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 의 (Definition)
2. 병 인 (Pathogenesis)
3. 증 상 (Symptom)
4. 풍진검사, 풍진예방진
5. 진 단 (Diagnosis)
6. 진단법
7. 예 후
8. 예 방 (MMR 백신)
2. 병 인 (Pathogenesis)
3. 증 상 (Symptom)
4. 풍진검사, 풍진예방진
5. 진 단 (Diagnosis)
6. 진단법
7. 예 후
8. 예 방 (MMR 백신)
본문내용
나라에서는 생후 12개월 - 15개월과 4세 - 6세에 홍역, 볼거리, 풍진 세 가지를 함께 예방접종하므로 이 예방주사를 맞은 사람은 다시 풍진 예방접종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에 홍역, 볼거리, 풍진 예방접종을 시작하였고 1982년에야 예방접종이 본격적으로 널리 시행되어 그보다 일찍 태어난 사람은 풍진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없는 경우가 많다.
풍진 예방접종을 해야하는 사람
1. 1978년 이전에 태어난 가임기 여성
우리나라 가임여성의 20% - 30%는 풍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없다. 즉 가임여성의 20% - 30%는 풍진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에 풍진예방접종이 도입된 1978년 이전에 태어난 사람은 풍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풍진 예방접종을 해야한다.
2. 가임여성은 아니지만 풍진에 걸리기 쉬운 사람
탁아소에 종사하는 사람, 선생님, 대학생, 군인, 의료인
풍진 예방접종을 하지 말아야 하는 사람
1. 임신중인 사람
2. 항생제 네오마이신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
3. 열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4. 달걀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
5. 면역결핍 환자
선천성 또는 후천성 면역결핍 질환, 백혈병, 림프종 및 기타 악성질환이 있을 때(단 후천성 면역결핍증-에이즈-감염자는 금기가 아닙니다.)
6. 면역억제제를 투여한 지 3개월이 지나지 않은 사람
7. 면역글로불린, 혈액, 또는 혈청을 주사한지 3개월이 지나지 않은 사람
풍진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풍진 예방주사는 풍진바이러스를 약하게 만든 것이다. 풍진 예방접종 후에 선천성 풍진 증후군에 걸린 사람은 아직 없지만 이론상으로는 풍진 예방접종후에 곧 임신하면 선천성 풍진 증후군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예방접종후 3개월동안은 피임하여야 한다.
풍진 예방접종의 부작용
미열, 피부발진, 림프절종창, 상기도 감염증상이 나타나는 수가 있으며 관절통, 일시적인 관절염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부작용은 어린이보다는 나이든 사람에서 흔히 나타나지만 대부분 저절로 좋아진다.
그 외에 드물게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일시적인 이상감각, 팔다리의 통증과 말초신경염 증상, 중추신경계 합병증, 혈소판 감소증, 혈관염, 근염 등이 있다.
풍진의 추가 예방접종
풍진 예방접종후 생긴 항체가 서서히 줄어들기는 하지만 풍진에 대한 면역력이 줄어들지는 않으므로 풍진 예방주사를 맞은 지 오래 지나도 추가접종은 필요하지 않다.
풍진 예방접종을 해야하는 사람
1. 1978년 이전에 태어난 가임기 여성
우리나라 가임여성의 20% - 30%는 풍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없다. 즉 가임여성의 20% - 30%는 풍진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에 풍진예방접종이 도입된 1978년 이전에 태어난 사람은 풍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풍진 예방접종을 해야한다.
2. 가임여성은 아니지만 풍진에 걸리기 쉬운 사람
탁아소에 종사하는 사람, 선생님, 대학생, 군인, 의료인
풍진 예방접종을 하지 말아야 하는 사람
1. 임신중인 사람
2. 항생제 네오마이신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
3. 열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4. 달걀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
5. 면역결핍 환자
선천성 또는 후천성 면역결핍 질환, 백혈병, 림프종 및 기타 악성질환이 있을 때(단 후천성 면역결핍증-에이즈-감염자는 금기가 아닙니다.)
6. 면역억제제를 투여한 지 3개월이 지나지 않은 사람
7. 면역글로불린, 혈액, 또는 혈청을 주사한지 3개월이 지나지 않은 사람
풍진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풍진 예방주사는 풍진바이러스를 약하게 만든 것이다. 풍진 예방접종 후에 선천성 풍진 증후군에 걸린 사람은 아직 없지만 이론상으로는 풍진 예방접종후에 곧 임신하면 선천성 풍진 증후군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예방접종후 3개월동안은 피임하여야 한다.
풍진 예방접종의 부작용
미열, 피부발진, 림프절종창, 상기도 감염증상이 나타나는 수가 있으며 관절통, 일시적인 관절염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부작용은 어린이보다는 나이든 사람에서 흔히 나타나지만 대부분 저절로 좋아진다.
그 외에 드물게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일시적인 이상감각, 팔다리의 통증과 말초신경염 증상, 중추신경계 합병증, 혈소판 감소증, 혈관염, 근염 등이 있다.
풍진의 추가 예방접종
풍진 예방접종후 생긴 항체가 서서히 줄어들기는 하지만 풍진에 대한 면역력이 줄어들지는 않으므로 풍진 예방주사를 맞은 지 오래 지나도 추가접종은 필요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