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어록 언어연구 현황과 과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선종 어록에 관하여

2.일본의 연구 현황

3.중국의 연구 현황
3.1 대륙의 연구 현황
3.2 대만의 연구 현황

4.한국의 연구 현황

5.우리의 과제
5.1 선학의 저변 확대를 위한 몇가지 방안
5.2 선종 어록 언어 연구 수준을 높이기 위한 몇가지 방안

본문내용

로, 금년 3월부터 "무불 禪學大學院"이 2년 과정으로 개설되었으며, 延世大學校 사이버 강의 과정(비학위 과정)으로 금년 5월부터 12주 기간 예정으로 <동양 문화와 禪>(담당:신규탁 교수)이 개설된 바, 현재의 인터넷 講座는 물론, 禪學에 관해 관심이 있는 일반인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夏季. 冬季 방학 기간등을 이용하여, 禪學에 관한 定期 강좌를 개설하도록 한다.
7)禪學 관련 國內.國際 세미나 개최:
主題를 선정하여 우선 國內 세미나를 매년 1회 개최하여 내실을 쌓은 후,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隔年에 1회 정도로 國際 세미나를 개최하여 日本. 中國의 관련 學會와 교류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것들은 어느 한 두 사람이 할 수 없기 때문에, 禪學 硏究者들이 서로 업무를 분담하여 추진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된다.
5.2 禪宗 語錄 言語 硏究 수준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방안
1)출간된 禪宗 語錄 번역에 대한 정확성 검토 및 問題點 분석:
예를 들면, 最近 完刊된 <<한글 大藏經>>(東國大 譯經院) 가운데 <<祖堂集>>.<<景德傳燈錄>>등과 <<禪林古鏡叢書>>(藏經閣) 가운데의 <<碧巖錄>>. <<雲門錄>>등과 지금 까지 적지 않은 번역본이 출간된 <<六祖壇經>>등 모든 禪宗 語錄 번역본에 대한 판본 및 번역의 정확성을 검토하고 問題點을 분석하여 修正. 補完하여야 할 것이다.
2)禪宗 語錄 言語 入門書.讀本 간행:
현재 袁賓의 <<禪宗語言和文獻>>.<<禪語譯註>>등을 번역 중이며, 이외에도 日本. 中國 등지에서 출간된 관련 入門書. 讀本을 번역.소개하여야 할 것이고, 아울러 日本 및 국내의 禪語錄을 읽기 위한 별도의 入門書와 讀本등을 정리.출간해야 한다.
3)禪宗 語錄 譯註本 출간:
우선 국내에서 출간된 禪宗 語錄의 번역(譯註) 현황을 파악한 후, 장기적인 계획으로 原文을 게재한 對譯本을 출간한다. 이 때 판본등의 문제를 세밀히 검토한다.
*최근(2000.4) "禪語錄硏究會"(회장: 중앙승가대 종범 스님)가 결성되어, <<敦煌新本 六祖壇經>>을 읽고 있는데, 2001년 예정으로 對譯本을 출간할 예정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禪宗 語錄 對譯本을 출간할 예정임.
4)禪宗 語錄 言語 관련 辭典 간행:
우선 一種의 禪宗 語錄에 출현한 모든 어휘를 풀이한 <<語彙 辭典>>을 간행하면서, 장기적으로는 <<禪宗 語錄 辭典>>. <<禪宗 語錄 虛詞 辭典>>등을 기획.출간한다.
*"禪語錄硏究會"에서 2001년 목표로 우선 <<六祖壇經 語彙 辭典>>을 출간할 예정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관련 言語 辭典을 간행할 계획임.
5)佛敎 및 禪宗 語錄 言語 관련 國內.國際 세미나 개최:
禪學 관련 세미나에 言語 분야의 發表 및 討論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學界에 촉구하며(지금까지는 全無함), 또한 言語만을 주제로 國內 세미나를 1년에 1회 개최하여 관련 학자들이 서로 의견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연구 성과를 논문집으로 정리하여 간행한다. 또한 어느 정도 내실을 기한 후, 中國. 日本의 관련 學者들과 함께 정기적으로 國際 세미나를 개최하여, 우리의 水準을 높인다.
※ 主要 參考 文獻
(*표시는 본문 작성시 참고한 影印本임)
高名凱(1948) <唐代禪宗語錄所見的語法成分>,<<燕京學報>>34: 49-84
蔣紹愚(1994) <<近代漢語硏究槪況>> 北京:北京大學出版社
江藍生(1994) <試述呂叔湘先生對近代漢語硏究的貢獻>,<<中國語文>>1994-1:16-21
張相 (1953) <<詩詞曲語辭匯釋>> 北京:中華書局 (* 臺北;世界書局 1962)
蔣禮鴻(1988) <<敦煌變文字義通釋>> [第4次增訂本] 上海:上海古籍出版社
王瑛(1990) <<唐宋筆記語辭匯釋>> 北京:中華書局
劉堅 (1982) <古代白話文獻槪述>,<<語文硏究>>1982-1:97-104
王力 (1958) <<漢語史稿>>(修訂本) 北京:科學出版社 *香港:波文書局(출판년도 未記載)
(1989) <<漢語語法史>> 北京:商務印書館
何金松(1994) <<虛詞歷時詞典>> 武漢:湖北人民出版社
劉堅等四人(1992) <<近代漢語虛詞硏究>> 北京:語文出版社
呂叔湘(1955) <<漢語語法論文集>> 北京:科學出版社
(1984) <<漢語語法論文集>>[增訂本] 北京:商務印書館
蔣冀騁.吳福祥(1997) <<近代漢語綱要>> 長沙:湖南敎育出版社
袁賓(1990) [編] <<禪宗著作詞語匯釋>> 南京:江蘇古籍出版社
(1992) <<近代漢語槪論>> 上海:上海敎育出版社
(1992) [編] <<禪宗語錄大觀>> 南昌:百花洲文藝出版社
(1994) [主編] <<禪宗詞典>> 武漢:湖北人民出版社
(1995) <<禪宗語言和文獻>> 南昌:江西人民出版社(署名:于谷)
(1999) <<禪語譯註>> 北京:語文出版社
胡竹安等 3명 (1992) [編] <<近代漢語硏究>> 北京:商務印書館
蔣紹愚, 江藍生 (1999) [編] <<近代漢語硏究(二)>> 北京:商務印書館
江藍生.曺廣順[編](1997) <<唐五代語言詞典>> 上海:上海敎育出版社
袁賓 等四人[編] (1997) <<宋語言詞典>> 上海:上海敎育出版社
曺廣順(1995) <<近代漢語助詞>> 北京:語文出版社
王錦慧 (1993) <<敦煌變文語法硏究>> 臺北:臺灣師範大學國文硏究所碩士論文
吳福祥(1996) <<敦煌變文語法硏究>> 長沙:岳麓書社
張美蘭(1998) <<禪宗語言槪論>> 臺北:五南圖書出版公司
周裕 (1999) <<禪宗語言>> 杭州:浙江人民出版社
印順(1971) <<中國禪宗史>> 臺北:自印
柳田聖山 [編] 1980--84 <<祖堂集索引>>(上.中.下 三冊) 京都: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禪籍俗言語硏究會[編] <<俗言語硏究>>1(1993),2(1995),3(1996),4(1997)5(1998)
田中良昭[編](1994) <<禪學硏究入門>> 東京:大東出版社
宋寅聖(1996) <<"祖堂集"虛詞 硏究>> 臺北:中國文化大學中文硏究所博士論文
朴英綠(1997) <<"祖堂集"意味虛化動詞硏究>> 서울: 成均館大學校 中文科 博士 論文
張皓得(1999) <<"祖堂集"否定詞之邏輯與語義硏究>> 臺北:政治大學中文硏究所 博士論文
李哲敎.一指.辛奎卓 [編纂] (1995) <<禪學辭典>> 서울:佛地社
鄭性本(1991) <<中國禪宗의 成立史 硏究>> 서울:民族社

키워드

한국,   일본,   중국,   대륙,   과제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01.29
  • 저작시기20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