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2. 흄의 도덕감 이론에 대한 자연주의적 해석과 정의주의적 해석
2. Treatise Ⅲ, Part 1, Section 1의 마지막 문단에 대한 논쟁
3. 흄의 도덕감 이론에 대한 자연주의적 해석
Ⅲ 결론
Ⅱ 본론
2. 흄의 도덕감 이론에 대한 자연주의적 해석과 정의주의적 해석
2. Treatise Ⅲ, Part 1, Section 1의 마지막 문단에 대한 논쟁
3. 흄의 도덕감 이론에 대한 자연주의적 해석
Ⅲ 결론
본문내용
전체에 이익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장기적인 이익을 주는 것, 사회 전체에 이익을 주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정념의 흐름에 의해서 단기적인 이익, 개인적인 이익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를 억제해야 한다.
만약 흄의 도덕철학을 정의주의적으로 해석한다면, 흄이 개인적인 정념에 도덕적 분별을 근거지우면서도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울인 노력들이 드러나지 않는다. 흄은 도덕적 분별이 이성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을 공격하고 도덕적 소감, 즉 느낌에 도덕적 분별을 근거지웠기 때문에 도덕적 주관주의자로 오해되기 쉽다. 그러나 도덕적 소감이 다른 소감들과 구분되는 특성을 살펴본다면, 결코 주관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흄은 "일반적인 관점에서", "그 행위가 그 행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나 사회 전체에 이익을 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즐거움에 공감할 때" 발생하는 소감이 도덕적 분별의 근거가 되는 소감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도덕적 즐거움을 다른 즐거움과 구별하는 것은 특징은, 이것이 공정한 관점에서 이 행동으로 인해서 도움을 받는 사람들의 이익에 공감함으로써 발생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소감이지만 이 소감을 도덕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은 이 행동이 나의 이익과 무관하게 공공의 이익에, 그리고 타인의 이익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다. 만약 흄의 도덕철학을 정의주의로 해석하게 되면, 흄의 도덕체계에서 도덕적 소감이 갖는 고유한 특성을 잘 드러낼 수가 없다. 어떤 행위를 공정한 관망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승인하지 않게 되리라는 것은 그 행동에 대하여 나와 동일한 태도를 갖게 하려는 설득의 근거가 아니라, 그 행위가 악하다는 명제의 의미의 일부이다. 흄의 체계에서 당위는 사실에 의존해 있다.
참고문헌
김태길 (1998), 『윤리학』, 서울: 박영사.
김효명 (1995), 「흄의 자연주의」, 『흄의 자연주의』, 한국분석철학회 편,
서울: 철학과 현실사, pp11-35.
황경식 (1995), 『개방사회의 사회윤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Atkinson, R. F. (1995) "Hume on Standard of Morals", in Tweyman, S. (ed), (1995) David Hume: Critical Assessmsnt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41-60.
-------------- (1995) "Hume on 'Is' and 'Ought':A Reply to Mr. MacIntyre", in Tweymen, pp500-507
Capaldi, N. (1995) "Hume's Rejction of 'Ought' as a Moral Category", in Tweymen, pp530-541.
Cohen, M. (1990) "Obligation and Human Nature in Hume's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Quarterly, vol. 40: 316-341.
Falk, W. D. (1995) "Hume on Is and Ought", in Tewymen, pp551-569.
Flew, A. (1966) "On Interpretation of Hume", in Chappell, V. C. (ed) Hume, Notre Dame, Lond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pp278-286.
-------- (1966) "Not-Proven - At Most", in Chappell, pp291-294.
Glossop, R. J.(1967) " Hume's Rejection of 'Ought'", Journal of Philosophy,
vol. 19: 451-453.
Hare, R. M. (1986) The Language of Morals, Oxford: Clarendon Press.
Hudson, W. D. (1995) "Hume on Is and Ought", in Tewymen.
Hume, D. (1978) A Treatise of Human Nature, ed. L. A. Selby-Bigge, 2nd edn revised by P. H. Nidditch, Oxford: Clarendon.
Hunter, G. (1966) "Reply to Professor Flew", in Chappell, pp287-290.
MacIntyre, A. C. (1995) "Hume on 'Is' and 'Ought'", in Tewymen, pp485-499.
MacIntyre, A. C. (1974) A Short History of Ethics, Oxford: Alden & Mowbray.
Magri, T. (1996) "Natural Obligation and Normative Motivation in Hume's Treatise", Hume Studies 22: 231-253.
Mackie, J. L. (1980) Hume's Moral Theory, London: Routlrdge & Kegan Paul.
Moore, G. E. (1959) Principia Eth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Pigden, C. R. (1991) "Naturalism" in A Companion to Ethics, ed. by Peter Singer, Blackwell Press, pp421-431.
Rachels, J. (1991) "Subjectivism" in A Companion to Ethics, ed. by Peter Singer, Blackwell Press, pp432-441.
Smith, N. K. (1949) The Philosophy of David Hume: A Critical Study of Its Origins and Central Doctrines, London: Macmillan.
Scott-Taggart, M. J. (1961) "MacIntyre's Hume" Philosophical Review, vol. 70, 239-244.
만약 흄의 도덕철학을 정의주의적으로 해석한다면, 흄이 개인적인 정념에 도덕적 분별을 근거지우면서도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울인 노력들이 드러나지 않는다. 흄은 도덕적 분별이 이성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을 공격하고 도덕적 소감, 즉 느낌에 도덕적 분별을 근거지웠기 때문에 도덕적 주관주의자로 오해되기 쉽다. 그러나 도덕적 소감이 다른 소감들과 구분되는 특성을 살펴본다면, 결코 주관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흄은 "일반적인 관점에서", "그 행위가 그 행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나 사회 전체에 이익을 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즐거움에 공감할 때" 발생하는 소감이 도덕적 분별의 근거가 되는 소감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도덕적 즐거움을 다른 즐거움과 구별하는 것은 특징은, 이것이 공정한 관점에서 이 행동으로 인해서 도움을 받는 사람들의 이익에 공감함으로써 발생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소감이지만 이 소감을 도덕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은 이 행동이 나의 이익과 무관하게 공공의 이익에, 그리고 타인의 이익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다. 만약 흄의 도덕철학을 정의주의로 해석하게 되면, 흄의 도덕체계에서 도덕적 소감이 갖는 고유한 특성을 잘 드러낼 수가 없다. 어떤 행위를 공정한 관망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승인하지 않게 되리라는 것은 그 행동에 대하여 나와 동일한 태도를 갖게 하려는 설득의 근거가 아니라, 그 행위가 악하다는 명제의 의미의 일부이다. 흄의 체계에서 당위는 사실에 의존해 있다.
참고문헌
김태길 (1998), 『윤리학』, 서울: 박영사.
김효명 (1995), 「흄의 자연주의」, 『흄의 자연주의』, 한국분석철학회 편,
서울: 철학과 현실사, pp11-35.
황경식 (1995), 『개방사회의 사회윤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Atkinson, R. F. (1995) "Hume on Standard of Morals", in Tweyman, S. (ed), (1995) David Hume: Critical Assessmsnt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41-60.
-------------- (1995) "Hume on 'Is' and 'Ought':A Reply to Mr. MacIntyre", in Tweymen, pp500-507
Capaldi, N. (1995) "Hume's Rejction of 'Ought' as a Moral Category", in Tweymen, pp530-541.
Cohen, M. (1990) "Obligation and Human Nature in Hume's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Quarterly, vol. 40: 316-341.
Falk, W. D. (1995) "Hume on Is and Ought", in Tewymen, pp551-569.
Flew, A. (1966) "On Interpretation of Hume", in Chappell, V. C. (ed) Hume, Notre Dame, Lond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pp278-286.
-------- (1966) "Not-Proven - At Most", in Chappell, pp291-294.
Glossop, R. J.(1967) " Hume's Rejection of 'Ought'", Journal of Philosophy,
vol. 19: 451-453.
Hare, R. M. (1986) The Language of Morals, Oxford: Clarendon Press.
Hudson, W. D. (1995) "Hume on Is and Ought", in Tewymen.
Hume, D. (1978) A Treatise of Human Nature, ed. L. A. Selby-Bigge, 2nd edn revised by P. H. Nidditch, Oxford: Clarendon.
Hunter, G. (1966) "Reply to Professor Flew", in Chappell, pp287-290.
MacIntyre, A. C. (1995) "Hume on 'Is' and 'Ought'", in Tewymen, pp485-499.
MacIntyre, A. C. (1974) A Short History of Ethics, Oxford: Alden & Mowbray.
Magri, T. (1996) "Natural Obligation and Normative Motivation in Hume's Treatise", Hume Studies 22: 231-253.
Mackie, J. L. (1980) Hume's Moral Theory, London: Routlrdge & Kegan Paul.
Moore, G. E. (1959) Principia Eth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Pigden, C. R. (1991) "Naturalism" in A Companion to Ethics, ed. by Peter Singer, Blackwell Press, pp421-431.
Rachels, J. (1991) "Subjectivism" in A Companion to Ethics, ed. by Peter Singer, Blackwell Press, pp432-441.
Smith, N. K. (1949) The Philosophy of David Hume: A Critical Study of Its Origins and Central Doctrines, London: Macmillan.
Scott-Taggart, M. J. (1961) "MacIntyre's Hume" Philosophical Review, vol. 70, 239-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