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지폐속의 퇴계이황..
서론...‥‥‥‥‥‥‥‥‥‥‥‥‥‥‥‥‥‥‥‥
I. 이황의 생애 ‥‥‥‥‥‥‥‥‥‥‥
1. 이황의 생애
2. 이황의 인간상
II. 학문수양 방법론‥‥‥‥‥‥‥‥‥‥‥
1. 이해를 기조로하는 학문
2. 해석학적 측면에서의 학문방법
본론...‥‥‥‥‥‥‥‥‥‥‥‥‥‥‥‥‥‥‥‥
III. 이황의 사상‥‥‥‥‥‥‥‥‥‥‥‥‥
1. 이기론
2. 사단칠정론
3. 수양론과 궁리론
4. 양명학 비판
5. 주리론
6. 경의 의미
IV. 이황의 업적‥‥‥‥‥‥‥‥‥‥‥‥
결론...‥‥‥‥‥‥‥‥‥‥‥‥‥‥‥‥‥‥‥‥
V. 영향과 한국화한 성리학‥‥‥‥‥‥‥‥‥‥‥‥‥
1. 한국화한 성리학
2. 외국에 끼친 영향
3. 이황의 철학
맺음말...‥‥‥‥‥‥‥‥‥‥‥
참고 문헌...‥‥‥‥‥‥‥‥‥‥‥‥
서론...‥‥‥‥‥‥‥‥‥‥‥‥‥‥‥‥‥‥‥‥
I. 이황의 생애 ‥‥‥‥‥‥‥‥‥‥‥
1. 이황의 생애
2. 이황의 인간상
II. 학문수양 방법론‥‥‥‥‥‥‥‥‥‥‥
1. 이해를 기조로하는 학문
2. 해석학적 측면에서의 학문방법
본론...‥‥‥‥‥‥‥‥‥‥‥‥‥‥‥‥‥‥‥‥
III. 이황의 사상‥‥‥‥‥‥‥‥‥‥‥‥‥
1. 이기론
2. 사단칠정론
3. 수양론과 궁리론
4. 양명학 비판
5. 주리론
6. 경의 의미
IV. 이황의 업적‥‥‥‥‥‥‥‥‥‥‥‥
결론...‥‥‥‥‥‥‥‥‥‥‥‥‥‥‥‥‥‥‥‥
V. 영향과 한국화한 성리학‥‥‥‥‥‥‥‥‥‥‥‥‥
1. 한국화한 성리학
2. 외국에 끼친 영향
3. 이황의 철학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주체이고 이는 궁극적으로 구현하여 내야만 하는 목적이고 경은 그러한 목적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수양론적 도구인 셈이다. 이것은 또한 그대로 도덕적인 측면에서도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쨌든 퇴계철학은 본체온적인 차원에 있어서는 이기의 문제를 근간으로 하고 심성론적인 차원에서는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축으로 하며 도덕론적인 차원에서는 이발을 중심으로 하고 행위론적 차원에서는 4단7정을 관절로 하고 수양론적인 차원에서는 경을 핵심으로 하는 학문체계라고 하겠다.
퇴계는 율곡과 함께 우리 나라 유학사상 가장 대표적인 학자로 주자의 이기이원론의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또한 문학과 고증학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사상과 학풍이 후세에게 계승되어 영남학파를 형성하였고 유학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맺음말...우리의 과제
퇴계에 의하면 사칠론 등 심성에 관한 이론이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그 목적은 단 하나, "감성적인 욕구(人欲)를 막고 이성(天理)에 따라 행위 하려는"데 있다. 이 '알인욕존천리'는 '경'의 태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경의 태도를 취하면 천리가 무엇인지 마음속으로 스스로 알게 되기 때문이다. 퇴계가 말하는 예란 이미 삼강오륜만 뜻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나아가 사대부 또는 양반을 중심으로 한 삼강오륜식 가부장적 봉건체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그가 말하는 '예에 합당한 행위'란 당시의 질서 및 체제에 대한 승복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발설을 중심으로 한 그의 심성설은 결과적으로 당시의 체제에 대한 합리화의 의미를 지니며 이상이 퇴계 철학의 성격이라고 하겠다.
그는 수많은 제자를 양성한 참 스승이며, 따뜻한 인간미를 지닌 인물이었다. 퇴계의 사상은 곧 고대 공자, 맹자로부터 시작되어 주자에 이어지는 동양 유학의 정통성을 이어받아 이를 집대성하여 더욱 발전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또 그의 사상은 이론에만 머무르는 사상이 아니라, 지행병진 강조한 실천 유학 사상이다. 즉, 퇴계는 늘 성현의 가르침을 책에서 읽으면 그 깊은 뜻을 헤아려서 그대로 실천하기를 힘썼던 것이다. 현대 서양의 여러 나라는 과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물질적의로 풍요한 사회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물질의 지나친 발달은 정신의 황폐화를 초래하여, 인류는 사상적으로 방황하기 시작했다. 자살자와 범죄자가 늘고 마약, 이혼, 공해 등 각종 사회적 병폐가 날로 심각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서양의 여러 날들은 이 해결책을 퇴계의 실천 철학에서 찾으려 애를 쓰고 있다.
이것이 최근 서구인들이 퇴계학에 관심을 기울이는 주요인이라 할 수있다. 이제 퇴계는 한국만의 퇴계가 아니라, 세계적의로 추앙 받는 철학자요, 인격자이다. 그이 고결한 인격미와 결부된 샐천궁행적인 철학. 학문. 사상은 혼란한 세기말의 병폐속에서 시대를 밝히는 햇불이 되고 있다. 아울러 그는 인류의 정신적 사표로, 그를 사모하는 사람들의 가슴 속에 영원히 살아 있을 것이다, 우리는 외국 것이라면 무조건 적으로 선호하는 무지를 버려야 한다. 그러한 무지의 지속은 결국 우리 민족 정통성을 단절시킨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채 깨닫지도 못하는 사이에 우리 것을 그들에게 잠식당하고 급기야 그것을 송두리째 빼앗길 수도 있다는 위험 부담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것에 대한 고귀성을 회복하여 우수한 우리 문화와 정통성을 복원해야만 한다. 그것만이 이 시대 우리들이 주저하지 않고 힘차게 살아갈 정신적 자양분이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우리는 우리 국토의 문화 유산에 대해 깊은 애정을 지니고,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 겨레의 혼과 얼을 오늘에 재조명하여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사의 으뜸가는 역군으로 나설 우리 학생들에게 있어서 이는 절실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살인강도성범죄의 증가 등 현대 사회에 들어오면서 강력 범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것은 산업사회가 만들어낸 물질 만능주의가 그 원인이며 그것은 정보화 사회에 도달한 지금 인터넷 사용의 증가와 함께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이는 사상적으로 사람들의 정서를 순화시켜 줄 수 있는 무엇인가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는 정치적 목적에 의하여 사용될 뿐 그 이상의 작용은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 하겠다. 이러한 시점에서 순수한 마음으로 학문을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신적육체적으로 안정을 꾀하고자 했던 퇴계의 학문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 준다. 지금에 와서 '이'가 어떻고 '기'가 어떻고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단지 퇴계의 그러한 순수한 마음을 본 받아 풍부한 물질에 뒤지지 않는 정서적육체적 안정을 갖고 더욱 발전된 사회를 이룩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후손들의 몫이라 하겠다.
◎ 참고문헌 ◎
▶ 논문류
○ 이윤희, “퇴계철학입문”, 퇴계학연구원, 1990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연구”, 한울아카데미, 1997
○ 이민혁, "퇴계 형이상학에 관한 연구", 가톨릭 대학교 석사 논문, 1997
○ 강동금, "율곡철학의 대한 고찰", 가톨릭 대학교 석사 논문, 1995
▶ 단행본
○ 윤천근, “ 퇴계철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온누리, 1987.
○ 유정동, " 한국의 유학 사상(삼성세계사상-1)", 삼성출판 1993
○ 금장태, 퇴계의 삶과 철학, 서울대학교출판사, 1998
○ 정순목편, “퇴계정전-입조사실과 연보”, 지식산업사, 1992
○ 조준하, “한국인물 유학사2”, 한길사, 1996
○ 서용화, “퇴계의 인간관 연구”, 학연문화사, 1998.
○ 김유혁, “이퇴계의 인간상”, 청탑서림, 1989
○ 박인희, " 주자 철학과 중국 철학", 범학사, 1990
○ 송영배, 금장태 외 3명, " 한국 유학과 리기 철학", 예문서원, 2000
○ 이현중, " 한국 철학의 역학적 조명", 청계, 1999
○ 김기현, " 조선조를 뒤흔든 논쟁-하(下)-" , 길 출판사, 2000
▶ 홈페이지
○ 브리태니커 전자 사전-"http://premium.britannica.co.kr"
○ 한국의 사상가 퇴계이황- “http://my.dreamwiz.com/ohjs7/iw”
어쨌든 퇴계철학은 본체온적인 차원에 있어서는 이기의 문제를 근간으로 하고 심성론적인 차원에서는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축으로 하며 도덕론적인 차원에서는 이발을 중심으로 하고 행위론적 차원에서는 4단7정을 관절로 하고 수양론적인 차원에서는 경을 핵심으로 하는 학문체계라고 하겠다.
퇴계는 율곡과 함께 우리 나라 유학사상 가장 대표적인 학자로 주자의 이기이원론의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또한 문학과 고증학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사상과 학풍이 후세에게 계승되어 영남학파를 형성하였고 유학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맺음말...우리의 과제
퇴계에 의하면 사칠론 등 심성에 관한 이론이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그 목적은 단 하나, "감성적인 욕구(人欲)를 막고 이성(天理)에 따라 행위 하려는"데 있다. 이 '알인욕존천리'는 '경'의 태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경의 태도를 취하면 천리가 무엇인지 마음속으로 스스로 알게 되기 때문이다. 퇴계가 말하는 예란 이미 삼강오륜만 뜻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나아가 사대부 또는 양반을 중심으로 한 삼강오륜식 가부장적 봉건체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그가 말하는 '예에 합당한 행위'란 당시의 질서 및 체제에 대한 승복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발설을 중심으로 한 그의 심성설은 결과적으로 당시의 체제에 대한 합리화의 의미를 지니며 이상이 퇴계 철학의 성격이라고 하겠다.
그는 수많은 제자를 양성한 참 스승이며, 따뜻한 인간미를 지닌 인물이었다. 퇴계의 사상은 곧 고대 공자, 맹자로부터 시작되어 주자에 이어지는 동양 유학의 정통성을 이어받아 이를 집대성하여 더욱 발전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또 그의 사상은 이론에만 머무르는 사상이 아니라, 지행병진 강조한 실천 유학 사상이다. 즉, 퇴계는 늘 성현의 가르침을 책에서 읽으면 그 깊은 뜻을 헤아려서 그대로 실천하기를 힘썼던 것이다. 현대 서양의 여러 나라는 과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물질적의로 풍요한 사회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물질의 지나친 발달은 정신의 황폐화를 초래하여, 인류는 사상적으로 방황하기 시작했다. 자살자와 범죄자가 늘고 마약, 이혼, 공해 등 각종 사회적 병폐가 날로 심각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서양의 여러 날들은 이 해결책을 퇴계의 실천 철학에서 찾으려 애를 쓰고 있다.
이것이 최근 서구인들이 퇴계학에 관심을 기울이는 주요인이라 할 수있다. 이제 퇴계는 한국만의 퇴계가 아니라, 세계적의로 추앙 받는 철학자요, 인격자이다. 그이 고결한 인격미와 결부된 샐천궁행적인 철학. 학문. 사상은 혼란한 세기말의 병폐속에서 시대를 밝히는 햇불이 되고 있다. 아울러 그는 인류의 정신적 사표로, 그를 사모하는 사람들의 가슴 속에 영원히 살아 있을 것이다, 우리는 외국 것이라면 무조건 적으로 선호하는 무지를 버려야 한다. 그러한 무지의 지속은 결국 우리 민족 정통성을 단절시킨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채 깨닫지도 못하는 사이에 우리 것을 그들에게 잠식당하고 급기야 그것을 송두리째 빼앗길 수도 있다는 위험 부담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것에 대한 고귀성을 회복하여 우수한 우리 문화와 정통성을 복원해야만 한다. 그것만이 이 시대 우리들이 주저하지 않고 힘차게 살아갈 정신적 자양분이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우리는 우리 국토의 문화 유산에 대해 깊은 애정을 지니고,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 겨레의 혼과 얼을 오늘에 재조명하여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사의 으뜸가는 역군으로 나설 우리 학생들에게 있어서 이는 절실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살인강도성범죄의 증가 등 현대 사회에 들어오면서 강력 범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것은 산업사회가 만들어낸 물질 만능주의가 그 원인이며 그것은 정보화 사회에 도달한 지금 인터넷 사용의 증가와 함께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이는 사상적으로 사람들의 정서를 순화시켜 줄 수 있는 무엇인가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는 정치적 목적에 의하여 사용될 뿐 그 이상의 작용은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 하겠다. 이러한 시점에서 순수한 마음으로 학문을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신적육체적으로 안정을 꾀하고자 했던 퇴계의 학문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 준다. 지금에 와서 '이'가 어떻고 '기'가 어떻고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단지 퇴계의 그러한 순수한 마음을 본 받아 풍부한 물질에 뒤지지 않는 정서적육체적 안정을 갖고 더욱 발전된 사회를 이룩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후손들의 몫이라 하겠다.
◎ 참고문헌 ◎
▶ 논문류
○ 이윤희, “퇴계철학입문”, 퇴계학연구원, 1990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연구”, 한울아카데미, 1997
○ 이민혁, "퇴계 형이상학에 관한 연구", 가톨릭 대학교 석사 논문, 1997
○ 강동금, "율곡철학의 대한 고찰", 가톨릭 대학교 석사 논문, 1995
▶ 단행본
○ 윤천근, “ 퇴계철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온누리, 1987.
○ 유정동, " 한국의 유학 사상(삼성세계사상-1)", 삼성출판 1993
○ 금장태, 퇴계의 삶과 철학, 서울대학교출판사, 1998
○ 정순목편, “퇴계정전-입조사실과 연보”, 지식산업사, 1992
○ 조준하, “한국인물 유학사2”, 한길사, 1996
○ 서용화, “퇴계의 인간관 연구”, 학연문화사, 1998.
○ 김유혁, “이퇴계의 인간상”, 청탑서림, 1989
○ 박인희, " 주자 철학과 중국 철학", 범학사, 1990
○ 송영배, 금장태 외 3명, " 한국 유학과 리기 철학", 예문서원, 2000
○ 이현중, " 한국 철학의 역학적 조명", 청계, 1999
○ 김기현, " 조선조를 뒤흔든 논쟁-하(下)-" , 길 출판사, 2000
▶ 홈페이지
○ 브리태니커 전자 사전-"http://premium.britannica.co.kr"
○ 한국의 사상가 퇴계이황- “http://my.dreamwiz.com/ohjs7/iw”
추천자료
남명 조식의 유적 답사기와 시골 선비 조남명을 보고 나서
유학 유교철학
이황의 사상의 현대적 의미 찾기
조선시대의 교육 사상에 대해
사변록 해제
유림을 읽고
금보가(琴譜歌)
율곡 이이
사단칠정(四端七情)의 이해와 논쟁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
[갈암 이현일]갈암 이현일의 활동 배경, 갈암 이현일의 관점, 갈암 이현일의 개혁론, 갈암 이...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擊蒙要訣)’ 내용 설명 및 요약
[교육학과-교육사공통]우리나라country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