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중심의 쓰기 교재 구성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나. 쓰기와 자기 조정성
다. 자기 조정 전략의 성격과 유형
라. 쓰기 과정별 자기 조정 요소

Ⅲ. 과정 중심 쓰기 교재 구성의 원리
1. 쓰기 교재 개발의 변인과 교재관
2. 쓰기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
3. 과정 중심 쓰기 교재 구성의 원리

본문내용

인지 과정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원리는 어느 단계에서든 '협동'이 중요하지만, 교사나 동료에 대한 의존도를 점차 줄여나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이 원리는 단원 전체 구성 원리에서도 적용될 수 있고, 하나의 차시를 구성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 절에서 살펴본 Harcourt사에서 나온 교재의 경우 한 차시 내에서 처음에는 '생각 및 토의(think and discuss)'라고 해서 앞쪽에서는 대체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터득하기 위해 협동을 강조하고, 뒤쪽의 적용 과정에서는 혼자서 활동을 하게 한 것도 이러한 원리를 반영한 예라 생각된다. 이 원리는 교사가 어느 정도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처음에는 동료간의 협의나 교사의 시범 등을 통해 교사나 동료가 개입하는 행위를 강조하고, 뒤쪽으로 갈수록 각 학생이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여지를 많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이다.
) 이 원리는 이른바 책임 이양 모형의 관점과 궤를 같이 한다. 즉, 처음에는 교사가 중심이 되고, 점차 학생으로 교수 학습의 책임을 이양하면서 결국에는 학생들의 교수 학습의 전적인 책임을 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 원리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노명완 등(1988) 참조.
4) 개별화의 원리
Selzer(1984: 281)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것처럼, 과정 중심 접근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학생들 각자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최대한 존중하는 것이다. 학생들 각자는 지능, 학습 능력, 흥미, 개성, 학습 속도, 인지 양식, 학습 양식 등에서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인다. 교과서를 구성할 때에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최대한 반영해야 할 것이다.
과정 중심 접근에서 흔히 범하고 있는 것은 모든 경우에 일련의 쓰기 과정을 체험해 보게 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과정에서 천편일률적으로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각 학생의 특성은 고려하지 않고 모든 경우에 똑같은 전략을, 똑같은 방법으로 제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한 편의 글을 쓰게 하는 경우에도 항상 일련의 쓰기 과정 전체를, 모든 학생들에게 강조할 필요가 있는지도 의문이다. 일련의 쓰기 과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대체로 쓰는 글이 어려운 경우나, 좀더 시간을 두고 쓰는 경우, 형식적인 면을 좀더 많이 요구하는 경우, 의식적인 측면이 강한 경우 등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어떤 학생들은 일련의 쓰기 과정을 거치게 하는 것이 오히려 방해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참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점을 고려해야 하겠지만, 학생들 스스로가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최대한 제공하여 학생들이 학습 활동에 좀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련의 순서대로 따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순서를 바꾸거나 재구성해서 사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아야 한다. 학생들 각자의 능력이나 관심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최대한 두어야 한다는 관점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수준별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의 정신에 부합된다고 하겠다.
예를 들어 내용 생성을 위한 전략으로 생각 떠올리기나 생각 그물 만들기 방법만을 제시하지 말고, 다양한 전략을 소개하며 이들 전략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최대한 글의 목적, 독자, 제재 등을 천편일률적으로 제시하지 말고, 최대한 학생들이 각자의 관심이나 능력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과정 중심의 쓰기 교재를 구안하고자 할 때에 유의할 필요가 있는 단원 및 차시 구성상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이들 원리는 각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얽혀져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들 간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그림 9 ] 단원 구성 원리들 간의 관계
단원 구성의 원리로 제시되어 있는 다섯 가지 원리들 간에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부분과 전체로의 원리와 부분과 전체의 연결 원리는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지 않으면 안 된다. 마찬가지로 차시 구성 원리들 간에도 서로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다. 예를 들어, 점검 및 통제의 원리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의 원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호작용의 원리를 강조하면 점검 및 통제 활동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탐구의 원리를 적용할 때에도 점검 및 통제의 원리를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한편 탐구의 원리는 상호작용의 원리를 반영함으로써 좀더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단원을 구성할 때, 이들 원리가 서로 상충됨이 없이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단원 구성 원리와 차시 구성 원리간에도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탐구의 원리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통합의 원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통합을 강조하면 그만큼 탐구를 촉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렇듯 단원의 구성 원리와 차시 구성의 원리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원리들끼리도 상관이 많지만, 단원 구성 원리와 차시 구성 원리간에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림에서는 ↔표로 표시함으로써 두 원리간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밖에도 과정 중심의 쓰기 교재를 구성할 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단원(차시)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많이 있을 것이다. 특히 인지와 정의적인 측면이 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할 때 대체로 앞쪽에서는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뒤쪽으로 갈수록 암시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점, 일반적인(공통적인) 전략에서 구체적인(특수한) 전략을 강조해야 한다는 점, 배우기 쉬운 전략에서 어려운 전략 순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점, 학습의 절차나 문제 해결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해야 한다는 점 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들 중에는 학습 '내용'을 선정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 많지만, 단원을 구성하는 '방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할 때, 단원 구성시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60페이지
  • 등록일2002.01.26
  • 저작시기20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