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 현 황
2 . 원인 분석
3 . 대 책
4 . 관련 기술
5 . 결 론
2 . 원인 분석
3 . 대 책
4 . 관련 기술
5 . 결 론
본문내용
압 (부하량의 불균형)
<그림 6>
▶각 상과 중성점 N과의 임피던스는 A상의 부하와 B상의 부하에 반비례하는 임피던스가 직렬로 되어 380V 연결된 것과 같다.
라) 상별 저항차에 의한 이상전압의 발생
<그림 7>
마) A상 부하에 인가 전압
{ V}_{ A}=V TIMES { { Z}_{B } } over { { Z}_{A }+ { Z}_{B } }=380 TIMES { { 1} over {3 }Z } over { { 1} over {3 }Z +Z }=380 TIMES { 1} over {4 }= 95V
▶B상 부하에 인가전압
{ V}_{ B}=V TIMES { { Z}_{ A} } over { { Z}_{ A}+ { Z}_{ B} }=380 TIMES { Z} over { { 1} over {3 }Z +Z }=380 TIMES { 3} over {4 }=285V
V : 선간전압
Z= { Z}_{B }=B상의 부하 임피던스
{ Z}_{A } : A상의 부하 임피던스
바) 중성선 단선시의 이상전압 발생정도
▶ 부하가 평형되게 분배되었을 경우 1ψ3선식에서는 각상 전압의 변동이 없이 220V로 되게 되지만 3ψ4선식의 경우는 평형부하인 경우에도 전압이 변하게 되며 중성선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220V로 중성선과 양측전압선간의 전압이 220V로 동일하지만 중성선이 단선되면 중성선과 양측 전압선간의 전압이 모두 190V로 저하하게 되어 사고를 유발하지는 않게 되지만 부하 개폐의 시차 등으로 불평형이 발생하게 되며 경부하측 부하의 단선등으로 점점 불평형은 심화되게 되고 종래에는 경부하측 기기가 거의 모두 손상되게 될 것이다.
▶ 펑형부하배분의 경우
- 평상시 N - A = 220
N - B = 220
- 중성선 개방시 N - A = 190
N - B = 190
<그림 8 3ψ4W식 배전>
▶ 평형부하 배분의 경우
- 평상시 N - A = 220V
N - B = 220V
- 중성선 단선시 N - A = 220V
N - B = 220V
<그림 9 1∮3W식>
▶ 1∮3선식의 a′b′의 부하분배가 3∮4선식과 같은 조건 즉 3 : 1로 될 경우 전압 불평형은 아래와 같다.
{ V}_{a }′=440 TIMES { 1} over {4 }=110V
{ V}_{b }′=440 TIMES { 3} over {4 } =330V
즉 1∮3W식의 경우 3∮4W식의 경우 보다 큰 이상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5 . 결 론
ATS는 한전정전 등 대개의 경우 비상시에 절체되게 되며 예고없이 절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접지극에 접촉 불량이 생기면 심한 전압 불평형으로 당황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우선 조명설비에 심한 변화(밝고 어둡고)하게 되므로 이런 경우는 중성선 고장으로 판단하고 전원을 내린 후 침착하게 확인하여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며 ATS등 개폐기는 접지극이 전압극보다 먼저 투입되고 늦게 개방되어 접지극에서는 arc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타입의 개발품을 채택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6>
▶각 상과 중성점 N과의 임피던스는 A상의 부하와 B상의 부하에 반비례하는 임피던스가 직렬로 되어 380V 연결된 것과 같다.
라) 상별 저항차에 의한 이상전압의 발생
<그림 7>
마) A상 부하에 인가 전압
{ V}_{ A}=V TIMES { { Z}_{B } } over { { Z}_{A }+ { Z}_{B } }=380 TIMES { { 1} over {3 }Z } over { { 1} over {3 }Z +Z }=380 TIMES { 1} over {4 }= 95V
▶B상 부하에 인가전압
{ V}_{ B}=V TIMES { { Z}_{ A} } over { { Z}_{ A}+ { Z}_{ B} }=380 TIMES { Z} over { { 1} over {3 }Z +Z }=380 TIMES { 3} over {4 }=285V
V : 선간전압
Z= { Z}_{B }=B상의 부하 임피던스
{ Z}_{A } : A상의 부하 임피던스
바) 중성선 단선시의 이상전압 발생정도
▶ 부하가 평형되게 분배되었을 경우 1ψ3선식에서는 각상 전압의 변동이 없이 220V로 되게 되지만 3ψ4선식의 경우는 평형부하인 경우에도 전압이 변하게 되며 중성선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220V로 중성선과 양측전압선간의 전압이 220V로 동일하지만 중성선이 단선되면 중성선과 양측 전압선간의 전압이 모두 190V로 저하하게 되어 사고를 유발하지는 않게 되지만 부하 개폐의 시차 등으로 불평형이 발생하게 되며 경부하측 부하의 단선등으로 점점 불평형은 심화되게 되고 종래에는 경부하측 기기가 거의 모두 손상되게 될 것이다.
▶ 펑형부하배분의 경우
- 평상시 N - A = 220
N - B = 220
- 중성선 개방시 N - A = 190
N - B = 190
<그림 8 3ψ4W식 배전>
▶ 평형부하 배분의 경우
- 평상시 N - A = 220V
N - B = 220V
- 중성선 단선시 N - A = 220V
N - B = 220V
<그림 9 1∮3W식>
▶ 1∮3선식의 a′b′의 부하분배가 3∮4선식과 같은 조건 즉 3 : 1로 될 경우 전압 불평형은 아래와 같다.
{ V}_{a }′=440 TIMES { 1} over {4 }=110V
{ V}_{b }′=440 TIMES { 3} over {4 } =330V
즉 1∮3W식의 경우 3∮4W식의 경우 보다 큰 이상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5 . 결 론
ATS는 한전정전 등 대개의 경우 비상시에 절체되게 되며 예고없이 절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접지극에 접촉 불량이 생기면 심한 전압 불평형으로 당황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우선 조명설비에 심한 변화(밝고 어둡고)하게 되므로 이런 경우는 중성선 고장으로 판단하고 전원을 내린 후 침착하게 확인하여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며 ATS등 개폐기는 접지극이 전압극보다 먼저 투입되고 늦게 개방되어 접지극에서는 arc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타입의 개발품을 채택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