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암 이현일]갈암 이현일의 활동 배경, 갈암 이현일의 관점, 갈암 이현일의 개혁론, 갈암 이현일의 경세론, 갈암 이현일의 삼통, 갈암 이현일의 천인합일과 재이설, 갈암 이현일의 율곡 이이 비판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갈암 이현일]갈암 이현일의 활동 배경, 갈암 이현일의 관점, 갈암 이현일의 개혁론, 갈암 이현일의 경세론, 갈암 이현일의 삼통, 갈암 이현일의 천인합일과 재이설, 갈암 이현일의 율곡 이이 비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갈암 이현일의 활동 배경

Ⅱ. 갈암 이현일의 관점

Ⅲ. 갈암 이현일의 개혁론

Ⅳ. 갈암 이현일의 경세론
1. 경세론의 이론적 배경 및 성리학과의 연관
2. 경세론의 전개와 선진유학 정신 재건

Ⅴ. 갈암 이현일의 삼통
1. 가통
2. 王統
3. 道統

Ⅵ. 갈암 이현일의 천인합일과 재이설

Ⅶ. 갈암 이현일의 율곡 이이 비판
1. 理氣論
2. 四端七情論

참고문헌

본문내용

善一邊\'으로 파악하는 이른바 \'七包四\'의 논리를 전개하였던 것이다.
이에 대해 갈암의 율곡에 대한 비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되는데, 그 하나는 퇴계의 사칠론 특히 四端의 理發을 대상의 접촉이 없이 발현하는 것이라고 보는 율곡의 견해가 잘못되었다는 점과 다른 하나는 율곡과 같이 사단을 칠정의 선일변으로 보면 천리를 인욕 속에서 구하는 잘못을 저지르게 된다는 점이다.
갈암은 사단이나 칠정이 모두 대상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하되 형기의 간섭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보아, \'이발기수\'의 사단을 형기의 간섭이 없는 본유의 순수한 理가 대상을 향해 발현하는 것으로, \'기발이승\'의 칠정을 형기의 간섭을 통해 발현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갈암은 퇴계의 \'이발기수\'가 外感이 없이 발해지는 것이 아니라 외감을 통해서 발하되 \'本有의 理\'가 형기의 간섭이 없이 발해지는 것이라고 설명함으로써 사단이 대상에 대한 인식이 없이 발하는 것이라는 율곡의 비판을 일축하고 있는 것이다.
퇴계선생이 사단을 仁義禮智의 性에서 발한다고 한 것은 심중의 \'本有의 理\'가 감촉을 따라 발하여 惻隱 羞惡 辭讓 是非의 情이 되니 그 발함이 형기에 섞이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이요, 처음부터 감촉이 없이 스스로 발하는 것을 말한 것이 아니다. 칠정을 외물이 형기에 감촉하여 심중에 동하는 것이라 한 것은 사물이 외부로부터 이르는 것이 이목에 감촉하여 마음이 움직여 喜怒哀樂愛惡欲의 情이 되는 것을 말함이다. 그 형기에 간섭되어 나오는 것을 말하는 것이지 또한 그 가운데 원래 理가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이러한 양인의 입장은 논리의 정당성이라는 차원에서 보다는 양인의 학문적 입장의 차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즉 퇴계가 주장하는 바 \'이발기수\'의 사단을 \'외물의 감촉이 없이 마음 속에서 스스로 발하는 것\'(由中自發者)으로 이해하고 있는 율곡의 비판이 천지의 화육과 인간의 삶을 일원화하는 \'기발이승일도\'의 학문적 입장에서 파악한 문제점이라고 한다면 \'외물에 감촉하여 발하되 형기에 섞이지 않는 것\'(其發不雜形氣者)으로 이해하는 갈암의 입장은 이의 가치론적 우월성에 입각하여 인간의 윤리적 당위성을 확보하려는 인성론적 입장의 논리라고 할 수 있다.
갈암에 있어서 관심의 대상은 사단의 발현에서 나타나는 외물에 대한 감촉여부가 아니라 오히려 사단이 발할 때에 나타날 수 있는 형기의 간섭여부이다. 퇴계와 마찬가지로 갈암에 있어서 형기는 악의 가능성을 내포한 것이므로 그에 있어서 학문적 관심은 악의 가능성을 내포한 형기의 간섭으로부터 순선의 사단을 확보하여 윤리의 당위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대저 이와 기는 진실로 서로 떨어질 수 없다. 그러나 바야흐로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는 것을 보는 순간 마음 속의 있는 \'本有의 理\'가 感觸을 따라 발하게 되니, 이 본유의 理는 마음이 감싸 안아 머무르게 할 수도 없고 기가 접촉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런즉 惻隱이 어찌 理의 發이 아니겠는가?
이러한 관점에서 갈암은 오히려 사단을 \'칠정 중의 선일변\'으로 파악하는 율곡의 \'四包七\'의 입장을 비판한다. 갈암은 율곡과 같이 사단을 \'칠정 중의 선일변\'으로 보는 견해는 자칫 칠정과 사단이 뒤섞여 오히려 칠정을 사단 속에서 파악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게 되어 끝내는 사단의 순수성을 확보할 수가 없게 된다고 경고하고, 사단과 칠정의 分對를 주장한다. 그는 사단이 또한 기를 타고 발하는 것이지만 인의예지의 본성에서 곧장 나오는 것(直出於仁義禮智之性)이며, 칠정은 性에서 발현되는 것이지만 형기에 감촉하여 대상과 연계되어 발하는 것(觸形氣, 緣境而生)이라 하여, 사단과 칠정이 그 所從來의 근본에서부터 차이가 있음을 부각시키고 있다.
갈암이 말하는 바 소종래의 근본이란 사단과 칠정이 발하게 되는 근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는 이를 혼륜과 분별의 논리로 설명하고 있다. 갈암은 현상에 있어서 사단과 칠정이 모두 合理氣의 존재임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단과 칠정을 현상의 입장에서만 본다면 유선악의 칠정으로부터 순선의 사단을 구분해낼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래서 갈암은 이를 현상의 관점(혼륜)이 아닌 본체의 관점(분별)에서 사단과 칠정을 파악한다. 갈암은 혼륜의 관점에서는 사단과 칠정이 모두 합이기의 존재임을 긍정하고 있으나 분별의 관점에서는 사단을 기와는 분리된 \'理發\'의 존재로만 파악하고 칠정을 \'合理氣\'가 아닌 \'氣發\'의 존재로만 파악하고 있다. 즉 본체의 관점에서 본다면 사단은 \'本有之理\'가 형기의 간섭이 없이 곧장 발하는 것이니 이것은 순수한 \'理發\'인 것이며, 칠정은 형기의 간섭을 통해 발하여 純善한 理의 모습이 사라지는 것이니 이는 \'氣發\'로만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갈암은 혼륜과 분별의 논리를 통해 선악이 공존하는 칠정으로부터 순선의 사단을 확보하였다.
사단칠정에 있어서 갈암의 혼륜분별설은 두 가지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그 하나는 사단과 칠정을 현상이외에 다시 본체적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현상 속에서의 \'이기불상리\'의 원칙을 어기지 않으면서도 순수한 理를 확보하여 퇴계의 이발설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는 점이요, 다른 하나는 유선악의 칠정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순선의 사단을 확보함으로써 사단을 칠정 중의 선일변으로 보아 순선의 사단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율곡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컨대 율곡 사칠론의 비판에서 나타난 갈암 사칠론의 특성은 사단과 칠정을 혼륜과 분별의 논리로 이원화하여 파악함으로써 퇴계의 이기호발의 사칠론이 지니는 바 \'불상잡\'의 한계와 율곡의 \'七包四\'의 사칠론이 지니는 바 \'불상리\'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하고 있는데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강원택 / 정치개혁과 민주주의, 서울 : 인간사랑, 2005
김준석 / 유교사상론, 한국사 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7
송석준 / 갈암의 율곡 비판에 대한 논평
안유경 / 갈암 이현일의 철학사상(이현일의 성리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9
유사순 / 한국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우석, 1986
예문동양사상 연구원 윤사순 공저 / 퇴계 이황, 예문서원, 2002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05.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