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실학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학의 발전과 교육
(1) 유형원
(2) 이익
(3) 박지원
(4) 정약용

2. 맺으며....

본문내용

현혹시키는 도선비결 혹은 정감록 등 다섯가지라고 지적하고, 이것들을 바로 잡으려면 실사구시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둘째, 교육적 인간상으로 修己爲天下人(수기위천하인)을 생각했다. 자기 수양에 의하여 능력을 닦고, 이것을 천하와 국가를 위하여 실천궁행하는 사람을 뜻한다. 이는 현대적 의미에서 보편 사회적 자아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그의 교육방법은 실천성을 강조했고, 「아학편」은 그의 교육이론이 교과서의 형태로 편찬된 하나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연암의 천자문 비판에 대한 구체적 해결 방안으로 그는 어린이를 위한 입문서로 이 책을 저술한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문자교육서인 천자문을 비판하고 아동이 감각기관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글자와 개념을 먼저 학습하게 하고, 다음으로 추상적이고 무형의 개념을 표현하는 글자를 익히도록 하였다. 사물의 성격을 범주화하여 유별 분류체게에 따라 문자를 배열하였다.
맺으며....
이들 실학자들의 사상이 당시 집권층에 받아들여지지 않아 실행되지는 않았지만 성리학이 주된 사상이 된 시대에 있어 경세치용, 이용후생의 학을 성립시키고 민족문화에의 주체적 인식을 촉구하였다는 것만으로도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4.13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