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벌리 교육사학의 배경과 기본주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커벌리 史學의 背景
III. 커벌리 史學의 基本主題

1. 교육사의 性格에 관한 주제
2. 미국 敎育에 대한 주제
IV. 매듭말

본문내용

theHistoryofEducation (New York, 1905), vii.
112) Randall and Haines, "Assumptions": 47. 그러나 앞에서 언급했듯이, 커벌리는
새로운 환경론적 해석보다 여전히 튜우튼적 유전론의 전통에 서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커벌리는 단순히 변화기적 인물이었고 다음 세대의 역사가들이 도래해 서야 비로소 환경론이 완전히 만연하게 되었다.
113) Sears and Henderson,Cubberley, 118.
114) Marcus W. Jernegan, "Review and Book Notes," SchoolReview 29 (May 1921):
389.
115) Cubberley,Syllabus, iii.
116) Ibid., 7.8
117) Sears and Henderson,Cubberley, 111.
118) H. Butterfield, TheWhigInterpretationofHistory (London, 1959), v.
119) 종교적으로는, 커벌리는 감독교회파 교회에 다녔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주일 성수는 규칙적이지 않았다. 그리고 그는 政敎 分離를 강하게 믿고 있었으며,
공공의 비용이 사립 또는 교구 학교에 쓰여지는 것을 반대했다. Henderson,
Cubberley, 165.
120) Cubberley,PublicEducation, 10.
121) Ibid., 15.
122) Ibid., viii.
123) Hofstadter,ProgressiveHistorians, 7.
124) 그러나 커벌리는 과정 상에서의 "굴곡"(ups and downs)을 고려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일직선적 발달을 생각하지는 않은 것 같다. Cubberley,Historyof
Education, 12.
125) Hofstadter,ProgressiveHistorians, 428.
126) Cubberley,PublicEducation, vii-viii.
127) Wayne J. Urban, "Historiography," in Harold E. Mitzel (ed.), Encyclopedia
ofEducationalResearch (5판, New York, 1982): 791.
128) Christopher Lasch, Hofstadter, Tradition의 서언.
129) Cremin,World, 1.
130) Ibid., 39.
131) Ellwood P. Cubberley, PublicSchoolAdministration (Boston, Mass., 1916),
vi.
132) Ellwood P. Cubberley, School Funds and Their Apportionment (New York,
1905), 15. 비록 커벌리의 이 논문은 역사서로 의도된 것은 아니었지만, 교육 재 정의 변화를 취급하는 그 성격에 있어 역사적 연구였다.
133) Cremin,World, 38.
134) Cubberley,Conceptions, 68.
135) Cubberley,PublicEducation, 18-19.
136) Cubberley,HistoryofEducation, 9.
137) Cubberley, PublicEducation, 10.
138) Ibid., 211-212.
139) Ellwood P. Cubberley, "Does the Present Trend toward Vocational Education
Threaten Liberal Culture?" SchoolReview 19 (September 1911): 460.
140) Cubberley,Conceptions, 65-66.
141) Ibid., 66-67.
142) 커벌리에게 있어서 사회적 효율성(social efficiency)이 최고의 가치였다. 그것
이 제일 우선했다. 심지어 민주주의의 평등 원칙도 효율성의 추구를 위해 희생되 든가 파괴될 수 있었다. 그는 "보수적 변화"(conservative progress)를 바랐다.
Ibid., 56-57, 그리고 Thursfield, "Cubberley": 55.
143)저드는 이 책을 "어떠한 적절한 의미에서든 미국의 학교에 관한 역사서라고 기술
될 수 있는 최초의 저서"라고 했다. Judd, PublicEducation, 68.
144)이러한 점을 인식한 것을 보면, 커벌리는 역사 연구의 터어너적 관점으로부터 환
경의 중요성을 읽었던 것 같다.
145) Cubberley,PublicEducation, 46.
146) Thursfield, "Cubberley": 54.
147) Arstein, "Cubberley": 77-78.
148) Cubberley,PublicEducation, 341.
149) Ibid., 341.
150) Ibid., 342. Arstein이 지적하듯이, 자신의 앵글로-색슨적, 유그노적 혈통을 자
랑으로 알던 커벌리는 이민자 중 게르만과 카톨릭적 요소들에 대한 평가가 매우 부정적이었다. Arstein, "Cubberley": 77.
151) Milton M. Gordon,AssimilationinAmericanLife:TheRoleofRace,Religion,andNationalOrigins (New York, 1964), 96.
152) Cubberley, PublicEducation, 341-342.
153) Gordon은 "앵글로 동조"라는 표현이 Stewart G. Cole과 Milfred Wiese Cole의 용
어라고 밝히고 있다. Gordon,Assimilations, 85.
154) Cubberley,Conceptions, 15-16.
155) Gordon, Assimilations, 99.
156) Cubberley,PublicEducation, 342-343.
157)커벌리적 "용광로"는 실제적 문화의 혼합이 아닌 인종의 혼합만을 원했다는 점에
서 제한되어 있었다. 그가 의미한 문화 혼합이란 단지 이민자에게 앵글로-튜우튼적
요소를 강요하는 것이었다.
158) Moore, 서평: 160.
159) Jernegan, "Review": 390.
  • 가격2,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2.05.28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