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의 밤- 김동환 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핵심 정리

2.시의 구성 : 전 3부 72장의 장편 서사시

3.작품의 이해와 감상

4.연구 문제

5.내용 분석

본문내용

'국경의 밤'은 여러 모로 앨프레드 테니슨의 '이노크·아덴'이라는 시를 한국적으로 변용한 듯한 인상이 짙다. 테니슨의 시에는 남편이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아 죽은 것으로 믿고 어린 시절의 친구와 결합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옛 친구의 사랑을 거절하는 것으로 귀결되어 한국적 정절이 강조된 점이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재가승의 딸 순이의 '운명'이 의미하는 바에 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옛날 함경도 북쪽에는 여진(女眞)의 무리가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고려 때 여진 정벌로 인해 이들의 평화는 깨어지고 종의 신분으로 전락하게 된다. 그 후 그들은 천민 집단으로 고립되어 재가승이라 불렀다. 순이는 바로 재가승의 딸이었다. 이러한 수난의 역사를 지닌 종족의 후예라는 특이한 신분을 지닌 순이는 곧 일제에 의해 나라를 빼앗기고 식민지로 전락한 우리 민족의 당대적 현실을 반영하는 인물로 이해된다.
▶ <국경의 밤>이 사회적 이념과 민족적 의식의 세계를 그리려 했다면, 그것은 서사시로서의 면모를 어느 정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작품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남편의 죽음은 식민지 상황에서의 민족적 슬픔을 부각시키기에는 너무나 작위적이다.
1, 2부에서 전반적으로 주도되는 애정 문제의 통속적 주제에, 3부에서 펼쳐지는 순이의 애정 거부(이는 전통적 윤리 의식과 맥을 같이한다.)라는 이야기의 전개는 민족 문제와는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사회 의식과도 전혀 거리가 먼 것이다. 그러다 갑자기 찾아온 남편의 죽음이라는 상황만으로 일제하 식민 지배의 통한과 비극을 암시하려 했다면 그것은 너무나도 작위적일 수밖에 없다. 결국 <국경의 밤>은 통속적 애정 행각이 주를 이루는 장편 서술시의 성격을 띠고 있을 뿐이다. 청년이 지하 운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의 제시만으로 집단의 운명을 걸머진 주인공의 모습으로 볼 수도 없다. 지하 운동의 내용이 소개되지도 않으면서 의도적으로 그러한 상황을 장식적으로 그려 넣어 사회 의식과 연관짓는 것이야말로 이 시가 가지는 명백한 한계로 지적된다. 다시 말하면 김동환이 의도한 것은 소설적 구성을 가지는 장시의 제작이었다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연구 문제
1. 제1-5장은 『국경의 밤』의 발단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배경과 극적 상황이 성공적으로 제시되었다고 하는데, 그것은 어떤 분위기에서 연유한 것인지 30-40자 정도로 쓰라.
▶ 무슨 일인가 일어날 듯한 공포감, 불안감을 조성하는 긴장된 분위기
2. (1)주인공인 젊은 아낙네의 심리 상태를 쓰고, (2)그러한 감정이 이입된 소재를 찾아 쓰라.
▶ ① 불안, 초조 ② 어유 등잔
3. 이 시에 나오는 인물들을 통해 시인이 의도적으로 보여 주고자 한 것을 당대의 현실과 관련지어 50자 내외로 설명해 보라.
▶ 식민지 시대의 참담한 민족 현실과 쫓기는 자, 소외된 자의 비극적 좌절의 체험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4. 이 시가 서사시적 특성을 보여 주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
▶ ① 시적 자아가 이야기꾼으로 등장, 사건을 객관적으로 서술
② 사건이 인과관계에 따른 플롯에 의해 극적으로 전개
③ 배경, 인물, 사건이 있고 일정한 스토리(story)가 전개됨
5. 이 시의 공간적 배경은 어디이며 그것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는 ?
▶ ① 배경 : 두만강 유역 국경지방
② 의미 : 변방의 소외 된 인간의 어두운 삶 묘사하기에 적절한 배경.(우리 민족이 처 한 상황, 불안한 시대상 조성에 기여)
6. 이 시의 주인공이 겪는 이중의 갈등은?
▶ ① 생존의 불안으로 인한 갈등 ② 청년과의 갈등
7. 『국경의 밤』이 서사시로서 지니고 있는 약점은 ?
▶ ① 순이의 행동(action)이 지나치게 미약하다.
② 남편(병남)과 청년간의 갈등 양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③ 갈등을 극히 관념적, 서술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8. 이 시의 주인공 '순이'(재가승의 딸)의 비극적 삶이 의미하는 바는?
▶ 일제에 의해 나라를 빼앗기고 식민지로 전락한 우리 민족의 당대적 현실을 반영하는 인물
9. 이 시에서 순이의 남편인 '병남'의 죽음이 의미하는 바는?
▶ 병남을 장사지내면서 마을 사람들은 자신들이 평생을 쫓기는 자로 살아야 하는 공동 운명을 타고났음을 깨닫게 되는데, 이는 곧 한민족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이라고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10. 서정시와 「국경의 밤」과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 서정시에서는 화자가 자신의 사상과 정서를 직접 표출함으로써 스스로 시적 주인공이 되어 있으나, 이 시에서는 화자가 자기 자신이 아닌 또 다른 시적 주인공의 행동과 감정을 진술해 나가고 있다.
내용 분석
“아하 무사히 건넜을까,
이 한밤에 남편은
두만강을 탈없이 건넜을까? : 자유와 억압, 삶과 죽음을 갈라놓고 나아가 한 시대의 비극을 표상하는 상황 설정
저리 국경 강안(江岸)을 경비하는
외투 쓴 검은 순사(巡査)가 : 불안, 공포, 초조, 전율
왔다- 갔다 -
오르명 내리명 분주히 하는데
발각도 안 되고 무사히 건넜을까?” //독백
소금실이 밀수출 마차를 띄워 놓고
밤새 가며 속태이는 젊은 아낙네
물레 젓던 손도 맥이 풀려져
파! 하고 붓는 어유(漁油) 등잔만 바라본다. : 순이의 불안 초조한 심정이 반영된 객관적 상관물(감정 이입)
북국(北國)의 겨울밤은 차차 깊어 가는데. :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암담한 현실
//편집자적 논평 (서술자의 위치 - 작품 외부에 있는 전지적 화자)
남편의 안전 염려 - 속미인곡 (님의 일을 내 알거니 믈까팅 얼굴이 편힝실적 몃날이고)
정읍사(딪하 노피곰 도딪샤 머리곰 비취오시라. 져재 녀러신고요 즌딪링 드딪욜세라)
2.
어데서 불시에 땅 밑으로 울려나오는 듯 : 사건 전개의 핵 - 소리
‘어 - 이’하는 날카로운 소리 들린다. :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사용한 기법 - 의성어의 사용
저 서쪽으로 무엇이 오는 군호라고 :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사용한 심상 - 청각적 심상
촌민(村民)들이 넋을 잃고 우두두 떨 적에
처녀(妻女)만은 잽히우는 남편의 소리라고
가슴을 뜯으며 긴 한숨을 쉰다 -
눈보래에 늦게 내리는
영림창(營林廠) 산촌(山村)실이 화부(花夫) 떼 소리언만.
시적 자아의 감정 고조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3.13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