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집요(聖學輯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성학집요(聖學輯要)란?

2. 저자의 생애

3. <성학집요>저술의 시대적 배경

4. <성학집요>의 구성체계

5. <성학집요>의 내용

6. <성학집요>의 가치와 의의
*율곡전서(栗谷全書)

본문내용

(광해군 3) 박지화(朴枝華) 등이 편집한 시집(詩集)과 문인 박여룡(朴汝龍) 등이 성혼(成渾)과 문의(問議)하여 편집한 문집(文集)을 합하여 11권 11책 목판본으로 해주(海州)에서 간행하였으나, 여기에는 빠진 것이 많았다. 이에 1682년(숙종 8) 박세채(朴世采)가 이이의 중형(仲兄) 이번(李)이 기록한 초본(草本) 9권을 중심으로 친구나 자손들이 소장한 것을 널리 모아 속집(續集)·외집(外集)·별집(別集)을 합본하여 다시 간행하였다. 그러나 송시열(宋時烈)은 이 두 권의 체재가 정일(精一)하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겼는데, 후에 1742년(영조 18) 이재(李縡)가 이이의 5세손 이진오(李鎭五) 등과 상의하여 시집·문집·속집·외집·별집을 합본하고, 『성학집요(聖學輯要)』·『격몽요결(擊蒙要訣)』 등을 보편(補編)하여 『율곡전서』로 이름을 바꾸어 1749년에 23권 38책 활자본으로 간행한 것을, 1814년(순조 14)에 다시 습유(拾遺) 6권과 부록의 속집을 보충하여 해주에서 중간하였다.
●참고 문헌
-황준연, 율곡 철학의 이해. 1995
-황의동,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1998
-사이버 유교박물관, www.yugyo.org
-네이트 백과사전.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5.0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