미의 도구로만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제는 인터넷을 쓸모있게 사용할 줄 아는 지혜를 가져야 하겠다.
[참고]1. 국내 인터넷 접속방법의 도식화
[참고]2. 인터넷 이용형태와 인터넷 호스트 접속의 도식화
- 참조 사이트
: [http://www.cyberkorea.co.kr/edu/connect.htm]
: [http://www.cyberkorea.co.kr/edu/telephone.htm]
: [http://www.cyberkorea.co.kr/edu/shell.htm]
: [http://www.cyberkorea.co.kr/edu/slip.htm]
: [http://www.cyberkorea.co.kr/edu/lease.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FastAccess.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FastModem.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KrIsdn.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CableModem.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Adsl.htm]
: [http://eesun2.tamu.edu/~skjo/ibook/Satellit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