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공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가. 개요
나. 자연계 분포
다. 성상
라. 오염원
마. 유해성
바. 외국의 사례 (PAH 규제 및 지침)
사. 문제점

2. 휘발유자동차
가. 휘발유자동차
나. 휘발유자동차의 종류
다.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
라. 배출가스 허용기준
마. 배출가스 시험방법
바. 배출가스 저감기술

3. 디젤자동차
가. 디젤자동차
나. 디젤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 현황
다. 디젤자동차의 종류
라. 배출가스 허용기준
마. 배출가스 시험방법
바. 배출가스 저감기술

4. 천연가스자동차
가. 천연가스
나. 천연가스의 저공해성
다. 이용기술의 종류와 특징
라. 배출가스 규제현황
마. 외국의 개발 현황
바. 국내의 개발현황
사. 문제점 및 전망

5. 알콜자동차
가. 알콜
나. 오염물질 배출특성
다. 현황
라. 국내의 개발현황
마. 국외의 개발현황
바. 향후 과제

6. 전기자동차
가. 전기자동차
나. 전기자동차의 종류 및 특성
다. 구성 및 작동
라. 국내의 개발현황
마. 국외의 개발현황
바. 규제현황
사. 문제점 및 대책
아. 향후 과제

7. 자동차공해 인증제도
가. 목적
나. 법적 근거
다. 인증 구분
라. 배출가스 보증기간
마. 인증절차
바. 인증시험방법

8. 자동차 배출가스 결함검사 제도
가. 목적
나. 법적근거
다. 절차
라. 검사관련 사항
마. 검사방법
바. 현행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사. 외국의 제도

9.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
가. 필요성
나. 정의
다. 법적근거
라. 현행 운행차의 검사 실태비교
마. 배출가스 허용기준
바. 검사방법
아. 외국의 제도

10. 자동차 소음검사 제도
가. 정의
나. 소음검사의 법적근거
다. 소음검사의 종류
라. 소음시험장의 조건
마. 주요국의 소음 규제현황 및 허용기준
바. 주요국의 소음시험 방법 및 개략도
사. 자동차 소음측정장치

11.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표시
가. 정의
나. 목적
다. 법규
라. 대상
마. 시험기관
바. 시험방법
사. 표시방법
아. 등급부여기준
자. 각국의 자동차 연비 규제동향

12. 자동차용 연료
가. 자동차용 연료의 종류 및 특성
나. 각국의 연료품질 규제동향
다. 저공해연료의 개발동향 및 전망
라. 연료의 물성 및 조성이 배출가스에 미치는 영향
마. 우리나라 자동차 연료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3. 자동차용 연료첨가제
가. 연료첨가제의 정의
나. 연료첨가제의 사용목적
다. 연료첨가제의 종류 및 기능
라. 최근의 연료첨가제 개발동향
마. 국내외 연료첨가제의 규제현황 및 기준
바. 신고에 의한 등록
사. 현행 연료첨가제 등록 및 시험검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문내용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음.
(다) 왁스의 분산과 초미립자화에 의해 운점을 가화시키는 첨가제가 미국에서 개발되었고 유럽에서도 운점의 유지와 CFPP 및 유동점의 강하를 동시에 겨냥한 다기능첨가제가 개발되고 있음.
(3) 이 외에도 착화·연소성을 개선해주는 첨가제, 분사노즐의 침적물을 관리해주는 첨가제, 제 품저장증의 노화방지를 위한 첨가제 등의 우수한 첨가제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음.
마. 국내외 연료첨가제의 규제현황 및 기준
(1) 연료첨가제 시험검사 및 방법
(가) 시험 항목
① 배출가스 조성에 미치는 영향 (첨가제 사용 전,후에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측정)
휘발유용 첨가제의 경우 : CO, HC, NOx, HCHO
경유용 첨가제의 경우 : CO, HC, NOx, HCHO, PM, 매연
② 알데히드의 측정은 산소함량등 첨가제의 조성에 의하여 배출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 될 때에 실시함
③ 배출물질의 독성 및 공중보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첨가제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독성물질의 함량측정)
Cd, Cu, Mn, Ni, Zn, Fe
④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배출가스 촉매장치에 영향을 주는 물질의 함량측정)
Pb, P
(나) 첨가 전·후의 배출가스 분석방법
첨가제 첨가전·후의 시험차량에 대한 배출가스의 분석은 CVS-75 모드 측정방법에 의해서 행함.
(다) 시험 및 분석장치의 구성
① 차대 동력계 : 주행거리측정기, 롤러
② 시료 채취장치 : 임계유량 벤튜리형 정용적 시료채취장치 (CFV-CVS)
③ 배출가스 분석장치 : NOx 분석기, CO, CO2, 및 HC 분석기
④ 입자상물질채취장치
⑤ 희석 터널
(라) 첨가제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독성물질(중금속)의 분석방법
시료 1∼2 ml를 코니컬비이커에 취하여 질산, 과염소산으로 시료중 유기물을 분해한후 원자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함.
(2) 연료첨가제의 평가방법
(가) 배출가스 저감목적의 첨가제
첨가후 배출가스 측정치가 첨가전보다 10% 초과되는 항목이 없어야 함 ('96년부터 고시 개정으로 첨가후의 평균 배출가스농도가 5%이상 저감되어야 하는 항목이 추가되었음, 단, HC 와 NOx 는 합산하여 한 항목으로 봄)
(나) 첨가제의 유해독성물질의 측정치
납은 0.013 g/l 이내, 인은 0.0013 g/l 이내이고 나머지는 0.001g/l 이내이어야 함
(3) 연료첨가제의 등록
(가) 관련규정
① 대기환경보전법 제4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89조, 90조, 91조
② 자동차연료 또는 첨가제의 검사방법 및 등록에 관한 규정 (고시 : 93-87호)
(나) 등록 절차
첨가제등록서류 접수

첨가제 유해성심사의뢰

심사의견서 도착

내용검토 결과서, 등록증 작성

결재

등록증 송부

관보게재
(다) 제출서류
① 연료용 첨가제의 사용목적 및 첨가기준에 관한 서류
② 연료용 첨가제의 화학조성에 관한 서류
③ 연료용 첨가제의 개발연구보고서 또는 시험분석결과에 관한 서류
④ 배출가스저감효과 및 유해독성물질배출 여부에 관하여 환경부장관이 인정하는
연구·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
(라) 처리기간 : 30일
바. 신고에 의한 등록
(1) 기 등록된 첨가제와 화학조성, 첨가연료 및 첨가량등이 동일한 첨가제는 법 제42조의 규정에 의하여 첨가제 등록을 한것으로 보되, 첨가제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함.
첨가제신고서류 접수

내용검토 결과서, 등록증 작성

결재

등록증 송부

관보게재
(나) 제출서류
① 연료용 첨가제의 사용목적 및 첨가기준에 관한 서류
② 연료용 첨가제의 화학조성에 관한 서류
(다) 처리기간 : 15일
사. 현행 연료첨가제 등록 및 시험검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현황 및 문제점
(가) '91년부터 대기환경보전법 제 41조 및 제 42조의 규정에 의거 연료첨가제에 대한 배출 가스 영향검사 및 유해독성물질에 대한 시험을 통해 합격하였을 경우 등록증을 교부해 왔음.
(나) 매연억제제 (경유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첨가제가 연료의 특성 및 엔진의 상태를 좋게하는 것으로 정유과정중 연료에 하나 또는 그 이상 혼합되어 있음.
(다) 이미 첨가제를 혼합하여 판매하고 있는 시중의 연료에 다시 개개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배출가스 저감효과를 측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음.
(라) 현재 연료첨가제에 대한 배출가스 저감효과를 평가하는 기준이 배출가스가 10% 이상 증가하는 항목이 없어야 한다는 규정만 있고 배출가스가 저감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없 기 때문에 다목적 첨가제로서의 성능이 떨어지는 첨가제가 등록되어 판매될 수 있는 소지가 있음.
(2) 개선방안
(가) 정유사에서 연료의 제조시 첨가하는 첨가제는 등록신청시에 보고서 또는 시험결과를 첨부토록하여 서류검토만으로 등록 할 수 있도록 간소화 함.
(나) 등록되어 사용되는 첨가제 중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첨가제에 대해서는 선별적으 로 배출가스 저감효과 및 환경 유해성등을 검사함.
(다) 배출가스 검사 차량 숫자를 2-3대로 증가하고 검사기관을 확대적용 (한국에너지 기술 연구원등) 하여 첨가제 등록시 배출가스 시험.
(라) 첨가제의 조성등 분석방법을 확립하여 첨가제 조성 사후관리 방안 수립 성적서 첨부.
참고문헌
1. 석유품질검사소, 석유와 윤활, 가솔린첨가제의 종류와 작용효과.
2. 석유품질검사소, 석유와 윤활, 첨가유 첨가제의 종류와 용도.
3. 석유품질검사소, 석유와 윤활, 최근의 연료유첨가제 동향.
4. Gasoline and Diesel Additives, (1994), Associated Octel.
5. M.W.Ranney, (1974), Fuel Additives, Noyes Data Corporation.
6. Petroleum Additives, (1994), Associated Octel.
7. R.M.Whitcomb, (1975), Non-Lead Antiknock Agents for Motor Fuels, Noyes Data
Corporation.
8. W.H.Bitting, (1996), Texaco Fuels and Lubricants Research.
작성자 : 자동차공해연구소 환경연구관 차준석(공학박사)
  • 가격3,300
  • 페이지수118페이지
  • 등록일2002.03.18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0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