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컴퓨터 중독 유형과 제반 문제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컴퓨터와 청소년
(1)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의 도입
(2) 청소년들의 컴퓨터 소유 현황
(3) 청소년과 컴퓨터
(4) 컴퓨터와 가상공간

2. 컴퓨터 중독증
(1) 컴퓨터 중독증에 대한 논란
(2) 게임 중독

본문내용

다. 저희 또래치고 음란사이트 안 들어가본 사람은 없을 겁니다. 다들 어디가 끝내준다. 어디가 죽여준다..하고 알려주지요. 또 자기가 끝내주는 사진을 갖고 있다고 자랑도 합니다. 물론 저도 음란사이트를 보는 학생입니다. 그런데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시작했던 것이 날이가면 갈수록 보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하루라도 안보면 견디지를 못합니다. 보통 보면 적어도 1시간은 봅니다. 그리고 보면서 자위도 하지요. 문제는 음란사이트를 보기 시작하면서 사이트에 나오는 성행위를 해보고 싶은 충동에 시달린다는 것입니다. 지나가는 여자 잡아다가 강간도 해보고 싶고, 제 성기도 보여주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어떨 때는 엄마가 엄마로 보이지 않기도 합니다. 저 어떻하면 좋을까요? 음란사이트를 보지 않는 것은 너무 어려운 일일 것 같아요
출전 : http://www.ahsex.org/cwb-bin/CrazyWWWBoard.exe?db=case&page=2
④ 파생되는 문제점
컴퓨터 음란물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점은
1) 공부에 지장
청소년들은 음란물을 보고 나서 그 장면을 떠올리는 연상 작용을 경험한다. 그리고 새로운 음란물을 보고 싶은 욕망에 집중력이 떨어져 공부에 지장을 받게 된다.
2) 성충동 증가
음란물을 성충동을 증가 시킨다. 그래서 자위 행위가 늘고 어떻게든 실제 성행위를 경험하고자 한다.
3)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
음란물의 내용은 정상적인것 보다는 비정상적인 설정이 대부분이다. 성교육이 되어 있지 않은 청소년들은 음란물의 내용을 실제 상황으로 받아들여 당장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잠재적인 위험이 된다.
4) 범죄 유발
컴퓨터 음란물은 모방 성범죄뿐만 아니라 컴퓨터 음란물 제작, 유통, 홈페이지 개설등 다양한 범죄를 유발한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약간의 용돈을 목적으로 음란물 유통에 참여하고 이것이 범죄 행위라는 인식이 없다.
⑤ 예방 및 치료
청소년 본인과 가족 모두에게 고통을 주는 음란물 중독증은 치유에 몇개월이 소요 되기도 한다. 외향적인 청소년들은 음란물 중독증까지 가는 경우가 드문 반면에 내성적이고 순진하고 착하고 공부를 잘하는 청소년이 중독증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이 컴퓨터 음란물 중독증에 걸리면 스스로 극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때로는 음란물 접촉을 그만두려고 시도 하기도 하지만 이내 음란물을 보고 있는 자신을 자책하기도 한다. 그러나 스스로 음란물에서 빠져나오려는 의지가 있다면 긍정적인 경우로 부모가 같이 노력한다면 극복 될수도 있다. 그러나 노력을 기울여도 개선의 여지가 없거나 극복 의지가 없을때는 지체없이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병원을 찾을때에는 음란물 중독 치료가 가능한 정신과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참조) 컴퓨터 음란물 중독 예방안(한국컴퓨생활연구소 1999)
1) 바른 성교육을 한다
컴퓨터 음란물에 대응하는 방법중 가장 원론적인 방법은 바른 성교육을 하는 것이다. 성교육이 제대로 되어 있는 청소년은 음란물을 보더라도 옳고 그름을 판별할수 있는 판별력을 갖추게 되므로 음란물의 악영향에서 멀어질수 있다.
2) 컴퓨터를 가족 공용화 한다
컴퓨터 음란물 중독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컴퓨터가 자녀의 전유물이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가족 모두가 사용 할 수 있게 개방 해야한다. 나아가 가족 공용의 공간에 컴퓨터를 놓는다면 자녀가 음란물을 접촉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3) 밤늦은 컴퓨터 사용을 자제 시킨다.
일부 청소년들은 음란물을 보느라 밤을 지세우고 학교에서 졸기도 한다. 긍정적인 목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더라도 밤을 세우는것은 생활리듬 유지에 좋지 않으므로 자제 시킨다.
4) 부모가 컴퓨터를 배운다
부모가 컴퓨터를 다룰줄 아는 경우 자녀가 컴퓨터에 음란물을 넣어 놓는 경우는 매우 드문일이다. 부모가 컴퓨터를 배우는 것은 자녀에게 컴퓨터를 바르게 사용하라는 일종의 경고가 될수도 있다.
5) 컴퓨터 외에 다른 취미 활동을 권한다
청소년이 성에 호기심을 가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음란물에 너무 몰입하다보면 중독증에 빠지는등 부작용이 발생한다. 음란물에 집착하지 않도록 스포츠나 문화 활동등 현실적인 취미를 갖게 한다.
6) 음란물 대응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자녀가 컴퓨터 음란물 중독증에 걸리기 전에 음란물 검색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차단 소프트웨어 활용하는것도 음란물에서 멀어지게 하는 방법이다.
(5) VDT 증후군
컴퓨터 중독증에 걸린 청소년들은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 하므로 여러 가지 육체적인 건강에 이상이 올수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VDT(Visual Display Terminal)증후군이라고 부른다. VDT증후군은 근시, 안구건조증, 어깨 결림, 체형 기형화등으로 나타난다. 예방을 위한 적당한 컴퓨터 사용 시간은 하루 2시간 전후이고 1시간에 10분정도 휴식을 취하는 좋다고 한다.
(6) 결론
이상 컴퓨터를 절제하며 사용 하지 않았을때 나타나는 최악의 경우인 컴퓨터 중독증에 대해 리뷰해 보았다. 컴퓨터 중독증은 컴퓨터라는 새로운 기기를 활용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일종의 사회현상으로 우리뿐만 아니라 지구촌의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영향이 심각한 만큼 좀더 깊은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것이다. 컴퓨터 중독증의 유형은 공통적인 부분이 많다. 정신건강을 해롭게 할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도 문제를 발생 시키는것을 확인 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중독은 중독 현상을 보이기 전에 미리 예방 조치를 취하는것이 시급함을 알았다. 우선 청소년들의 하루의 컴퓨터 사용시간을 2시간 전후로 조정하고 1시간에 10분정도 휴식을 취해서 자신의 건강을 지키도록 가르켜야 할것이다. 그리고 컴퓨터로 만나는 가상공간에 너무 의존하지 않도록 현실세계에서 인간적인 교류를 증가 시킬 필요가 있다.
이미 컴퓨터 중독증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하겠다. 정신과에서는 상담을 통한 치료와 심할경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를 사용한다고 한다. SSRI는 강박적인 행동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우울증등의 호전을 기대할수 있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고 한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3.18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