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스피도미터 케이블의 회전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빛이 차단되며, 이로 인해 포토 트랜지스터가 ON, OFF 가 되어 신호가 만들어진다. ●전자식 차속센서 앞서 설명한 두가지와는 달리, 트랜스미션에 설치되어 있고, 차속센서에는 마그네트와 IC가 내장되어 있다. 트랜스미션에 스피도미터나 미터 드블링 기어의 회전은 회전축을 통하여, 마그네트로 전달되고, 마그네트의 회전은 자계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것을 IC로 감지하여 차속을 검출한다.
차속 센서 시그널 특성은 아래 그래프와 같다. 차속 센서의 전압 특성 : 홀 타입1. 리드 스위치 타입 : 0 - 12 / 0 - 5 볼트 2. 홀 타입 : 0 - 5 / 0 - 12 볼트 3. 마그네틱 타입 : 0 - 40 볼트 (속도에 가변)
< 차속 센서의 회로도 : 리드 타입(좌)/홀 타입(중)/마그네틱 타입(우) >이 차속 시그널을 통하여 단순히 차속 뿐만 아니라 주행 중인가 아니면 정지중인 가를 ECU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단순히 일정시간에 차속 센서가 몇 번 나오는가를 계산해서 차속을 계산하며 이 때 엔진 회전수를 고려하여 수동차량의 경우 몇 단인지를 알게 하고 자동기어의 차량에서는 기어가 시프트하는데 필요한 차속을 알려주는데 사용한다. 이중에서 다음과 같은 응용에 의해서 이 차속센서의 고장인 경우 발생되는 문제를 유추할 수 있다. 1. ECU는 차량이 정지중일 때는 공회전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서 ISC밸브를 넓은 폭으로 열었다 닫았다 한다. 반대로 주행중일 때는 좁은 폭으로 한다. 이는 주행중일 때 넓은 폭으로 하게 되면 수동차량의 경우, 내리막길에서 기어를 넣고 감속할 때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 내려오게 되는데 엔진은 엔진브레이크로 돌아가기 때문에 엔진회전수가 공회전보다 높게 되고 그러면 ISC밸브를 계속 닫아주어 크럿치를 밟으면 공기가 부족해서 공회전이 심하게 부조하거나 시동이 꺼지게 된다. 그래서 주행중일 때를 구분해 이 때는 엔진의 부조가 있어도 많이 ISC밸브를 닫거나 열지 않는다.2. 차량이 수동 기어인 경우 급 가속을 할 때 몇 단에서 가속했는가에 따라 몸에 느끼는 충격이나 가속 감이 큰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각 단별로 이러한 충격과 가속감을 좋게 하기 위해서 차속과 엔진 회전수를 고려해 각 단을 판정하게 한다. 3. 차량이 자동 기어인 경우 가속페달을 얼마나 밟았는 가와 그 때의 차속이 얼마인가를 고려해서 적당한 기어 단수가 물리도록 한다
차속 센서 시그널 특성은 아래 그래프와 같다. 차속 센서의 전압 특성 : 홀 타입1. 리드 스위치 타입 : 0 - 12 / 0 - 5 볼트 2. 홀 타입 : 0 - 5 / 0 - 12 볼트 3. 마그네틱 타입 : 0 - 40 볼트 (속도에 가변)
< 차속 센서의 회로도 : 리드 타입(좌)/홀 타입(중)/마그네틱 타입(우) >이 차속 시그널을 통하여 단순히 차속 뿐만 아니라 주행 중인가 아니면 정지중인 가를 ECU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단순히 일정시간에 차속 센서가 몇 번 나오는가를 계산해서 차속을 계산하며 이 때 엔진 회전수를 고려하여 수동차량의 경우 몇 단인지를 알게 하고 자동기어의 차량에서는 기어가 시프트하는데 필요한 차속을 알려주는데 사용한다. 이중에서 다음과 같은 응용에 의해서 이 차속센서의 고장인 경우 발생되는 문제를 유추할 수 있다. 1. ECU는 차량이 정지중일 때는 공회전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서 ISC밸브를 넓은 폭으로 열었다 닫았다 한다. 반대로 주행중일 때는 좁은 폭으로 한다. 이는 주행중일 때 넓은 폭으로 하게 되면 수동차량의 경우, 내리막길에서 기어를 넣고 감속할 때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 내려오게 되는데 엔진은 엔진브레이크로 돌아가기 때문에 엔진회전수가 공회전보다 높게 되고 그러면 ISC밸브를 계속 닫아주어 크럿치를 밟으면 공기가 부족해서 공회전이 심하게 부조하거나 시동이 꺼지게 된다. 그래서 주행중일 때를 구분해 이 때는 엔진의 부조가 있어도 많이 ISC밸브를 닫거나 열지 않는다.2. 차량이 수동 기어인 경우 급 가속을 할 때 몇 단에서 가속했는가에 따라 몸에 느끼는 충격이나 가속 감이 큰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각 단별로 이러한 충격과 가속감을 좋게 하기 위해서 차속과 엔진 회전수를 고려해 각 단을 판정하게 한다. 3. 차량이 자동 기어인 경우 가속페달을 얼마나 밟았는 가와 그 때의 차속이 얼마인가를 고려해서 적당한 기어 단수가 물리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