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에서의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연구동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배경

II. 뉴미디어 연구의 발전 단계
1. 개인용 컴퓨터의 사회적 영향: 사무자동화와 문서통신
2. 컴퓨터와 통신의 융합
3. 공간으로서의 뉴미디어: 사이버공간,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III. 국내 뉴미디어 연구동향에 대한 비평

IV. 결론: 뉴미디어 연구가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물리적 공간이 아닌 가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행위뿐만 아니라 가상의 공간과 현실 공간과의 관계까지 연구해야 하기 때문에 연구할 영역이 완전히 새롭게 펼쳐진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 영역의 개척자들이 이미 등장하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연구는 기존의 매스 미디어 연구와는 다른 특성을 전제로 하므로 뉴미디어 학자들이 이 점을 기억해 둔다면 보다 훌륭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첫째,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인터넷과 같은 매체의 기술적 특징이 복잡함에 따라 사회과학 연구자라도 전자공학적 지식을 갖출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의 하이퍼텍스트는 비순차적(nonlinear)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정보제시 구조가 되고 있는데, 하이퍼텍스트의 원리를 모르고서는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
둘째,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은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방법에서 혁신적인 편리함과 정확성을 제공해 준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인구통계 자료나 사용 행태가 컴퓨터 서버(server)에 자세하게 기록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실증조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잇점을 잘 활용하면 기존의 조사방법에서는 구하기 어려운 데이터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셋째, 사이버커뮤니케이션에서는 미디어의 효과에 관한 조사보다 이용과 충족의 누적에서 오는 새로운 문화생산의 과정을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언론의 내용분석이 오늘날 타당성이 약한 조사방법으로 여겨지는 것처럼, 앞으로는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의 문화 분석이 미디어 효과 분석 패러다임의 타당성을 밀어낼 날이 올 것이다.
<참고문헌>
Bates, B. J., "Information Systems and Society: Potential Impacts of Alternative Structure," Telecommunications Policy, 14(2), 1990.
Bell, D., The Coming of the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New York: Basic Books, 1973).
Beniger, J. R., "Information Society and Global Science,"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495, 1988.
Dertouzos, M. L. & J. Moses (Eds.), The Computer Age: A Twenty-Year View (Cambridge, MA: MIT Press, 1979).
Dizard, W. P. Jr., The Coming Information Age: An Overview of Technology, Economics, and Politics (3rd ed.) (New York: Longman).
Forester, T. (Ed.), The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 (Cambridge, MA: MIT Press, 1985).
Hunt, T. & B. D. Ruben, Mass Communication: Producers and Consumers (New York: Harper Collins, 1993).
Machlup, 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e United Stat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2).
Naisbitt, J., Megatrends: Ten New Directions Transforming Our Lives (New York: Warner Books).
Porat, M., The Information Economy: Definition and Measurement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7).
Rice, R. E. & Associates, Ibid.;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s (3rd ed.) (New York: Free Press, 1983).
Rice, R. E. & Associates, The New Media: Communication, Research, and Technology (Beverly Hills, CA: Sage, 1984).
Rogers, E. M.,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ew Media in Society (New York: Free Press, 1986).
Ruben, B. D. & L. A. Lievrouw (Eds.), Medi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Behavior Vol. 3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Books, 1990).
Schement, J. R. & L. A. Lievrouw (Eds.), Competing Visions, Complex Realities: Social Aspects of the Information Society (Norwood, NJ: Ablex).
Toffler, A., The Third Wave (New York: William Morrow, 1980).
Walther, J. B.,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mpersonal, Interpersonal, and Hyperpersonal Interaction," Communication Research, 23(1), 1996.
Williams, F., The Communications Revolution (Beverly Hills, CA: Sage, 1982).
http://www.ascusc.org/jcmc
전석호, 정보사회론: 커뮤니케이션 혁명과 뉴미디어 (서울: 나남, 1994).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04.04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