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 학
1. 서론
2. 본론
1)정치적 사상
2)인간존엄 사상
3)탈중화사상
4)계급타파사상
5)여성의 해방사상
3. 결론
[2]동학혁명의 이론과 의의 혁명의 이론정립
1. 혁명의 당위성
2. 혁명의 민족민주주의 사상과 당위성
3. 혁명의 역사적 의의
1. 서론
2. 본론
1)정치적 사상
2)인간존엄 사상
3)탈중화사상
4)계급타파사상
5)여성의 해방사상
3. 결론
[2]동학혁명의 이론과 의의 혁명의 이론정립
1. 혁명의 당위성
2. 혁명의 민족민주주의 사상과 당위성
3. 혁명의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한 개혁과 폐지를 시도하였다.15)
또한 백성들이 제출한 소장(訴狀)을 백성들의 의지가 충분하게 반영되도록 정당하게 처리하여 그동안 농민들이 관과 양반과 부호들에게 억울하게 당했던 일들을 그들의 힘으로 해결해 주었으며16) 관리들이 종전에 작성했던 문서들을 집강소 설치 후 면밀히 검토하여 잘못을 가려 농민에 의한 자치를 엄정하게 관리 하였다.17)
이와 같이 집강소를 통한 농민혁명군의 개혁정치는 농민들 사이에 동학이 적극적으로 전도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이 시기에 동학에 입도한 숫자는 더욱 증가함으로 그 위세는 자못 커지게 되었다. 이에 집강소는 호위군이라는 이름으로 농민혁명군을 모집하여 막강한 혁명군을 편성하였는데 이를 접(接)이라고 불렀다. 따라서 큰 읍에는 수십개의 접이 있었고, 작은 곳에는 3~4개의 접이 있었는데 각 접에는 대접주, 수접주, 접주의 순위로 두령이 있었다.18)
이렇게 강화된 동학혁명군은 그해 9월 일본이 침략적인 도발행위를 자행하자 항일구국투쟁을 전개, 남접과 북접이 연합하여 공주에서 일본군 및 관군과 싸웠으나 참패당하고 말았다. 전봉준·김개남·손화중 등 지도자들이 체포되었으나 흩어진 동학군은 해월 등에 의하여 재기를 도모하였으며, 다시 집결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안으로는 일대 개혁을 단행하게 한 갑오경장이 추진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성리학적인 전통사회가 붕괴·해체되기 시작하여 새로운 근대사회로 진전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밖으로는 일본이 조선에 다시 군대를 파견할 수 있는 구실이 되어 마침내 청·일 양군의 침략전쟁이 일어나 주인노릇을 못한 역사의 현장을 노출시킴으로 일본의 승리로 귀결되자 조선은 이후 일본의 침략적 지배를 받아야 하는 참담한 현실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은 제3세 교조 의암(손병희)에 의해 다시 크게 발전되어 한국 사회의 근대화를 위한 민족종교로 새롭게 출발하였다. 따라서 1904년 갑진개화혁신운동을 일으켜19) 새마을운동의 선구적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1914년에는 갑인민족운동을 일으키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어 갑오년의 동학혁명과 함께 3갑운동이라는 민중에 기반을 둔 대중운동을 계획 실천함에 앞장섰던 것이다. 그중 무엇보다도 큰 민족운동의 실천으로는 3·1민주혁명의 선도적 수행으로 대대적인 민중구국운동을 일으킴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탄생시키는 큰 수확을 낳게 한 것이다.
정치적으로는 군주제를 버리고 민주공화국으로서 삼권분립 형태를 취하여 새로운 정치외교체제로 발전되어 나갔으며, 경제적으로는 자립경제를 강조하여 민족기업 육성책을 펴 나갔다. 사회적으로는 남녀평등, 사회혁신 정책을 펴 시민사회와 그 의식을 발전시켜 나갔으며, 문화적으로는 언론 종교교육을 발전시켰고 국어, 국사, 지리와 문예를 우리 실정에 맞게 구성함으로 본격적인 근대화를 추진시켜 나갔다. 또한 1920년의 잡지, 기관지 발행을 통한 신문화운동에 앞장섰으며 여성운동, 소년운동, 한글보급운동 등 각종 근대화운동을 통한 한국사회의 변혁에 앞장서 나갔다.
따라서 동학혁명을 통한 민중운동의 선구자로서의 긍지와 사명감을 동학의 보국안민 정신과 광제창생의 휴머니즘을 기반으로 한국 사회의 근대화와 개혁을 추진함으로 오늘날 한민족의 민족종교로서의 자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과거의 구국의지는 지금도 그 맥락이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20)
1) 「나라사랑」 제15집 녹두장군 전봉준 특집호 참조.
2) 朴宗根, 「朝鮮近代에 있어서 民族運動의 展開」, 甲申甲午期의 近代變革과 民族運動 청아출판사 1983, pp.300~301
3) 李炫熙, 「東學思想의 背景과 그 意識의 成長」, 韓國思想 제18집, 1981
, 孫秉熙論 「정화」 1982年 12月號.
4) 金義煥, 「全琫準傳記」 pp.149~150
5) 朴容玉, 「東學의 男女平等思想」, 歷史學報 91, 1981.
6) 金昌洙, 「東學運動과 民族意識의 成長」, 人文科學硏究 1, 성신여대 인문과학연구소, 1981.
7) 李炫熙, 「東學思想과 民族獨立思想」, 韓國思想 19, 1982.
8) 吳知泳, 「東學史」, 1940. pp.126~130.
9) 愼鏞廈, 「1894년의 社會身分制의 廢止」, 奎章閣 제9집, 1985.
10) 前揭書, 「농민군 지도부와 병사의 社會身分」 참조.
11) 前揭, 「東學史」 pp.153~154.
白世明, 「甲辰革新運動과 東學」, 韓國思想 Ⅲ, 1973.
李敦化, 「天道敎創建史」 1933년, 제3편 참조.
「大韓每日申報」, 1904年 8月 25日.
金應祚, 「天道敎의 文化運動」, 人文科學硏究 제2집, 성신여대, 1982.
閔泳純, 「잊혀지지 않는 갑진년 개혁」, 신인간 포덕 67년 제2호.
12) 「東匪討論」, 韓國學報 제3집 p. 265.
민영순, 앞의 회고담.
13) 「梧下記聞」 제2筆, p.66.
‘掘人塚捧私債 勿論是非 切勿施行 而若犯此科者 當報營勘律’라 하여 全琫準이 집강소에 보낸 통문은 고리대주이거나 동학혁명군은 모든 사채의 실시를 절대로 금지함을 시도 하였으며, 전봉준은 기존의 고리사채를 모두 무효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 발생하는 고리대도 철저히 금지시킨 것으로 보이며 이는 동학혁명군에게도 적용되었다.
14) 「宣諭榜文竝東徒上書所志謄書」, 東學亂記錄 下, p.386.
15) 愼鏞廈, 「甲午農民戰爭의 主體勢力과 社會身分」 『韓國史硏究』 제50, 1985.
李鉉淙, 「갑진개화혁신운동의 전말」, 한국사상 제12집, 1974. 한국사상연구회.
오익제, 「천도교의 운동약사」, 천도교 요의, 1985.
이현희, 「갑진개화혁신운동의 민중사적 위치」, 천관우선생 환력기념 한국사학 논총, 1985, 正音文化社 참조.
16) 前揭, 「東學史」, p.130.
17) 「甲午略歷」, 東學亂記錄 上, p.65.
前揭, 「東學史」, p.130.
18) 「梧下記問」 제1筆, p.104.
19) 李炫熙, 「갑진개화운동의 현대사적 의의」, 신인간, 1984년 8월호.
, 「갑진개화혁신운동의 민중사적 위치」, 천관우선행 환력기념 한국사학 논총, 1985, 正音文化社, pp.853~870.
20) 「梅泉野錄」 권4, 大韓季年史 권2~4.
오익제, 「갑진개화운동의 현대적 조명」, 신인간 421호(1984).
또한 백성들이 제출한 소장(訴狀)을 백성들의 의지가 충분하게 반영되도록 정당하게 처리하여 그동안 농민들이 관과 양반과 부호들에게 억울하게 당했던 일들을 그들의 힘으로 해결해 주었으며16) 관리들이 종전에 작성했던 문서들을 집강소 설치 후 면밀히 검토하여 잘못을 가려 농민에 의한 자치를 엄정하게 관리 하였다.17)
이와 같이 집강소를 통한 농민혁명군의 개혁정치는 농민들 사이에 동학이 적극적으로 전도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이 시기에 동학에 입도한 숫자는 더욱 증가함으로 그 위세는 자못 커지게 되었다. 이에 집강소는 호위군이라는 이름으로 농민혁명군을 모집하여 막강한 혁명군을 편성하였는데 이를 접(接)이라고 불렀다. 따라서 큰 읍에는 수십개의 접이 있었고, 작은 곳에는 3~4개의 접이 있었는데 각 접에는 대접주, 수접주, 접주의 순위로 두령이 있었다.18)
이렇게 강화된 동학혁명군은 그해 9월 일본이 침략적인 도발행위를 자행하자 항일구국투쟁을 전개, 남접과 북접이 연합하여 공주에서 일본군 및 관군과 싸웠으나 참패당하고 말았다. 전봉준·김개남·손화중 등 지도자들이 체포되었으나 흩어진 동학군은 해월 등에 의하여 재기를 도모하였으며, 다시 집결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안으로는 일대 개혁을 단행하게 한 갑오경장이 추진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성리학적인 전통사회가 붕괴·해체되기 시작하여 새로운 근대사회로 진전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밖으로는 일본이 조선에 다시 군대를 파견할 수 있는 구실이 되어 마침내 청·일 양군의 침략전쟁이 일어나 주인노릇을 못한 역사의 현장을 노출시킴으로 일본의 승리로 귀결되자 조선은 이후 일본의 침략적 지배를 받아야 하는 참담한 현실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은 제3세 교조 의암(손병희)에 의해 다시 크게 발전되어 한국 사회의 근대화를 위한 민족종교로 새롭게 출발하였다. 따라서 1904년 갑진개화혁신운동을 일으켜19) 새마을운동의 선구적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1914년에는 갑인민족운동을 일으키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어 갑오년의 동학혁명과 함께 3갑운동이라는 민중에 기반을 둔 대중운동을 계획 실천함에 앞장섰던 것이다. 그중 무엇보다도 큰 민족운동의 실천으로는 3·1민주혁명의 선도적 수행으로 대대적인 민중구국운동을 일으킴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탄생시키는 큰 수확을 낳게 한 것이다.
정치적으로는 군주제를 버리고 민주공화국으로서 삼권분립 형태를 취하여 새로운 정치외교체제로 발전되어 나갔으며, 경제적으로는 자립경제를 강조하여 민족기업 육성책을 펴 나갔다. 사회적으로는 남녀평등, 사회혁신 정책을 펴 시민사회와 그 의식을 발전시켜 나갔으며, 문화적으로는 언론 종교교육을 발전시켰고 국어, 국사, 지리와 문예를 우리 실정에 맞게 구성함으로 본격적인 근대화를 추진시켜 나갔다. 또한 1920년의 잡지, 기관지 발행을 통한 신문화운동에 앞장섰으며 여성운동, 소년운동, 한글보급운동 등 각종 근대화운동을 통한 한국사회의 변혁에 앞장서 나갔다.
따라서 동학혁명을 통한 민중운동의 선구자로서의 긍지와 사명감을 동학의 보국안민 정신과 광제창생의 휴머니즘을 기반으로 한국 사회의 근대화와 개혁을 추진함으로 오늘날 한민족의 민족종교로서의 자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과거의 구국의지는 지금도 그 맥락이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20)
1) 「나라사랑」 제15집 녹두장군 전봉준 특집호 참조.
2) 朴宗根, 「朝鮮近代에 있어서 民族運動의 展開」, 甲申甲午期의 近代變革과 民族運動 청아출판사 1983, pp.300~301
3) 李炫熙, 「東學思想의 背景과 그 意識의 成長」, 韓國思想 제18집, 1981
, 孫秉熙論 「정화」 1982年 12月號.
4) 金義煥, 「全琫準傳記」 pp.149~150
5) 朴容玉, 「東學의 男女平等思想」, 歷史學報 91, 1981.
6) 金昌洙, 「東學運動과 民族意識의 成長」, 人文科學硏究 1, 성신여대 인문과학연구소, 1981.
7) 李炫熙, 「東學思想과 民族獨立思想」, 韓國思想 19, 1982.
8) 吳知泳, 「東學史」, 1940. pp.126~130.
9) 愼鏞廈, 「1894년의 社會身分制의 廢止」, 奎章閣 제9집, 1985.
10) 前揭書, 「농민군 지도부와 병사의 社會身分」 참조.
11) 前揭, 「東學史」 pp.153~154.
白世明, 「甲辰革新運動과 東學」, 韓國思想 Ⅲ, 1973.
李敦化, 「天道敎創建史」 1933년, 제3편 참조.
「大韓每日申報」, 1904年 8月 25日.
金應祚, 「天道敎의 文化運動」, 人文科學硏究 제2집, 성신여대, 1982.
閔泳純, 「잊혀지지 않는 갑진년 개혁」, 신인간 포덕 67년 제2호.
12) 「東匪討論」, 韓國學報 제3집 p. 265.
민영순, 앞의 회고담.
13) 「梧下記聞」 제2筆, p.66.
‘掘人塚捧私債 勿論是非 切勿施行 而若犯此科者 當報營勘律’라 하여 全琫準이 집강소에 보낸 통문은 고리대주이거나 동학혁명군은 모든 사채의 실시를 절대로 금지함을 시도 하였으며, 전봉준은 기존의 고리사채를 모두 무효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 발생하는 고리대도 철저히 금지시킨 것으로 보이며 이는 동학혁명군에게도 적용되었다.
14) 「宣諭榜文竝東徒上書所志謄書」, 東學亂記錄 下, p.386.
15) 愼鏞廈, 「甲午農民戰爭의 主體勢力과 社會身分」 『韓國史硏究』 제50, 1985.
李鉉淙, 「갑진개화혁신운동의 전말」, 한국사상 제12집, 1974. 한국사상연구회.
오익제, 「천도교의 운동약사」, 천도교 요의, 1985.
이현희, 「갑진개화혁신운동의 민중사적 위치」, 천관우선생 환력기념 한국사학 논총, 1985, 正音文化社 참조.
16) 前揭, 「東學史」, p.130.
17) 「甲午略歷」, 東學亂記錄 上, p.65.
前揭, 「東學史」, p.130.
18) 「梧下記問」 제1筆, p.104.
19) 李炫熙, 「갑진개화운동의 현대사적 의의」, 신인간, 1984년 8월호.
, 「갑진개화혁신운동의 민중사적 위치」, 천관우선행 환력기념 한국사학 논총, 1985, 正音文化社, pp.853~870.
20) 「梅泉野錄」 권4, 大韓季年史 권2~4.
오익제, 「갑진개화운동의 현대적 조명」, 신인간 421호(1984).
추천자료
유영철의 연쇄살인 사건 전개 과정 및 성?배경과 반사회적 성격형성 및 사건의 심리학적 고찰
[슬로우시티]슬로우 시티 운동의 이해(정의, 특징, 목적)와 발생배경 고찰, 슬로우시티(slow ...
[노인문제] 노인문제에 대한 대책방안 - 노인문제 발생배경, 일반적 특징, 유형, 인구학적 통계
사회적자본(사회자본)의 의미와 특성, 사회적자본(사회자본)의 구성요소와 측정도구, 사회적...
[가족복지론] 현대가족의 특성과 문제, 핵가족 제도의 발생 배경과 문제점, 해결하기 위한 자세
[정보사회] 정보사회의 개념(정의)과 발생배경 및 특징(특성)
사회복지실천이론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정리하여 서술하고 정치,경제,사회적 배경이 사회복지...
[실학사상]실학의 발생 배경 특성,실학의 현대적 해석,현대기업 사례(실사구시) _ 삼성그룹,...
페미니즘 영화 연구분석- 페미니즘의 정의와 발생 배경,페미니즘 영화의 출현,영화 분석-하녀...
[다문화사회와 교육] 간문화적 갈등과 중재 - 중재의 발생배경과 원칙, 제3자의 역할, 간문화...
[ 4.19 혁명] 에 대하여
유럽의 종교개혁,종교개혁의 정의,종교개혁의 발생배경,스위스의 종교개혁,독일의 종교개혁,...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분석심리 이론 ( 발생배경, 성격구조, 성격유형, 꿈과 무의식, 성격발...
세계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인보관인 영국의 토인비 홀이 설립된 사회적 배경과, 인보관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