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들의 한국에서의 삶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사회 적응과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문제점
고찰과 극복 방안 연구

1. 서론
2. 본론
1) 남한정부의 탈북자 지원정책
2) 남한 사회 적응과 관련한 탈북자 문제
3) 탈북자 문제의 극복을 위한 제언
3. 결론

본문내용

그러나 이들을 단지 관심과 보호의 대상으로만 간주한다면 우리는 통일에 있어서 중요한 인적 자원을 사장시키는 우를 범하게 될 것이다. 그들은 학문적으로는 문외한일지 모르지만 그들의 실증적 인 경험은 통일에 있어서 나름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탈북자의 문제는 통일 문제의 시발점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우리들이 지금 천 여명을 상대로 겪고 있는 문제는 통일 후에 3천5백만의 문제로 다가올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탈북자들을 남한사회에 적응시키기 위한 제반 프로그램들과 국민들의 인식 변화는 향후 통일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 줄 것이다.
당장 90만이 넘는 실업자가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탈북자의 사회 적응 문제를 생각한다면 이는 사치스러운 문제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후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면, 혹은 단지 그들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조국통일을 앞당기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다.
「참고 문헌」
박종철·김영윤·이우영 공저, 「북한 이탈 주민의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실태조사 및 개건 방안」, 민족통일연구원, 1996.
송자·이영선 공저, 「통일 사회로 가는 길」, 서울 오름 출판. 1996.
박영규,「귀순자 사회 적응 어떻게 할 것인가?」, 월간 북한, 1996, p.58-67.
전우택·민성길·이만홍·이은설, 「북한 탈북자들의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7, p.145∼161.
http://www.scourt.go.kr (대법원)
이승헌 기자, 동아일보 정치면, 2000. 11. 23. (http://www.donga.com)

키워드

탈북자,   한국,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5.11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