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환의 시세계(김동학 문학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김동환의 시세계
1.1920년대 - 서사시 논란을 중심으로.
2. 1930년대 - 민요조 서정시를 중심으로.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력은 엿보이지 않는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그것의 해답을 찾자면 오히려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봄이기에 필사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동환은 이상향을 그러한 봄으로 잡았느냐를 탓하기보다 개인적으로 그 교훈을 얻으면 될 것이다.
Ⅲ. 결론
이상에서 우리는 김동환의 시세계를 두 가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의 시세계를 단 두 가지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은 무리였는지도 모른다. 짧은 글 속에서 얼마나 우리가 그를 알 수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우리가 그의 시세계를 바라보면서 나름대로 내려 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김동환의 1920년대의 대표적인 시들이 서사시이냐, 아니냐는 우리에게 분명 고민해 보아야 할 숙제는 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자신만의 기준을 어떻게 두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영원한 논란이 되는 것이다. 그 양식을 꼭 서사시이다, 아니다로 한정지을 것이 아니라, 당시 우리 문학계에서의 김동환 시의 창조적인 면과 그러한 서사적 양식이 우리 문단에 끼친 영향을 생각해 보고 그를 평가하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다.
1930년대의 그의 시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그는 민족 고유의 특색을 시조가 아닌 민요조의 서정시에서 찾으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가 기본의 고위층의 산물로 여겨지던 시조를 배격하고 서민적인 민요조 서정시를 택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정신세계를 어느 정도 엿볼 수 있었다.
우리에게 알려진 시가 대부분이 일제시대 이전의 시라는 점에서 볼 때, 그가 일제시대부터 꽤 큰 혼란을 겪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비록 친일 행각을 하기는 하였으나, 우리는 그것을 하나의 시대적인 안타까움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우리가 그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에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던 한 젊은 시인이 겪었을 혼란과 고통을 본 논문을 쓰면서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방 후 김동환 자신 스스로 친일 행각에 대해 반성보다는 나라에 대한 원망으로 자기합리화에 머물러 그의 문학적 가치를 떨어뜨렸음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Ⅳ. 참고 문헌
김영오, 한국 현대시의 서사성 연구-김동환, 임화, 신동엽을 중심으로, 충남대학원 석사 논문, 1996
윤병호, 파인 김동환 문학연구, 계명대 대학원 박사 논문, 1995. 12
이윤희, 김동환 시에 나타난 장르의 복합성, 이화여자대하원 석사 논문, 1988
박정곤, 김동환의 서사시에 관한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87
장도준, 『한국 현대시 교육론』, 국학자료원, 2003
김영식, 『金東煥誕生 100周年記念集』, 도서출판 선인, 2002
오성호, 『한 근대주의자의 행로-김동환』,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1.2
김영철, 『한국 현대시 정수』, 도서출판 박이정, 1997
김영식, 『아버지 파인 김동환』, 국학자료원, 1994
김영철, 『현대시론』,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3
김용직, 『한국근대시사1』, 민음사, 1986
김동환, 『국경의 밤』, 第一出版社, 1978. 5
최동호, 서평<탄생 백 년을 맞는 시인들-이상화, 심 훈, 김동환의 시>, 민족작가회의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5.09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2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