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Ⅰ. 도 표
Ⅱ. 생애 주기로 본 여성의 삶
1. 여아의 출생
2. 여성의 교육
3. 여성의 취업
4. 여성의 혼인과 이혼
5. 여성의 출산과 보건
6. 여성의 문화와 여가생활
7. 여성의 정보화
8. 여성의 생활시간활용
9. 여성의 사망
Ⅲ. 통 계 표
Ⅱ. 생애 주기로 본 여성의 삶
1. 여아의 출생
2. 여성의 교육
3. 여성의 취업
4. 여성의 혼인과 이혼
5. 여성의 출산과 보건
6. 여성의 문화와 여가생활
7. 여성의 정보화
8. 여성의 생활시간활용
9. 여성의 사망
Ⅲ. 통 계 표
본문내용
17.3
1.3
3.5
0.4
자료 : 통계청,「2000 사회통계조사」
8. 여성의 생활시간활용
우리나라 기혼여성이 가장 많이 하는 가사일은
음식준비, 청소, 의류관리 등의 순으로 나타남
. 하루에 평균 93.0%의 주부가 음식준비 및 설거지를, 79.3%는 청소 및 정리를, 60.3%가 세탁, 다림질 등 의류관리를 하고 있음
- 평균 소요시간을 보면 식사준비나 설거지 등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하루에 2시간 4분을, 그 다음으로 자녀나 배우자 등 가족 보살피기에 1시간 51분을 소요함
< 20세이상 기혼여성의 가사일 참가비율 및 평균시간, 1999 >
(단위 : %, 시간:분)
음식준비
의류관리
청소
집관리
물품구입
가정경영
가족보살피기
참가 비율
93.0
60.3
79.3
13.1
40.6
11.5
51.1
평균 시간
2:04
0:52
0:52
0:32
0:41
0:25
1:51
자료 : 통계청 「1999 생활시간조사보고서」
맞벌이 주부는 전업주부에 비하여 가사 일의 참가비율이 낮으며
평균 소요시간 역시 짧음
. 60세 미만 전업 주부는 평균 6시간 43분, 맞벌이 주부는 3시간 45분 가사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 거의 모든 주부가 매일 하는 가사 일은 음식준비 및 정리이며 전업주부와 맞벌이주부의 참가비율 차이가 많은 가사 일은 물품구입(24.4%p), 의류관리(18.4%p) 순임
- 맞벌이주부는 전업주부보다 음식준비 및 정리에 소요하는 시간이 평균 38분 적고, 의류관리에 15분, 청소 및 정리시간에 16분, 물품구입에 8분 적게 시간을 소요함
< 가사 일의 참가비율 및 시간, 1999 >
(단위 : %, 시간:분)
비맞벌이 주부1)
맞벌이 주부
비맞벌이 남편
맞벌이 남편
참가
비율
평균시간
참가
비율
평균시간
참가
비율
평균시간
참가
비율
평균시간
가 사
99.8
6:43
99.0
3:45
39.5
1:06
43.3
1:00
음식준비/정리
99.2
2:28
96.5
1:50
4.4
0:30
8.8
0:34
의류관리
74.4
0:59
56.0
0:44
1.3
0:24
2.2
0:28
청소 및 정리
90.8
1:01
75.2
0:45
12.6
0:31
19.1
0:32
집관리
16.2
0:30
8.4
0:26
8.3
0:49
10.5
0:47
물품구입
62.2
0:44
37.8
0:36
7.9
0:37
7.4
0:35
가정경영
20.7
0:26
11.5
0:23
2.4
0:31
3.5
0:28
자료 : 통계청 「1999 생활시간조사보고서」
주 : 1) 부부 모두 20세 이상 60세 미만
비맞벌이는 주부가 미취업, 남편이 취업인 경우임
자기개발을 위해 남성은 취업 또는 자격증 관련학습을 가장 많이 하고 여성은 취미관련 학습을 가장 많이 함
. 학생이외 인구의 자기개발을 위한 전체 학습자 비율은 5.0%이며, 학습내용은 취업 또는 자격증 학습이 32.6%로 가장 높음
- 남성은 취업 또는 자격증 관련 학습이 36.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컴퓨터 학습(24.2%)이며, 여성은 취미관련 학습이 30.1%, 취업 또는 자격증 관련 학습 28.3% 순임
< 자기개발 학습자 비율(학생이외), 1999 >
(단위 : %)
학습자
비율
부 문
계
외국어
컴퓨터
취업,자격증
취미관련
학생 이외
5.0
100.0
19.1
22.6
32.6
25.6
남성
5.6
100.0
17.8
24.2
36.2
21.8
여성
4.5
100.0
20.7
20.8
28.3
30.1
자료 : 통계청 「1999 생활시간조사보고서」
9. 여성의 사망
여성인구 1000명당 사망자는 4.7명, 남자인구 1000명당 5.8명으로 여성의 사망이 1.1명 낮음(1999년)
. 99년 1년동안 사망자는 여성은 109천명, 남성은 137천명으로 여성이 28천명 낮음
- 여성 1000명당 4.7명, 남성은 1000명당 5.3명 사망함
- 여성의 사망률은 50대전반까지는 천명당 3명이하의 사망률을 보이다가, 60대 후반부터 천명당 13명으로 늘어나기 시작하여 70대후반에서 47명꼴로 높아짐
< 연령별 사망률 >
(단위 : 해당연령 인구 천명당)
여 자
남 자
연도
연령
1995
1996
1997
1998
1999
1995
1996
1997
1998
1999
계
4.8
4.7
4.7
4.7
4.7
6.1
6.0
6.0
5.9
5.8
0 - 4
5 - 9
2.1
0.3
1.9
0.3
1.8
0.3
1.6
0.2
1.1
0.2
2.4
0.5
2.1
0.4
1.9
0.4
1.7
0.4
1.3
0.3
10 - 14
15 - 19
0.2
0.5
0.2
0.5
0.2
0.4
0.2
0.4
0.2
0.3
0.4
1.1
0.4
1.1
0.3
1.0
0.3
0.8
0.2
0.7
20 - 24
25 - 29
0.6
0.7
0.5
0.6
0.5
0.6
0.5
0.5
0.4
0.5
1.2
1.6
1.3
1.5
1.2
1.4
1.0
1.2
0.9
1.1
30 - 34
35 - 39
0.7
1.0
0.7
1.1
0.8
1.0
0.7
1.0
0.6
0.9
1.9
2.9
1.9
2.9
1.7
2.6
1.6
2.5
1.4
2.3
40 - 44
45 - 49
1.6
2.4
1.5
2.2
1.4
2.2
1.3
2.0
1.2
1.9
4.6
6.8
4.4
6.6
4.2
6.4
3.9
6.2
3.8
5.7
50 - 54
55 - 59
3.6
5.5
3.4
5.1
3.3
5.0
3.0
4.7
2.8
4.4
10.3
15.1
9.7
14.8
9.0
14.0
8.7
13.7
8.2
12.8
60 - 64
65 - 69
8.9
15.7
8.5
15.1
8.1
14.6
7.8
13.8
7.5
13.2
22.7
35.6
21.6
33.4
20.8
32.5
20.7
31.5
19.9
29.8
70 - 74
75 - 79
29.3
52.6
27.9
49.5
27.5
48.0
25.6
48.3
24.9
46.7
56.4
87.8
54.3
81.8
53.5
82.1
49.7
81.8
49.1
78.7
80+
120.8
117.5
118.6
118.1
120.2
156.7
153.1
155.1
154.4
152.5
자료 : 통계청,「1999 인구동태통계연보」
1.3
3.5
0.4
자료 : 통계청,「2000 사회통계조사」
8. 여성의 생활시간활용
우리나라 기혼여성이 가장 많이 하는 가사일은
음식준비, 청소, 의류관리 등의 순으로 나타남
. 하루에 평균 93.0%의 주부가 음식준비 및 설거지를, 79.3%는 청소 및 정리를, 60.3%가 세탁, 다림질 등 의류관리를 하고 있음
- 평균 소요시간을 보면 식사준비나 설거지 등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하루에 2시간 4분을, 그 다음으로 자녀나 배우자 등 가족 보살피기에 1시간 51분을 소요함
< 20세이상 기혼여성의 가사일 참가비율 및 평균시간, 1999 >
(단위 : %, 시간:분)
음식준비
의류관리
청소
집관리
물품구입
가정경영
가족보살피기
참가 비율
93.0
60.3
79.3
13.1
40.6
11.5
51.1
평균 시간
2:04
0:52
0:52
0:32
0:41
0:25
1:51
자료 : 통계청 「1999 생활시간조사보고서」
맞벌이 주부는 전업주부에 비하여 가사 일의 참가비율이 낮으며
평균 소요시간 역시 짧음
. 60세 미만 전업 주부는 평균 6시간 43분, 맞벌이 주부는 3시간 45분 가사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 거의 모든 주부가 매일 하는 가사 일은 음식준비 및 정리이며 전업주부와 맞벌이주부의 참가비율 차이가 많은 가사 일은 물품구입(24.4%p), 의류관리(18.4%p) 순임
- 맞벌이주부는 전업주부보다 음식준비 및 정리에 소요하는 시간이 평균 38분 적고, 의류관리에 15분, 청소 및 정리시간에 16분, 물품구입에 8분 적게 시간을 소요함
< 가사 일의 참가비율 및 시간, 1999 >
(단위 : %, 시간:분)
비맞벌이 주부1)
맞벌이 주부
비맞벌이 남편
맞벌이 남편
참가
비율
평균시간
참가
비율
평균시간
참가
비율
평균시간
참가
비율
평균시간
가 사
99.8
6:43
99.0
3:45
39.5
1:06
43.3
1:00
음식준비/정리
99.2
2:28
96.5
1:50
4.4
0:30
8.8
0:34
의류관리
74.4
0:59
56.0
0:44
1.3
0:24
2.2
0:28
청소 및 정리
90.8
1:01
75.2
0:45
12.6
0:31
19.1
0:32
집관리
16.2
0:30
8.4
0:26
8.3
0:49
10.5
0:47
물품구입
62.2
0:44
37.8
0:36
7.9
0:37
7.4
0:35
가정경영
20.7
0:26
11.5
0:23
2.4
0:31
3.5
0:28
자료 : 통계청 「1999 생활시간조사보고서」
주 : 1) 부부 모두 20세 이상 60세 미만
비맞벌이는 주부가 미취업, 남편이 취업인 경우임
자기개발을 위해 남성은 취업 또는 자격증 관련학습을 가장 많이 하고 여성은 취미관련 학습을 가장 많이 함
. 학생이외 인구의 자기개발을 위한 전체 학습자 비율은 5.0%이며, 학습내용은 취업 또는 자격증 학습이 32.6%로 가장 높음
- 남성은 취업 또는 자격증 관련 학습이 36.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컴퓨터 학습(24.2%)이며, 여성은 취미관련 학습이 30.1%, 취업 또는 자격증 관련 학습 28.3% 순임
< 자기개발 학습자 비율(학생이외), 1999 >
(단위 : %)
학습자
비율
부 문
계
외국어
컴퓨터
취업,자격증
취미관련
학생 이외
5.0
100.0
19.1
22.6
32.6
25.6
남성
5.6
100.0
17.8
24.2
36.2
21.8
여성
4.5
100.0
20.7
20.8
28.3
30.1
자료 : 통계청 「1999 생활시간조사보고서」
9. 여성의 사망
여성인구 1000명당 사망자는 4.7명, 남자인구 1000명당 5.8명으로 여성의 사망이 1.1명 낮음(1999년)
. 99년 1년동안 사망자는 여성은 109천명, 남성은 137천명으로 여성이 28천명 낮음
- 여성 1000명당 4.7명, 남성은 1000명당 5.3명 사망함
- 여성의 사망률은 50대전반까지는 천명당 3명이하의 사망률을 보이다가, 60대 후반부터 천명당 13명으로 늘어나기 시작하여 70대후반에서 47명꼴로 높아짐
< 연령별 사망률 >
(단위 : 해당연령 인구 천명당)
여 자
남 자
연도
연령
1995
1996
1997
1998
1999
1995
1996
1997
1998
1999
계
4.8
4.7
4.7
4.7
4.7
6.1
6.0
6.0
5.9
5.8
0 - 4
5 - 9
2.1
0.3
1.9
0.3
1.8
0.3
1.6
0.2
1.1
0.2
2.4
0.5
2.1
0.4
1.9
0.4
1.7
0.4
1.3
0.3
10 - 14
15 - 19
0.2
0.5
0.2
0.5
0.2
0.4
0.2
0.4
0.2
0.3
0.4
1.1
0.4
1.1
0.3
1.0
0.3
0.8
0.2
0.7
20 - 24
25 - 29
0.6
0.7
0.5
0.6
0.5
0.6
0.5
0.5
0.4
0.5
1.2
1.6
1.3
1.5
1.2
1.4
1.0
1.2
0.9
1.1
30 - 34
35 - 39
0.7
1.0
0.7
1.1
0.8
1.0
0.7
1.0
0.6
0.9
1.9
2.9
1.9
2.9
1.7
2.6
1.6
2.5
1.4
2.3
40 - 44
45 - 49
1.6
2.4
1.5
2.2
1.4
2.2
1.3
2.0
1.2
1.9
4.6
6.8
4.4
6.6
4.2
6.4
3.9
6.2
3.8
5.7
50 - 54
55 - 59
3.6
5.5
3.4
5.1
3.3
5.0
3.0
4.7
2.8
4.4
10.3
15.1
9.7
14.8
9.0
14.0
8.7
13.7
8.2
12.8
60 - 64
65 - 69
8.9
15.7
8.5
15.1
8.1
14.6
7.8
13.8
7.5
13.2
22.7
35.6
21.6
33.4
20.8
32.5
20.7
31.5
19.9
29.8
70 - 74
75 - 79
29.3
52.6
27.9
49.5
27.5
48.0
25.6
48.3
24.9
46.7
56.4
87.8
54.3
81.8
53.5
82.1
49.7
81.8
49.1
78.7
80+
120.8
117.5
118.6
118.1
120.2
156.7
153.1
155.1
154.4
152.5
자료 : 통계청,「1999 인구동태통계연보」
추천자료
건설관리 건설경영 LCC Life cycle costing 생애주기 비용분석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인생 과정 관점-생애주기적관점
장애와 노인복지 정책 서비스 (장애노인과 생애주기 접근) PPT자료 프리젠테이션
마케팅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편익을 여러분이 선호하는 제품의 예를 들어 마케팅에서 생애주...
★프로이트의 정신분적단계와 에릭슨의 심리사회단계 분석 및 생애주기에 따른 장애아동 분류,...
성격이론 하나를 선택한 후 주요 개념을 정리하고 자신의 인생을 생애주기별로 성격이론에 따...
정책의 효율적 관리(정책의 생애주기와 관리, 정책의 성공과 실패의 관리,정책평가의 관리 )
가족 구성원의 영양문제에 따른 영양관리 방법(생애주기별 영양관리)
건강증진론4B// 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의 중점과제인 영양의 건강체중 유지 및 생애주기별 ...
//건강증진론2017// 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의 중점과제인 영양의 건강체중 유지 및 생애주기...
(방통대 생활과학 건강증진론4B) 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의 중점과제인 영양의 건강 체중 유...
자신이 장애인복지를 실천하는 전문가라고 가정하고 한 시점의 생애주기 가정 하여 장애인의 ...
자신이 장애인복지를 실천하는 전문가라고 가정하고 한 시점의 생애주기 가정 하에 장애인의 ...
장애인복지론(현재 자신을 장애 당사자라고 가정하고 현 생애주기에서 장애인의 문제와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