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언
Ⅱ. 종밀의 인간관형성의 사상적 배경
1. 불교사상의 중국화
1) 신불멸론의 인간관
2) 불성론의 중국적 변용
2. 불교에 의한 유학사상의 변용
Ⅲ. {원인론}의 사상적 성격과 인간관
1. {원인론} 성립의 배경
2. 본각진심의 인간관
3. 본각진심과 불성
Ⅳ. 결어
Ⅱ. 종밀의 인간관형성의 사상적 배경
1. 불교사상의 중국화
1) 신불멸론의 인간관
2) 불성론의 중국적 변용
2. 불교에 의한 유학사상의 변용
Ⅲ. {원인론}의 사상적 성격과 인간관
1. {원인론} 성립의 배경
2. 본각진심의 인간관
3. 본각진심과 불성
Ⅳ. 결어
본문내용
이들 神滅不滅의 논의와 佛性에 대한 논의는 초기중국불교의 인간이해의 틀을 보여주고 있고, 이후 계속된 중국화의 과정에서 그것은 중국불교 사유체계의 중요한 바탕이 된다. 그리고 그러한 중국불교 교학 발전의 정점에서, 불교의 입장에 서서 융합된 인간이해를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것으로서 종밀의 『원인론』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종밀의 인간론 이해에 그 중심을 이룬 것은 '本覺眞心'인데, 이것은 앞서 논의되었던 중국적 사유전통과 불교적 사유의 융합의 핵심 근거로서 종밀에 의해 제시된 개념이다. 본각진심은 인간의 근원으로서 상정된 것인데, 佛性, 如來藏, 心地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리워지며, 그 체는 무시이래로 본래부터 청정하여 밝아서 어둡지 않고 분명하게 항상 알고 있는 것이며, 미래세가 다하도록 常住하여 不滅하는 것이다.
) 『原人論』(大正藏45, p.710 上)
「一切有情 皆有本覺眞心 無始以來 常住淸淨 昭昭不昧 了了常知 亦名佛性 亦名如來藏」
『禪源諸詮集都序』(大正藏48, p.404 中)
「此敎說一切衆生 皆有空寂眞心 無始本來性自淸淨……明明不昧 了了常知 盡未來際 常住不滅 名爲佛性 亦名如來藏 亦名心地」
이들 명칭상의 다양함은 종밀이 불성이란 개념을 본각진심으로 전화시키는 과정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종밀은 불성이란 개념을 본각진심이라는 용어로 대치시키고, 거기에 상주블멸하는 체로서의 성격을 부여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본체론적 사고가 충실하게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중국적 사유전통을 불교적 개념인 불성에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예는 종밀이 『원인론』에서 儒道의 사상을 회통시키는 부분에서도 볼 수 있다. 즉,
氣質을 稟受하니(기운으로 근본이 되었다고 한 것을 회통한다), 기운은 곧 四大를 갖추어서 점차 모든 根이 이루어지고, 마음은 곧 四蘊을 갖추어서 점차로 모든 識이 이루어진다. 열달이 차서 출생하면 사람이라고 이름하니, 지금 우리의 몸과 마음이 그것이다. 두가지 종류가 화합해서 비로소 하나의 사람을 이루니, 天 修羅 등도 대개 이것과 같다.
…그러나 받은 바 기운을 파고들어서 근본을 추궁하면 곧 한덩어리인 元氣이며, 일어난 마음을 찾아 근본을 추궁하면 곧 眞一靈心이다. 실리에 입각해서 말한다면 마음밖에 달리 法이 없다. 元氣 또한 心의 변한 것에서 나온 것이다.
)『原人論』(大正藏45, p.
「稟氣受質(會彼所說以氣爲本)氣則頓具四大漸成諸根;心則頓具四蘊漸成諸識 十月滿足生來名人 卽我等今者身心是也 故知身心各有其本 二類和合方成一人 天修羅等大同於此 …然所稟之氣 展轉推本 卽混一之元氣也 所起之心 展轉窮源 卽眞一之靈心也」
이 인용에서 보면 종밀은 氣를 인간과 그 외의 天 修羅 등의 생성원인으로서 보고 있는 것이다. 또 근본을 추궁하면 混一의 元氣이며, 元氣 또한 心이 변한 것이라고 한다. 즉 氣와 心을 연결시켜 이해하고, 본각진심을 元氣를 포섭하는 것으로 규정함으로서 氣一元論的 사유를 회통시켜 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氣의 포섭은, 상주불멸이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각진심을 自性을 가진 것 즉 어떤 구체적인 것으로 파악하게 한다. 즉 본체론적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 본각진심을 본체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에 대해서는 이덕진,「보조지눌과 규봉종밀 사상의 同處와 不同處」(구산논집4, 2000) pp.146-164에서 폭넓게 논의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종밀이 『원인론』을 통해서 제시한 인간론은 불교본래적 사유와 중국전통적 사유의 접점위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그것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것은 종밀이 인간의 근원으로서 상정한 본각진심을 본체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들에서이다. 儒道 2교에서는 元氣로부터 천지 만물이 生한다고 주장하고
) 『原人論』(大正藏45, p. )
「儒道二敎說 人畜等類 皆是虛無大道 生成養育 謂道法自然 生於元氣 元氣生天地 天地生萬物」
, 종밀은 그것이 차별의 문제를 설명치 못하는 약점을 지적하여 인연과 업보로서 설명하여 회통하고 있다. 즉 儒道 2교의 설을 氣一元論으로 보고, 불교의 業說과 識說로서 그 해결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종밀은 여기서 나아가 본각진심안에 元氣를 포섭해 냄으로서 본체론적 사유에까지 이르고 있는 것이다.
결국 종밀은 佛性, 如來藏이었던 명칭을 本覺眞心(불교적사유체계를 통합해내는 사상적매개체로서 상정된)으로 대치하고, 그것을 인간의 근원에 상정한 다음, 儒道의 氣를 그 안에 포섭하는 형식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본론의 범위를 벗어나기는 하지만, 『都序』에서 종밀은 본각진심보다 더 진전된 개념을 사용한다. '知'가 그것인데, 종밀은 '知'를 佛性, 眞如와 의미가 같으면서도 더 動的인 의미로서 사용하고 있다. 종밀은 '知'를 선험적인 것으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본각진심을 인간의 근원으로 상정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본각진심에 능동성이 더 강하게 부여된 개념이 知라고 할 수 있다.
Ⅳ. 結語
종밀이 인간론의 근원으로서 상정하는 본각진심은 常住不滅이므로 달리 自我로도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것은 無我說에 위배되는 것인데, 수행실천의 근거로서 제시된 것이 상주불멸하는 주체적 존재로서 그리고 인간의 근원적 실재로서 본각진심이 설정된 것이다. 인도불교에서 예기치 않았던 神不滅의 사상이 중국불교의 초기에 주장되어야 했던 것과 동일한 선상에서 이루어진 설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불교 중국화의 결과가 종밀의 인간이해에 있어서도 그대로 노정된 것이다. 다만 그것이 종밀에게서는 훨씬 더 현실긍정적이고 실재적인 방향으로 강화되었고, 그것은 불성을 본각진심으로 전화시키고 있는 것에서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본각진심을 상정하게 된 배경에는 현세와 인간을 중심에 놓고 있는 중국적 사유전통과의 융화라는 중국불교의 고민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끝으로, 『원인론』에 나타난 인간관 성립의 또 다른 중요한 배경으로 頓悟사상과 그 종합으로서의 남종선이 있다. 함께 다루는 것이 논의의 전개상 타당하지만, 佛性사상의 변천을 통한 중국불교의 인간 이해에 초점을 두려는 의도에서 다음 기회로 미루고 논하지 않았다는 점을 밝혀둔다.
앞서 살펴본 종밀의 인간론 이해에 그 중심을 이룬 것은 '本覺眞心'인데, 이것은 앞서 논의되었던 중국적 사유전통과 불교적 사유의 융합의 핵심 근거로서 종밀에 의해 제시된 개념이다. 본각진심은 인간의 근원으로서 상정된 것인데, 佛性, 如來藏, 心地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리워지며, 그 체는 무시이래로 본래부터 청정하여 밝아서 어둡지 않고 분명하게 항상 알고 있는 것이며, 미래세가 다하도록 常住하여 不滅하는 것이다.
) 『原人論』(大正藏45, p.710 上)
「一切有情 皆有本覺眞心 無始以來 常住淸淨 昭昭不昧 了了常知 亦名佛性 亦名如來藏」
『禪源諸詮集都序』(大正藏48, p.404 中)
「此敎說一切衆生 皆有空寂眞心 無始本來性自淸淨……明明不昧 了了常知 盡未來際 常住不滅 名爲佛性 亦名如來藏 亦名心地」
이들 명칭상의 다양함은 종밀이 불성이란 개념을 본각진심으로 전화시키는 과정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종밀은 불성이란 개념을 본각진심이라는 용어로 대치시키고, 거기에 상주블멸하는 체로서의 성격을 부여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본체론적 사고가 충실하게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중국적 사유전통을 불교적 개념인 불성에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예는 종밀이 『원인론』에서 儒道의 사상을 회통시키는 부분에서도 볼 수 있다. 즉,
氣質을 稟受하니(기운으로 근본이 되었다고 한 것을 회통한다), 기운은 곧 四大를 갖추어서 점차 모든 根이 이루어지고, 마음은 곧 四蘊을 갖추어서 점차로 모든 識이 이루어진다. 열달이 차서 출생하면 사람이라고 이름하니, 지금 우리의 몸과 마음이 그것이다. 두가지 종류가 화합해서 비로소 하나의 사람을 이루니, 天 修羅 등도 대개 이것과 같다.
…그러나 받은 바 기운을 파고들어서 근본을 추궁하면 곧 한덩어리인 元氣이며, 일어난 마음을 찾아 근본을 추궁하면 곧 眞一靈心이다. 실리에 입각해서 말한다면 마음밖에 달리 法이 없다. 元氣 또한 心의 변한 것에서 나온 것이다.
)『原人論』(大正藏45, p.
「稟氣受質(會彼所說以氣爲本)氣則頓具四大漸成諸根;心則頓具四蘊漸成諸識 十月滿足生來名人 卽我等今者身心是也 故知身心各有其本 二類和合方成一人 天修羅等大同於此 …然所稟之氣 展轉推本 卽混一之元氣也 所起之心 展轉窮源 卽眞一之靈心也」
이 인용에서 보면 종밀은 氣를 인간과 그 외의 天 修羅 등의 생성원인으로서 보고 있는 것이다. 또 근본을 추궁하면 混一의 元氣이며, 元氣 또한 心이 변한 것이라고 한다. 즉 氣와 心을 연결시켜 이해하고, 본각진심을 元氣를 포섭하는 것으로 규정함으로서 氣一元論的 사유를 회통시켜 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氣의 포섭은, 상주불멸이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각진심을 自性을 가진 것 즉 어떤 구체적인 것으로 파악하게 한다. 즉 본체론적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 본각진심을 본체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에 대해서는 이덕진,「보조지눌과 규봉종밀 사상의 同處와 不同處」(구산논집4, 2000) pp.146-164에서 폭넓게 논의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종밀이 『원인론』을 통해서 제시한 인간론은 불교본래적 사유와 중국전통적 사유의 접점위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그것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것은 종밀이 인간의 근원으로서 상정한 본각진심을 본체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들에서이다. 儒道 2교에서는 元氣로부터 천지 만물이 生한다고 주장하고
) 『原人論』(大正藏45, p. )
「儒道二敎說 人畜等類 皆是虛無大道 生成養育 謂道法自然 生於元氣 元氣生天地 天地生萬物」
, 종밀은 그것이 차별의 문제를 설명치 못하는 약점을 지적하여 인연과 업보로서 설명하여 회통하고 있다. 즉 儒道 2교의 설을 氣一元論으로 보고, 불교의 業說과 識說로서 그 해결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종밀은 여기서 나아가 본각진심안에 元氣를 포섭해 냄으로서 본체론적 사유에까지 이르고 있는 것이다.
결국 종밀은 佛性, 如來藏이었던 명칭을 本覺眞心(불교적사유체계를 통합해내는 사상적매개체로서 상정된)으로 대치하고, 그것을 인간의 근원에 상정한 다음, 儒道의 氣를 그 안에 포섭하는 형식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본론의 범위를 벗어나기는 하지만, 『都序』에서 종밀은 본각진심보다 더 진전된 개념을 사용한다. '知'가 그것인데, 종밀은 '知'를 佛性, 眞如와 의미가 같으면서도 더 動的인 의미로서 사용하고 있다. 종밀은 '知'를 선험적인 것으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본각진심을 인간의 근원으로 상정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본각진심에 능동성이 더 강하게 부여된 개념이 知라고 할 수 있다.
Ⅳ. 結語
종밀이 인간론의 근원으로서 상정하는 본각진심은 常住不滅이므로 달리 自我로도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것은 無我說에 위배되는 것인데, 수행실천의 근거로서 제시된 것이 상주불멸하는 주체적 존재로서 그리고 인간의 근원적 실재로서 본각진심이 설정된 것이다. 인도불교에서 예기치 않았던 神不滅의 사상이 중국불교의 초기에 주장되어야 했던 것과 동일한 선상에서 이루어진 설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불교 중국화의 결과가 종밀의 인간이해에 있어서도 그대로 노정된 것이다. 다만 그것이 종밀에게서는 훨씬 더 현실긍정적이고 실재적인 방향으로 강화되었고, 그것은 불성을 본각진심으로 전화시키고 있는 것에서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본각진심을 상정하게 된 배경에는 현세와 인간을 중심에 놓고 있는 중국적 사유전통과의 융화라는 중국불교의 고민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끝으로, 『원인론』에 나타난 인간관 성립의 또 다른 중요한 배경으로 頓悟사상과 그 종합으로서의 남종선이 있다. 함께 다루는 것이 논의의 전개상 타당하지만, 佛性사상의 변천을 통한 중국불교의 인간 이해에 초점을 두려는 의도에서 다음 기회로 미루고 논하지 않았다는 점을 밝혀둔다.
키워드
추천자료
나의 인간관과 교육관의 관계-인간본성(성선설, 성악설 등)에 따른 교육관의 고찰
스키너와 로저스의 인간관
논문 <에리히 프롬의 인간관>감상문
프로이드와 프롬의 인간관과 유전론과 환경론이 미치는 영향
교육철학 - 실존주의의인간관과교육
정신분석상담이론과 인간중심상담이론의 인간관, 상담목표, 상담과정
일반체계이론(인간관,기본가정,주요개념,이론발달,실천적용,사례분석)보고서
중앙-인간행동과사회환경-Freud와 Jung의 인간관
주자학의 인간관과 정치사상 조사분석
니체 무신론적 인간관
교육의 의미와 인간관
상담이론들중에서관심있는이론선택후 창시자,인간관,상담목표 간단히설명 후왜그이론에관심이...
인본주의 이론에서 가정하는 인간관과 기본가정들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정신분석이론 (인간관, 기본가정, 개념, 심리성적 발달단계,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Fr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