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민왕
2. 최영
3. 이성계
2. 최영
3. 이성계
본문내용
봉해졌다. 1377년 서강(西江)에, 1378년 승천부(昇天府:德)에 쳐들어온 왜구를 이성계 등과 섬멸, 안사공신(安社公臣)의 호를 받았으며, 1380년 해도도통사(海道都統使)로서 왜구 때문에 서울을 철원(鐵原)으로 옮기려던 계획을 철회시켰다.
1381년 영삼사사(領三司事) 등을 지내고 벼슬을 사퇴했다가 88년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이 되었는데, 이 때 명나라가 철령위(鐵嶺衛)를 설치, 북변 일대를 랴오둥[遼東]에 귀속시키려 하자 랴오둥정벌을 계획,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가 되어 정벌군을 이끌고 출정했으나, 이성계 등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랴오둥정벌이 좌절되었다. 이성계군이 개성에 난입하자 이를 맞아 싸우다가 체포되어 고봉(高峰:高陽) 등지에 유배되었다가 개경(開京)에서 참형(斬刑)되었다.
1381년 영삼사사(領三司事) 등을 지내고 벼슬을 사퇴했다가 88년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이 되었는데, 이 때 명나라가 철령위(鐵嶺衛)를 설치, 북변 일대를 랴오둥[遼東]에 귀속시키려 하자 랴오둥정벌을 계획,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가 되어 정벌군을 이끌고 출정했으나, 이성계 등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랴오둥정벌이 좌절되었다. 이성계군이 개성에 난입하자 이를 맞아 싸우다가 체포되어 고봉(高峰:高陽) 등지에 유배되었다가 개경(開京)에서 참형(斬刑)되었다.
추천자료
문익점 목화씨 도입의 의문점
직지심경에 대하여
고려시대의 불교
한국과 일본의 문화
난지도 내 골프장 건설의 문제점
나의 친(親) 4대조부터의 가계사(家系史)
한국근세사 기말고사 출제자료
수업지도안(역사)-통치 구조와 정치 활동
조선시대 성균관(成均館)과 유생들의 자치활동(自治活動)
전라북도(전북)의 도시와 자연환경, 전라북도(전북)의 라디오방송, 전라북도(전북)의 동각, ...
성균관(成均館)에 대해
[교육사]고려와 조선의 교육제도
가족 구성의 확대-형제자매 윤리-
놀이문화(놀이)와 전통놀이(민속놀이), 놀이문화(놀이)와 문학, 놀이문화(놀이)와 본산대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