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 언어와 국어
1.2. 문법
1.2. 문법
본문내용
여되어 있으므로 단어의 자격이 없다.
예) 사람들이 많이 모였다. *하늘들을 보아라.
제 5 장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
5.1. 품사분류의 기준
1) 품사 : 단어를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
주시경 '기', '씨'
2) 품사분류의 기준 : 의미, 기능, 형식
① 의미(뜻; meaning) :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느냐 그렇지 않으면 움직임이나 성질 상테를 나타내느냐 하는 것을 말한다. 어휘적 의미가 아니라 형식적 의미를 뜻함.
예) 59쪽의 1
② 기능(구실; function) : 단어가 한 문장에서 다른 문장과 맺는 관계. 즉 어떤 단어가 문 장에서 주어로 쓰이느냐 아니면 서술어로 쓰이느냐 하는 것을 말한다.
예) 59쪽의 2
③ 형식(꼴; form) : 단어의 형태적 특성. 즉 단어의 꼴이 변화하느냐 아니면 변화하지 않 느냐 하는 것을 말함.
예) 읽-었다/는다/는구나/어라
철수, 동화, 가, 를, 그래, 저, 빨리
※ 변화하는 단어도 성질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는 일이 있다.
예) 읽었다 읽는다 읽는구나 읽어라
맑았다 맑다 맑구나 *맑아라
` 책이었다 책이다 책이로구나 *책이어라
5.2. 품사분류의 실제
1) 전통적인 품사분류에서는 의미, 기능, 형식 가운데 기능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
2) 명사, 대명사, 수사 - 체언 ※ '체언'이라는 용어는 기능에 근거한 명칭임.
3) 조사 - 관계언
'이다'는 체언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조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나 활용하는 특성이 있음.
4) 동사, 형용사 - 용언 ※ 용언과 서술격조사 '이다'를 '활용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5) 관형사, 부사 - 수식언
6) 감탄사 - 독립언
7) 품사분류표
① 9품사의 분류표
② 형식, 즉 형태적 특성에 따른 구분 : 가변어(활용어)와 불변어
8) 자립성의 정도 : 감탄사 > 체언 > 용언 > 부사 > 관형사 > 조사
자립어 의존어
9) 몇가지 문제들
① 조사의 경우
② 대명사, 수사의 경우 : 모두 명사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수사를 대명사로 보기도 한다.
③ '이다'의 경우 : 용언의 하나로 보아 지정사(잡음씨)라고 부르기도 하며, 단어의 자격을 주지 않기도 한다.
④ '있다, 없다'의 경우 : '존재사'라고 하여 독립된 품사의 자격을 주기도 함.
⑤ '그리고, 그러나'의 경우 : '접속사'라고 하여 독립된 품사의 자격을 주기도 함.
예) 사람들이 많이 모였다. *하늘들을 보아라.
제 5 장 품사분류의 기준과 실제
5.1. 품사분류의 기준
1) 품사 : 단어를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
주시경 '기', '씨'
2) 품사분류의 기준 : 의미, 기능, 형식
① 의미(뜻; meaning) :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느냐 그렇지 않으면 움직임이나 성질 상테를 나타내느냐 하는 것을 말한다. 어휘적 의미가 아니라 형식적 의미를 뜻함.
예) 59쪽의 1
② 기능(구실; function) : 단어가 한 문장에서 다른 문장과 맺는 관계. 즉 어떤 단어가 문 장에서 주어로 쓰이느냐 아니면 서술어로 쓰이느냐 하는 것을 말한다.
예) 59쪽의 2
③ 형식(꼴; form) : 단어의 형태적 특성. 즉 단어의 꼴이 변화하느냐 아니면 변화하지 않 느냐 하는 것을 말함.
예) 읽-었다/는다/는구나/어라
철수, 동화, 가, 를, 그래, 저, 빨리
※ 변화하는 단어도 성질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는 일이 있다.
예) 읽었다 읽는다 읽는구나 읽어라
맑았다 맑다 맑구나 *맑아라
` 책이었다 책이다 책이로구나 *책이어라
5.2. 품사분류의 실제
1) 전통적인 품사분류에서는 의미, 기능, 형식 가운데 기능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
2) 명사, 대명사, 수사 - 체언 ※ '체언'이라는 용어는 기능에 근거한 명칭임.
3) 조사 - 관계언
'이다'는 체언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조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나 활용하는 특성이 있음.
4) 동사, 형용사 - 용언 ※ 용언과 서술격조사 '이다'를 '활용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5) 관형사, 부사 - 수식언
6) 감탄사 - 독립언
7) 품사분류표
① 9품사의 분류표
② 형식, 즉 형태적 특성에 따른 구분 : 가변어(활용어)와 불변어
8) 자립성의 정도 : 감탄사 > 체언 > 용언 > 부사 > 관형사 > 조사
자립어 의존어
9) 몇가지 문제들
① 조사의 경우
② 대명사, 수사의 경우 : 모두 명사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수사를 대명사로 보기도 한다.
③ '이다'의 경우 : 용언의 하나로 보아 지정사(잡음씨)라고 부르기도 하며, 단어의 자격을 주지 않기도 한다.
④ '있다, 없다'의 경우 : '존재사'라고 하여 독립된 품사의 자격을 주기도 함.
⑤ '그리고, 그러나'의 경우 : '접속사'라고 하여 독립된 품사의 자격을 주기도 함.
추천자료
[국어교육] 국어지식 교육의 위상
고등학교《국어(하)》국어 지식 영역
[국어교육] 국어지식영역 교육내용 분석
국어사 교육은 필요한가 - 국어사 지식이 고전 작품의 이해에 도움을 주는가
국어학사 레포트
현대국어와 중세국어의 조어법 비교
[국어학] 국어사의 시대구분, 국어사, 국어학사
[중세국어] 중세국어_선어말어미_오우의_기능
[보어][국어 문장성분][국어][문장성분][어순][중국어][중국어 보어]국어 문장성분 보어의 구...
[명사구][품사]국어 품사 명사구의 유형, 국어 품사 명사구의 구조, 국어 품사 수량명사구, ...
[형용사][품사][국어][영어][일본어][독일어]국어 품사 형용사의 정의, 국어 품사 형용사의 ...
[국어 품사 분류][국어 품사 연구][국어 품사 태그][영어 품사 분류][일본어 품사 종류][국어...
한국어(국어, 우리말)의 특질과 리듬, 한국어(국어, 우리말)와 외래어, 한국어(국어, 우리말)...
어휘 능력과 학교 교육과정 (어휘 능력의 중요성,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어휘 능력 및 어휘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