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재가복지사업의 발전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전통사회 : 가정외부 원조제공자의 의례적 방문

3. 20세기초 : 통제 또는 전도를 목적으로 한 가정 외부로부터의 원조

4. 20세기 중반 이후 : 가정보호의 출발; 가정복지사업

5. 1980년대 중반 이후 : 가정봉사원 파견사업과 재가복지의 시작

6. 탈시설화 논의와 우리나라 재가복지사업의 발전

본문내용

되는 복지이념이 지속되어 왔다. 의존인구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이나 '재가복지사업'이 강조된 것은 이런 맥락에서였던 것이다.
21세기를 맞이한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의존인구의 문제에 대한 정책방향을 논의하는데 있어 '시설보호'냐 '가정보호'냐의 이분법적인 사고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아동이 주된 복지대상자였던 1960년대에는 시설보호보다는 가정보호가 더 나은 대안으로 여겨졌고, 그에 따라 가정복지사업이 활발히 추진되었다. 그러나 의존문제의 심각성 측면에서 아동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인 노인이 주된 복지대상인 경우 시설보호와 가정보호 가운데 가정보호를 강조하는 '재가복지' 편향은 재고되어야 한다. 오히려 의존노인들을 위한 시설보호의 방안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비용측면에서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던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이나 '재가복지사업'에서 부분적으로 유급봉사원을 고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은 의존노인에 대한 보호에서 그동안 가정보호가 우위를 가진 것으로 여겨졌던 비용효율성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사업의 효과성을 추가하여 논의한다면, '재가복지'로 대표되는 가정보호 중심의 정책방향은 심각히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김범수 편저(1992), 『재가복지론』, 서울;홍익제
김주연(1995), '지역사회복지와 재가복지',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 『한국사회복지의 이해』, 동풍, pp. 350-363.
나기석(1992), '노인복지분야의 재가복지사업', 김범수 편저(1992), 『재가복지론』, 서울;홍익제, pp.151-166.
나기석(1992), '재가복지와 가정봉사 서비스', 김범수 편저(1992), 『재가복지론』, 서울;홍익제, pp.217-240.
한국노인복지회(1988),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1주년 보고서』
한국노인복지회(1989), 『가정봉사자를 통한 가정봉사원 파견 서비스 평가조사』
서상목, 최일섭, 김상균(1988),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선과 전문인력 활용방안』,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송경옥(1992), "일제시대 한국인의 사회복지 활동에 관한 연구 : 아동보호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석사학위논문).
신용하.박명규.김필동 편(1995), 『한국사회사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이덕주(1993),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역사:1921-1993』, 서울: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이혜경(1993), "경제성장과 아동복지 정책의 변용", 『한국아동복지학』 창간호.
장인협(1997), 『지역복지실천방법론-케어/케이스 관리(재가복지실천)』, 서울대학교 출판부.
최원규(1996), '외국민간원조단체의 활동과 한국사회사업발전에 미친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최원규(1998), '초기 사회사업 개념 형성에 미친 외원단체활동의 영향-<카나다 유니테리안 봉사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연구』 제11호, pp.161-203.
최일섭.류진석(1997),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황성철.한혜경(1999), 「사회복지관 및 재가복지사업 시범평가 보고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KAVA40년사편찬위원회 편(1995),『외원사회사업기관활동사(외국민간 원조기관 한국연합회 40년사)』, 서울:홍익제.
하상락 편(1989), 『한국사회복지사론』, 서울:박영사.
한국선명회(1993), 『한국선명회 40년 발자취』, 서울: 한국선명회
한국어린이재단(1986), 『CCF 38년사-사랑은 국경을 넘어-』,서울:한국어린이재단.
KAVA40년사편찬위원회 편(1995), 『외원사회사업기관활동사-외국민간원조기관한국연합회40년사』, 서울: 홍익제
KAVA, 1977년 제25차 KAVA회의자료
보건사회부(1998), 『보건사회백서』
National Social Workers' Training Institute(NSWTI), Korea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KAVA), Korea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KSWRI), Directory of Social Service Resources in Korea. Seoul, January, 1970.
Abel, Emily K.(1997), 'Medicine and mortality:the health care program of the New York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Social Service Review(vol.71, n4), pp.634-651.
Beder, Joan(1998), 'The home visit, revisited', Families in Society(vol.79, n5) pp.514-522.
Mossman, Douglas(1997), 'Deinstitutionalization, homelessness, and the myth of psychiatric abandonment: a structural anthropology perspective', Social Science & Medicine(v44 n1), pp.71-83
Whitman, Craig(1995), 'Heading toward normal: deinstitutionalization for the mentally retarded client', Marriage & Family(v21 n1-2), pp.51-64.
Coid, Jeremy(1994), 'Failure in community care: psychiatry's dilemma', British Medical Journal(v308 n6932), pp.805-806.
Palermo, George B., Smith, Maurice B., Liska, Frank J.(1991), 'Jails versus mental hospitals: a social dilemma',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 Comparative Criminology(vol.35 n2), pp.97-106.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3.20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