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논리적 주소까지의 관계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논리적 주소까지의 관계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논리적 주소까지의 관계를 기술하여야 합니다. (20점).

I. IP주소
1. IPv4
1) A클래스
2) B클래스
3) C클래스
2. IPv6
3. 모바일IP

II. MAC주소

III. 도메인 네임

III. URL(Uniform Resource Locator)

2. 아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쓰시오. (10점)
(1) TCP/IP
(2) FTTH
(3) RSS
(4) PG (전자결제 분야)
(5) EFT

* 참고문헌

본문내용

른쪽, 즉 최상위 도메인은 기관이나 지역을 나타낸다.
- 다음 상위계층은 해당 기관의 형태를 나타낸다.
- 그 다음 계층은 해당기관의 이름을 나타낸다.
- 도메인 사이는 점으로 구분한다.
도메인 이름 1단계에서 사용되는 기관명과 국가명은 아래의 표와 같다.
도메인
기관명
도메인
국가명
com
상업적 기관
kr
한국
edu
교육기관
jp
일본
gov
정부기관
uk
영국
net
네트워크 관련기관
ca
캐나다
org
비영리조직
de
독일
도메인 이름 2단계에서 사용되는 기관명은 아래의 표와 같다.
도메인
기관명
co
상업적 기관
ac
교육기관
go
정부기관
nm
네트워크 관련기관
org
비영리조직
IV.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인터넷에서 특정 서버에 접속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자원의 위치 정보를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도구로, HTTP, FTP, 유즈넷, 이메일, 텔넷 등의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많은 서버에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체계가 필요한데, 이때 URL이 사용된다.
URL은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버에 있는 파일의 위치를 명시하기 위한 것으로, 접속할 서비스의 프로토콜 이름과 서버의 위치, 접속할 자원의 파일의 위치와 이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서버의 주소까지만 표기하고, 자원 이름을 생략하여 사용한다. 생략하면 해당 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기본 파일이 지정된다.
URL의 표기형식 - 서비스 프로토콜 이름://호스트 주소 :포트번호/자원 이름
서비스 프로토콜 이름 : 해당 호스트와 접속할 때 사용할 프로토콜
호스트 주소 : 접속할 호스트의 주소
포트 번호 : 해당 서비스에 할당된 포트 번호
자원 이름 : 호스트 컴퓨터에서 원하는 자료의 이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서비스 프로토콜의 종류는 아래와 표와 같다.
서비스 프로토콜 이름
자원의 형태
HTTP
하이퍼텍스트 문서
FTP
다운로드가 가능한 파일
TELNET
원격지 컴퓨터로 로그인
NEWS
뉴스그룹
아래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쓰시오
1. TCP/IP :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형태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해 주는 공통 프로토콜로, 응용계층, 트랜스포트층, 인터넷층, 네트워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용계층은 사용자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요청을 받아 이를 메시지로 변환하고, 하위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트렌스포트층은 IP에 의하여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을 요구하는 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으로, TCP, UDP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인터넷계층은 전송계층에서 받은 패킷을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만을 고려한다.
2. FTTH : FTTH(Fiber To The Home)는 광섬유를 집 안으로까지 연결한다는 뜻으로, 초고속 인터넷 설비방식의 하나이다. FTTH는 광케이블을 가정까지 연결함으로써 기존 ADSL에 비해서 100배 이상 빠르고 안정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광섬유의 뛰어난 정보전달능력 때문에, 속도는 매우 빠르지만, 실제 설치를 할 때 광섬유는 휘거나 꺾기 곤란하다는 단점도 있다.
3. RSS : RSS(Really Simple Syndication)은 인터넷상 수없이 많은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것만 골라 서비스해주는 맞춤형 뉴스서비스를 말한다. 독자가 RSS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시눔ㄴ 사이트에 등록하면, 관련 뉴스가 자신의 RSS 리더파일에 모여지는 형식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4. PG(전자결제분야) : PG(Payment Gateway)는 신용카드사와 가맹점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곤란한 중소 쇼핑몰을 대신하여 카드사와 대표 가맹점 계약을 맺고, 신용카드 결제 및 지불을 대행한 뒤 하부 쇼핑몰에서 수수료를 받는 업체이다.
5. EFT : EFT(전자자금이체)는 은행거래에서 서비스 요금이나, 상품 대금을 직접 현금으로 지불하는 대신, 신용카드나 지로 등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 참고문헌
인터넷 정보기술과 e-비즈니스 - 윤한성 저, 두남, 2013
전자상거래와 e-비즈니스, 이동훈 저, 한빛아카데미, 2015
매일경제용어사전, 매일경제, 매경닷컴
네이버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인터넷 이해 - 최윤철, 임순범 저, 생능출판사, 2014
인터넷 정보기술과 통신의 이해 - 박종준 저, 그린(윤덕우), 2006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3.24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8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