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도, 즉 둔린 또는 과이인 아카데미를 비교하는 것이 주요한 것처럼 보인다. 이 비교는 아마도 중국과 한국의 지적 생활과 정치적 문화를 더 잘 이해하게 하는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최초로 알려진 "서원"은 이황의 친구인 지방수령인 周世鵬에 의하여 1541년 경상도의, 전통적으로 한국 최초의 유학자로 숭앙되는 安珦(1243∼1306)의 가문의 사당을 근거로 하여 설립되었다. 1550년 이황이 지방관장이 되었을 때, 明宗(1546∼67)이 백운서원에 토지와 노비를 하사하고 세금을 면제하고 그 서원에 대한 그의 보호조치를 베풀었다. 이황은 그 곳에서 가르쳤으며 그의 오랜 귀양살이 중에 그의 저서를 집필하였다.
16세기 말에서 19세기 말까지 서원의 숫자는 여러 배로 증가되었고, 그들은 대지주가 되었고 부를 축적하였으며, 때로는 당쟁의 음모를 일삼게 되었다. 그러나 공교육으로서의 주자학의 편재함을 고려한다면 학문적인 토론은 점점 이론적이 되었다. 어떤 다른 사회적 정치적 기구나 마찬가지로 서원들도 그들의 내적 논리에 따라서 본래의 목적을 달성시키지 못하고, 자기 자신들과 봉건적 붕당의 당파적 이익을 위하여 작용을 했다. 그러나 이황은 그가 착상해 낸 기구가 그러한 운명을 당하리라고는 기대할 수 없었다. 그는 지식과 교육의 중심지를 마련했었고 국가의 보호를 위험스럽다기 보다는 위신이 서는 일이라고 여겼다. 물론 우리의 상당히 제한된 가정들과 결론들은 형이상학과는 달리, 동양의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을 서구의 정치학의 견지에서의 해설에는 훨씬 덜 맞는다는 생각에 근거하고 있다.
-509-
(유 철 준 譯)
최초로 알려진 "서원"은 이황의 친구인 지방수령인 周世鵬에 의하여 1541년 경상도의, 전통적으로 한국 최초의 유학자로 숭앙되는 安珦(1243∼1306)의 가문의 사당을 근거로 하여 설립되었다. 1550년 이황이 지방관장이 되었을 때, 明宗(1546∼67)이 백운서원에 토지와 노비를 하사하고 세금을 면제하고 그 서원에 대한 그의 보호조치를 베풀었다. 이황은 그 곳에서 가르쳤으며 그의 오랜 귀양살이 중에 그의 저서를 집필하였다.
16세기 말에서 19세기 말까지 서원의 숫자는 여러 배로 증가되었고, 그들은 대지주가 되었고 부를 축적하였으며, 때로는 당쟁의 음모를 일삼게 되었다. 그러나 공교육으로서의 주자학의 편재함을 고려한다면 학문적인 토론은 점점 이론적이 되었다. 어떤 다른 사회적 정치적 기구나 마찬가지로 서원들도 그들의 내적 논리에 따라서 본래의 목적을 달성시키지 못하고, 자기 자신들과 봉건적 붕당의 당파적 이익을 위하여 작용을 했다. 그러나 이황은 그가 착상해 낸 기구가 그러한 운명을 당하리라고는 기대할 수 없었다. 그는 지식과 교육의 중심지를 마련했었고 국가의 보호를 위험스럽다기 보다는 위신이 서는 일이라고 여겼다. 물론 우리의 상당히 제한된 가정들과 결론들은 형이상학과는 달리, 동양의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을 서구의 정치학의 견지에서의 해설에는 훨씬 덜 맞는다는 생각에 근거하고 있다.
-509-
(유 철 준 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