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와 문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1. 언어와 국어

1.2. 문법

본문내용

여되어 있으므로 단어의 자격이 없다.
예) 사람들이 많이 모였다. *하늘들을 보아라.
제 5 장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
5.1. 품사분류의 기준
1) 품사 : 단어를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
주시경 '기', '씨'
2) 품사분류의 기준 : 의미, 기능, 형식
① 의미(뜻; meaning) :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느냐 그렇지 않으면 움직임이나 성질 상테를 나타내느냐 하는 것을 말한다. 어휘적 의미가 아니라 형식적 의미를 뜻함.
예) 59쪽의 1
② 기능(구실; function) : 단어가 한 문장에서 다른 문장과 맺는 관계. 즉 어떤 단어가 문 장에서 주어로 쓰이느냐 아니면 서술어로 쓰이느냐 하는 것을 말한다.
예) 59쪽의 2
③ 형식(꼴; form) : 단어의 형태적 특성. 즉 단어의 꼴이 변화하느냐 아니면 변화하지 않 느냐 하는 것을 말함.
예) 읽-었다/는다/는구나/어라
철수, 동화, 가, 를, 그래, 저, 빨리
※ 변화하는 단어도 성질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는 일이 있다.
예) 읽었다 읽는다 읽는구나 읽어라
맑았다 맑다 맑구나 *맑아라
` 책이었다 책이다 책이로구나 *책이어라
5.2. 품사분류의 실제
1) 전통적인 품사분류에서는 의미, 기능, 형식 가운데 기능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
2) 명사, 대명사, 수사 - 체언 ※ '체언'이라는 용어는 기능에 근거한 명칭임.
3) 조사 - 관계언
'이다'는 체언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조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나 활용하는 특성이 있음.
4) 동사, 형용사 - 용언 ※ 용언과 서술격조사 '이다'를 '활용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5) 관형사, 부사 - 수식언
6) 감탄사 - 독립언
7) 품사분류표
① 9품사의 분류표
② 형식, 즉 형태적 특성에 따른 구분 : 가변어(활용어)와 불변어
8) 자립성의 정도 : 감탄사 > 체언 > 용언 > 부사 > 관형사 > 조사
자립어 의존어
9) 몇가지 문제들
① 조사의 경우
② 대명사, 수사의 경우 : 모두 명사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수사를 대명사로 보기도 한다.
③ '이다'의 경우 : 용언의 하나로 보아 지정사(잡음씨)라고 부르기도 하며, 단어의 자격을 주지 않기도 한다.
④ '있다, 없다'의 경우 : '존재사'라고 하여 독립된 품사의 자격을 주기도 함.
⑤ '그리고, 그러나'의 경우 : '접속사'라고 하여 독립된 품사의 자격을 주기도 함.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5.19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